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월광수변공원 전경.jpg|width=100%]]}}} || || 공원 전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humb.photo.naver.net/big_0415_menbal1122.jpg|width=100%]]}}} || || 음악분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곡로 5(도원동 898-1)에 있는 넓이 40,163㎡의 [[공원]]으로, [[2000년]] 4월 개원했다. 대구보훈병원 남쪽에 있다. == 상세 == 도원지(桃原池)[* [[호수]] [[이름]]으로, 원래 이름은 숲밭못이지만 이걸 기억하는 사람은 못해도 2020년 기준으로 20대 후반일 것이다.] 주변에 공원을 조성한 것으로, 대구보훈병원에서 남쪽으로 5분 정도만 걸어가면 나온다.[* 사실 이것은 후술할 356번 버스 회차지가 위치한 정문 기준이고 공원 자체로 바로 들어가려면 정문에서 길을 건너면 목재 다리로 이어지는 산책로가 나온다. 걸어서 1분.] [[복숭아]]나무 등 40종 21,922본의 향토 수종이 식재되어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특히 [[장미]]가 많아 봄이면 장미[[축제]]가 열리고 공원 내에 [[동요]] 작곡가 [[박태준(작곡가)|박태준]]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월광(月光), 즉 달빛에서 따온 이름이라 달 속의 [[토끼]]와 연관을 지으려고 했는지 공원 안에 모 회사가 기증한 절구찧는 토끼 석상이 있었으며, [[태양|해]], [[달]], [[별]]을 형상한 조형물이 있다. 그러나 토끼 석상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져 현재는 없다.] 다목적운동장·롤러스케이트장·[[게이트볼]]장·[[농구]]장 등의 운동시설이 있으며 파고라와 벤치 등의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밖에도 여러 종류의 체력단련 시설, [[유모차]] 및 [[휠체어]] 무료 대여[* 단, 1시간 한정이다.], [[어린이]] 놀이터·[[자전거]] 전용도로 등이 있다.--그런데 표지판에 자전거를 타지말라고 적혀있다.-- 공원 옆에는 도원지, 뒤쪽은 삼필봉, 청룡[[산]]이 있어서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형태를 띠고 있다. 삼필봉과 연결되는 다리와 못뚝간을 연결하는 아치교인 월광교가 설치되어 있으며 삼필봉까지 2km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이 곳 말고도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대구수목원]], 화원자연휴양림, 화원마비정벽화마을, 달서구청소년수련관, 수밭마을, 달비골에서도 올라 올 수 있다.] [[등산]]객은 물론 [[가족]] 단위 나들이객과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산책]]이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인근의 대구보훈병원에 입원하신 [[어르신]]들의 산책 장소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 곳의 명물은 장미길과 음악분수다. 특히 음악분수는 야간에 보면 분수 조명, 호수 풍경, 인근 아파트 조명이 어우러져 굉장히 아름답다.[* [[여름]]에 가장 자주 볼 수 있으며 표지판에 분수가 가동되는 시간표가 있다. 다만 최근에는 시설 보수를 안 해서인지 조명이 다소 약해져 아쉬움을 사고 있다.] 인근에는 [[매점]] 2개와 [[식당]], 커피숍 등이 즐비하며 뒤쪽으로 올라가면 수밭마을이 있다. 대구보훈병원 아래 월곡네거리 인근에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4차순환도로]] 공사가 2013년 6월 3일자로 범물동까지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주위에서 아파트가 건설될 때는 십중팔구 아파트에서 공원과 저수지의 경치가 보인다고 광고하지만, 실제로 보이는 건 저 위 사진에 나와 있는 도원동 롯데캐슬레이크아파트와 서한이다음레이크뷰(일부 동)뿐이다. == [[대중교통]] == [[주차장]]이 있지만, 웬만하면 [[자가용]] 말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게 낫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 === 유일하게 공원 앞까지 들어오는 노선은 [[대구 버스 356|356번]]으로, 공원 [[매점]] 앞이 회차지다.[* 356번 전용 회차지가 있는데, 버스 2대가 회차할 수 있는 공간이다. 10분 대기 후 출발인지라 1대가 들어오면 주차되어 있던 1대가 출발하는 형식인데, 항상 맞아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서 2대가 동시에 주차하는 경우도 있다.] 공원이 열린 후 보훈병원에서 자연히 회차지를 옮겨 온 것. 아니면 [[대구 버스 649|649번]], [[대구 버스 653|653번]], [[대구 버스 706|706번]],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을 타고 와서 20분 정도 걸어와도 된다.[* 653번, 706번, 달서1번, 달서3번은 은행아파트 정류장, 649번은 월곡네거리 정류장이다. 은행아파트 정류장은 바로 내려서 걸어오면 되지만, 월곡네거리 정류장은 [[횡단보도]]를 한 번 건너야 한다. 다만 걸어오는 길은 심하지는 않지만 오르막이 존재한다. 356번을 타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 === [[지하철]] === 1호선 전철 [[상인역]]에서 올 수 있으나 걸어오면 거리가 2km가 넘어 걸어오면 약 40분이 걸리므로 환승해야 한다. [[상인역|상인네거리]]에서 월곡네거리까지 올라오는 길이 완만한 오르막길이고 월곡네거리에서 대구보훈병원으로 올라오는 길이 약간 경사가 있는 오르막길이니[* 대신 대구보훈병원에서 월광수변공원으로 가는 길은 내리막길이다.] 운동을 하고 싶지 않다면 차라리 영남중고교에서 [[대구 버스 356|356번]]으로 [[환승]]하거나 [[택시]]를 타고 오는 게 낫다. 다만 356번은 월배중학교 굴곡 구간이 있고, 양 방향으로 중간에 달비골(장미아파트)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게 단점이다. == 기타 == [[http://www.idaegu.com/?c=6&uid=320782|2015년 여름 수변공원에 공사를 해서 만든 다리의 디자인이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하여 입구에서 주민서명운동을 벌일 정도로 평판이 매우 좋지 않았다.]] [[http://www.idaegu.com/?c=6&uid=344881|다행히 2016년 여름에 새로 공사했는데 흰색 벽면이 목재 난간으로 바뀌어 주민들의 불만은 사그러든 듯하다.]] == 사건사고 == [[http://www.idaegu.co.kr/news.php?code=so07&mode=view&num=176379| 2015년 9월 공원 화장실에서 누군가 자살을 한 사건이 있었다.]] [[분류:달서구]][[분류:대구광역시의 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