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마법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Dimensionhole-BE01-JP-C.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웜홀, 일어판명칭=ワーム・ホール, 영어판명칭=Dimensionhole, 효과1=자신의 필드 위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다음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까지 필드 위에서 제외한다. 제외 중에는 선택한 몬스터의 몬스터 카드 존은 사용할 수 없다.)] 자신의 몬스터 1장을 다음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까지 제외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마법 카드이기 때문에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처럼 1턴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다음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까지 이기에 상대 턴에 몬스터가 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는 있다. 일반 마법이라 발동 속도는 스펠 스피드 2에도 효과가 적용되는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에 밀리지만, 자신의 몬스터를 제외해서 지킬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위해 다이랙트 어택과 패 한장을 희생해야 한다는 큰 리스크 때문에 사용을 안하는 카드 중 하나. 차라리 속공 마법이였으면 좋았을 듯. 그나마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덱이 유행이였을 당시에는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를 사용 할 수 없을 것을 대비해서 사이드 덱에 넣는 사람이 간혹 보였으나 이제는 쓰는 사람도 거의 없는 카드. 일단 [[포츈 레이디]] 덱에서 아공간이나 퓨쳐 비전을 쓰기 부담스럽다면 대신 투입할 수 있다. 다만 선턴에 포츈 레이디 라이티랑 이 카드가 둘 다 잡힐 확률이 적어서 부담스러운 편. 그리고 지박신 Aslla Piscu와도 상성이 좋은 편 퓨처 비전이 없다면 대신 이 카드를 사용해서 제외함으로 지박신 Aslla Piscu의 효과를 사용해서 상대 앞면 표시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다. 몬스터의 정보, 제약 등을 리셋시키는 카드들의 시조로, 되돌아오는 것이 엔드 페이즈는 아니라서 엔드 페이즈에 효과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 다수의 자괴 효과를 무효화할 수 있다. 자괴, 공격력 감소 등의 마이너스 영향을 리셋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공격력 상승 같은 플러스 영향까지 리셋되어버리니 주의. [[네오스]] 콘택트 융합체는 소환 턴 엔드 페이즈가 아니라 엔드 페이즈에 되돌아가는 효과니 돌아온 턴의 엔드 페이즈라 해도 얄짤없이 엑스트라 덱으로 돌아가버린다. 소생 계열 장착 마법으로 소생한 몬스터에게 사용했을 경우, 그 장착 마법은 대상 부재로 인해 파괴되지만 제외된 몬스터는 돌아와도 파괴되지 않는다. 즉 해당 카드들간의 관계가 단절되면서 완전 소생하게 되는 것이다.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도 마찬가지로, 이쪽은 대상을 잃고 그대로 필드에 남게 된다. [[육망성의 저주]]를 비롯한 몬스터에게 효과를 안겨주는 지속 카드도 대상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파괴된다는 처리가 따로 없다면 역시 따로 남는다. 신 마스터 룰에서 의외의 사용법이 생겼는데,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자신 몬스터를 제외하고 남은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다른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소환해버리면 상대는 다음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소환할 수 없게 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오토기 류지]]가 [[오오타 소이치로]]와의 듀얼에서 사용. [[기계왕]]의 공격력을 줄이기 위해 발동해 기계족이 되어버린 자신의 [[어둠의 암살자]]를 제외시켰다. 덕분에 다음에 소환된 [[기계왕|퍼펙트 기계왕]]의 공격으로 LP가 0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발동 후 다음 오토기의 턴이 오기 전에 듀얼이 끝나버려서 스탠바이 페이즈에 귀환하는 효과는 발동되지 않았다. 이후 유우기가 귀환 조건이 상대 턴으로 바뀐 '웜 슬립'이란 카드를 사용했다. 일러스트 또한 이 카드를 색반전 시킨 것.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는 [[알베르트 츠바인슈타인]]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알베르트 츠바인슈타인#마계산술사 라플러스|마계산술사 라플러스]]를 제외해 효과로 데미지를 주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12-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B-19 | '''Thousand Eyes Bible - 千眼の魔術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2-03-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E-48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ペガサス・J・クロフォード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12-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3-016 | DUELIST LEGACY Volume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6-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1-JP183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5-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1-JP156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10-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SV-069 | '''[[파라오의 사도(부스터 팩)|PHARAOH'S SERVA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1-EN185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SV-EN069 | [[파라오의 사도(부스터 팩)|PHARAOH'S SERVANT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06-1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SV-K069 | '''[[파라오의 사도(부스터 팩)|파라오의 사도]]'''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1-KR183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명칭=웜홀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ワーム・ホール, 영어판명칭=Dimensionhole, 효과1=마법: 발동한 칸으로 자신의 리더를 전이!)] 덱 리더로 지정한 몬스터를 이 카드를 발동한 칸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진 마법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