[include(틀:광산구의 법정동)]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월곡동}}}'''[br]月谷洞 | Wolgo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월곡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2920012800 || || '''관할 행정동''' || 월곡1동, 월곡2동 || || '''면적''' || 1.33㎢ || [목차][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부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운남동(광주)|운남동]], 서쪽으로는 [[산정동(광주)|산정동]], [[하남동]] 남쪽으로는 [[우산동(광주 광산)|우산동]], 북쪽으로는 [[흑석동(광주)|흑석동]]에 접해 있다. 우산동과 산정동 일부와 합쳐 광주시민들에게 '''하남'''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광산구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행정동이며, 광산구 내에서 단일 법정동이 분리된 지역은 [[송정동(광산구)|송정동]]과 여기 둘 뿐이다. 1993년에 하남출장소에서 분리되었으며 2년 뒤 분동되었다.[* 지금도 택시기사에게 "하남 갑시다." 하면 월곡동이나 북쪽 우산동으로 데려다 준다.] 1987년부터 하남공단의 배후 주택단지로 개발되었고[* 잘 안알려졌지만 여기가 하남'''1'''지구다.], 하남농협 본점도 이 곳에 있다. 한때는 우산동과 함께 꽤 많은 인구수를 자랑했으며[* 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우산동, 산정동, 월곡동 인구를 다 합쳐서 7만명이 넘었다. 93년에 동국교, 남국교가 생기기 전까지 하남중앙국교는 2부제 수업을 해야할 정도로 콩나물 시루였다.], 수완지구와 하남2지구가 생긴 지금은 아래와 같이 버스노선도 많은 편이다. 근처에 신도시에나 있는 영화관([[우산동(광주 광산)|우산동]], [[수완동]])도 있는 곳으로 하남권의 상업중심지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택지개발이 된 지 오래되어 주거환경은 좋지 않은 편. 저렴한 집값이나 좁은 평수의 주택, 사택[* 하남공단에 입주한 중소기업들은 인근의 주택이나 아파트 몇 가구를 구입하여 사택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등의 이유로 하남공단에 근무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모여산다.[* 특히 근처에 신시가지들이 많이 개발되면서 여유가 생긴 내국인들은 다들 신시가지로 이사를 가버렸기 때문이다. 신시가지들이 일터와의 거리에 있어 구시가지와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생활여건이 상대적으로 풍족한 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은 빈집에는 막 자립한 젊은 내국인 부부나 외국인들이 채우게 된다. 이건 비아동이나 [[신가동]]같이 개발된 지 오래된 지역들의 공통사항이기도 하다.] [[꿀(동음이의어)#s-2|그리고 대형 할인마트까지 입점한 축복받은 지역.]] [[황금알을 낳는 거위|게다가 홈플러스와 우산동에 있는 이마트, 수완지구에 있는 롯데마트까지 자차 및 대중교통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현재 [[광주 고려인마을]]에서 [[고려인]]들이 구소련 국가에서 귀환하여 3천명이 살고 있다. 현재 정착이 쉽지 않은데다가 현지 사정에 익숙하지 않아서 고생 중이라고 한다. 이들이 앞으로 적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고려인과 동구권 외국인들도 모여드는 [[코리아타운|러시안 타운]]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 교통 == === 시내버스 === * [[광주 버스 일곡10]] * [[광주 버스 수완12]] * [[광주 버스 문흥18]] * [[광주 버스 첨단20]] * [[광주 버스 송정29]] * [[광주 버스 봉선37]] * [[광주 버스 첨단40]] * [[광주 버스 금호46]] * [[광주 버스 상무62]] * [[광주 버스 임곡89]] * [[광주 버스 첨단92]] * [[광주 버스 첨단94]] * [[광주 버스 송정98]] * [[광주 버스 진곡196]] * [[광주 버스 송정700]] * [[광주 버스 평동701]] * [[광주 버스 광산720]] == 관할 행정동 == === 월곡1동 ===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월곡1동}}}'''[br]月谷一洞 | Wolgok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월곡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3630027 || || '''관할 법정동''' || 월곡동 || || '''하위 행정구역''' || 29통 164반 || || '''면적''' || 0.86㎢ || || '''인구''' || 10,190명[*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1,848.8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산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용빈]] ,,(초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무창]] ,,(재선),, || ||<-2> '''광산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공병철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명수(1956)|김명수]]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혜영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사암로 306 (월곡동 687-1) || || [[https://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gwangsan0707010100|월곡1동 행정복지센터]] || 월곡시장 사거리를 기준으로 4사분면에 위치한 곳이다. 하남농협, 월곡파출소, 월곡119안전센터가 위치한 월곡동의 행정적 중심지이며, 월곡시장과 사암로 주변의 상가들이 있어 하남권의 실질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남쪽 끝에 금호, 한성아파트가 있으며, 그 외에는 단독주택단지로 이루어져 있다. 관내에 월곡초등학교, 월곡중학교의 2개 학교가 있다. 광산구의 모든 행정동 중 가장 좁은 행정동이다. [clearfix] === 월곡2동 === ||<-2> '''[[광산구|{{{#000000,#dddddd 광산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월곡2동}}}'''[br]月谷二洞 | Wolgok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산구 월곡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3630028 || || '''관할 법정동''' || 산정동, 월곡동 || || '''하위 행정구역''' || 30통 167반 || || '''면적''' || 1.12㎢ || || '''인구''' || 14,698명[*A] || || '''인구밀도''' || 13,123.2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산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용빈]] ,,(초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정무창]] ,,(재선),, || ||<-2> '''광산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공병철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명수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윤혜영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산정공원로72번길 21-12[* 월곡동 490-7] || || [[https://www.gwangsan.go.kr/co/contentsView.php?pageID=gwangsan0708010100|월곡2동 행정복지센터]] || 월곡시장 사거리를 기준으로 1~3사분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원래는 사암로 서편의 단독주택단지와 일신, 부영아파트 일대에만 사람이 살았지만, 운남2지구 개발로 영천마을이 건설되면서[* 그래서 영천마을 '''9~10'''단지다.] 지금은 월곡1동보다 인구가 많다. 산정공원이 관내에 있으며, 학교는 대반초등학교, 영천초등학교, 하남중앙초등학교, [[영천중학교(광주)|영천중학교]], 하남중학교, [[광주여자대학교]]가 있다. [clearfix] == 역사 == 1935. 전라남도 광산군 하남면 월곡리 1988. 1. 1. 광주직할시 광산구 월곡동(하남출장소 관할) 1993. 12. 1. 하남출장소에서 분리(월곡동 관할) 1995. 1. 1.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 1995. 3. 1. 1동과 2동으로 분리 == 기타 == [[분류:광산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