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영화의 주인공, rd1=윌리 웡카)] ||
{{{+1 {{{#white '''미국 개봉일까지'''}}}}}} || {{{+5 {{{#white '''D[dday(2023-12-15)]'''}}}}}} || ||<-2>
'''{{{+1 웡카}}}''' (2023)[br]Wonk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onka_Main_Poster_KR.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Wonka_Main_Poster.jpg|width=100%]]}}}}}} || || '''장르''' ||[[판타지]], [[뮤지컬]] || || '''감독''' ||폴 킹[* 영화 [[패딩턴(영화)|패딩턴]], [[패딩턴 2]]의 감독, 각본을 맡았다.]|| || '''제작''' ||데이비드 헤이먼[br]루크 켈리[br]알렉산드라 더비셔 || || '''각본''' ||사이먼 파너비[br]폴 킹 || || '''출연''' ||[[티모시 샬라메]] 외 || || '''음악''' ||닐 해넌(노래)[br]조비 탤벗(스코어) || || '''촬영''' ||[[정정훈(촬영감독)|정정훈]][* 원래 셰이머스 맥가비가 촬영하려고 했지만 하차했다.] || || '''편집''' ||마크 에버슨|| || '''미술''' ||네이선 크롤리|| || '''의상''' ||린디 헤밍|| || '''촬영 기간''' ||[[2021년]] [[10월]] ~ [[2022년]] [[3월 11일]] || || '''제작사''' ||헤이데이 필름[br][[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스트리밍''' ||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8일]] (예정)[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15일]] (예정)[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1월]] (예정) || || '''화면비''' || || || '''상영 시간''' ||분 || || '''상영 타입''' ||[[IMAX]] | [[2D]] || || '''제작비''' ||'''1억 25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명''' || ||<|2> '''[[영상물 등급 제도|{{{#ffd700 상영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 로고.svg|height=2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onkaMovie, 크기=25)] | [[https://instagram.com/wonkamov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wonkamovie.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EVERY GOOD THING IN THIS WORLD STARTED WITH A DREAM''' >---- >'''꿈에서 시작된 가장 달콤한 이야기''' [[로알드 달]]의 [[동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프리퀄]] 작품으로, 서브 주인공인 [[윌리 웡카]]의 과거사를 다룬 작품이다.[* 2005년판 영화에서 중간중간 웡카의 과거사가 짤막하게 언급되긴 했지만 이는 영화 오리지널 스토리이며, 원작 동화에서는 공장 설립 당시 이야기만 살짝 나올 뿐 그 외의 웡카의 이야기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2005년 영화]]가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1971년판]]의 리메이크였다면, 이 영화는 같은 원작의 세계관을 토대로 오리지널 이야기를 다룬다. == 개봉 전 정보 == * 2016년에 워너와 헤이데이 필름이 [[윌리 웡카]] 캐릭터 판권을 획득했다는 것을 발표했다.[[https://variety.com/2016/film/news/willy-wonka-new-movie-david-heyman-warner-bros-1201894143/|#]] 2018년에 패딩턴 시리즈의 폴 킹이 연출을 맡기로 결정하였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heat-vision/paddington-director-paul-king-talks-willy-wonka-1080166|#]] * [[프리퀄]]이기도 했지만 그 이상으로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리메이크 판]] 이후 '''17년''' 뒤에야 공개된 만큼 기존 배우들의 나이 문제로 대부분이 교체되었다. 윌리 웡카의 담당 배우는 [[조니 뎁]]에서 최종적으로 [[티모시 샬라메]]가 [[https://deadline.com/2021/05/timothee-chalamet-willy-wonka-warner-bros-1234762658/|되었으며]],[* 기존에 후보군으로 여겨지던 배우들은 [[도널드 글로버]], [[라이언 고슬링]], [[에즈라 밀러]]([[https://collider.com/donald-glover-ryan-gosling-willy-wonka-movie/|#]]), [[톰 홀랜드]]와 [[티모시 샬라메]] 등이 공개되었다. 최종적으로 톰과 티모시 두 명이 남았는데, 공교롭게도 이 둘은 똑같이 [[스파이더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파이더맨]] 역을 두고 경쟁한 적이 있으나 톰이 낙점되었던 스파이더맨과는 반대로 이번에는 티모시가 배역에 낙점되었다.] [[움파룸파]] 역도 [[딥 로이]]에서 [[휴 그랜트]]로 바뀌었다. * [[2023년]] [[4월 23일]], 시네마콘에서 첫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https://variety.com/2023/film/news/wonka-timothee-chalamet-hugh-grant-oompa-loompa-1235594142/|#]]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웡카 해외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Main_Poster.jpg|width=100%]]}}} || || {{{#ffd700 '''티저 포스터'''}}} || {{{#ffd700 '''메인 포스터'''}}} ||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KPost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nka_Main_Poster_KR.jpg|width=100%]]}}} || || {{{#ffd700 '''티저 포스터'''}}} || {{{#ffd700 '''메인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Willy_Wonka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Oompa_Loompa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Noodle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Piper_Benz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Lottie_Bell_KR.webp|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Abacus_Crunch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Larry_Chucklesworth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Cheif_of_Police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Father_Julius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Slugworth_KR.webp|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Prodnose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Fickelgruber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Mrs.Scrubitt_KR.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_Character_Poster_Bleacher_KR.webp|width=100%]]}}} || ||<-5> '''{{{#ffd700 캐릭터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c7j_wLYJ9Y)]}}} || || {{{#ffd700 '''1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yD-JZSYjXc)]}}} || || {{{#ffd700 '''2차 예고편'''}}} || == 시놉시스 == == 등장인물 == * [[티모시 샬라메]] - [[윌리 웡카]] 역 * 칼라 레인 - 누들 역 * [[키건마이클 키]] - 경찰서장 역 * 패터슨 조지프 - 아서 슬러그워스 역 * 맷 루카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트위들 형제, [[닥터후]]의 [[나돌]] 역으로 유명한 영국 배우.] - 프로드노즈 역 * 매슈 베인턴 - 피클그루버 역 * [[샐리 호킨스]] - 윌리 웡카의 어머니 역 * [[로완 앳킨슨]] - 줄리어스 신부 역 * 짐 카터 - 애버커스 크런치 역 * 톰 데이비스 - 블리처 역 * [[올리비아 콜먼]] - 스크러빗 부인 역 * [[휴 그랜트]] - [[움파룸파]] 역 * 나타샤 로스웰[* [[수퍼 소닉 시리즈]]의 '레이첼'로 출연한 배우.] - 파이퍼 벤츠 역 * 리치 펄처 - 래리 처클스워스 역 * 라크히 타크라르 - 로티 벨 역 * 코브나 홀드브룩스미스 * 사이먼 파나비[* 영국의 코미디언. 본작의 각본가이기도 하다.] * 콜린 오브라이언 * 엘리 화이트 * 머리 맥아더 * 트레이시 이파처 * 이시 서티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 메타크리틱=, 메타크리틱_critic=, 메타크리틱_user=, ##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 로튼토마토=, 로튼토마토_tomato=, 로튼토마토_popcorn=,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IMDb=, IMDb_user=, ## IMDb_highlight=display, ## IMDb_list=, IMDb_rank=, ## IMDb_date=, ## 레터박스=, 레터박스_user=,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 알로시네=,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 Filmarks=, Filmarks_user=, ## Filmarks_highlight=display, ## 도우반=, 도우반_user=, ## 도우반_highlight=display,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야후키모_highlight=display, ## 왓챠=, 왓챠_user=, ## 왓챠_highlight=display, ## 키노라이츠=,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다음영화_highlight=display, ## CGV=, CGV_egg=, ## CGV_highlight=display,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 MRQE=, MRQE_user=, ## MRQE_highlight=display, ## 시네마스코어=,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 TMDB=, TMDB_user=,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 RogerEbertcom=, RogerEbertcom_user=,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 JustWatch=, JustWatch_user=,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맥스무비=,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 씨네21=,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 엠파이어=, 엠파이어_user=,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 인디와이어=, 인디와이어_user=,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 흥행 == === [[대한민국]] === === [[북미]] === * 개봉 전 * 2023년 11월 16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2,500만~3,5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1억 2,500만~2억 1,000만 달러로 예측했다. [[Z세대]] 관객층을 끌어들일 수 있는 주연 [[티모시 샬라메]]의 존재감, [[SAG-AFTRA|미국배우조합]] 파업이 종료됨에 따라 가능해진 프로모션 활동, 1971년작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과 2005년작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개봉으로 여럿 세대 관객층들에게 IP를 유지시킨 결과 가족 단위 관객층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가능성, 12월 초부터 개봉주까지 큰 경쟁작이 없고 개봉 2주 차에 개봉하는〈[[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이 엇갈리는 기대감을 받고 있어 입소문을 내는 데에 성공할 경우 12월 말의 연휴 기간까지 흥행을 이어갈 수 있는 일정을 흥행의 요소로 보았다. 그러나 2018년작 〈[[메리 포핀스 리턴즈]]〉가 어느 정도 흥행하긴 했으나 당시 기대보다 낮은 성적을 거둔 것에서 보여진 것처럼 현대 시장에서 흥행하기 쉽지 않은 뮤지컬이라는 장르와 최근 그리 높지 않은 성과를 거둔 선례가 많은 오래된 IP의 작품이라는 약점, 이전에 비해 관객들이 더욱 선택적으로 극장 관람을 하고 있어 2주 차에 개봉하는 〈[[인투 더 월드]]〉의 존재로 가족 관객층을 두고 크리스마스 연휴 기간 해당 작품과 예정된 경쟁을 불안 요소로 보았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wonka|#]] == 기타 == * 본작은 기본적으로 동화 원작의 영화지만 같은 영화 시리즈 중에서는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2005년판]]보다는 [[초콜릿 천국|1971년판]]의 오마주에 가깝다. 전체적인 디자인도 2005년보다는 1971년에 가까운 구조이며 시대적인 배경 역시 기본적으로 원작의 출간 시기였던 60년대의 분위기를 띄되 현대적인 시간적 배경도 반영한 2005년판보다 훨씬 전의 과거의 느낌을 낸다. 웡카와 그 배우의 외형도 조니 뎁보다는 [[진 와일더]]와 비슷하다.[* 심지어 진 와일더와 티모시 샬라메는 키도 178cm으로 동일하다.] 또한 [[휴 그랜트]]가 분장한 움파룸파 디자인과 피리 소리, 춤 동작이 1971년 영화의 움파룸파랑 똑같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2194437?|#]][[https://extmovie.com/movietalk/91215051|#]] * 폴 킹의 인터뷰에 따르면 웡카는 젊은 시절의 윌리 웡카가 급격하게 부풀린 가격으로 사탕을 판매하는 고급 초콜릿 가게들이 있는 꽉막힌 유럽의 초콜릿 중심지에 오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라고 한다. 이래서 초콜릿 카르텔이라는 단어가 나온 것이라고. 폴 킹은 티모시를 두고 "그의 연기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웡카가 재미있고 장난스럽고 매우 신비롭다는 것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알게 될 윌리 웡카처럼 그 역할에 그런 마음을 가져다주는 뛰어난 배우라는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 [[https://twitter.com/val_gal78/status/1678763400833417216|#]] 한편 주연배우 티모시 샬라메는 [[보그]] 지와의 인터뷰에서 웡카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젊은 관객이 시니컬하지 않을 수 있는 영화를 만든다는 게 큰 기쁨이었고, 그래서 끌렸어요. 나쁜 소식이 넘쳐나고, 정치적 불안정성이 심화되는 시대에 웡카가 한 조각의 초콜릿처럼 느껴졌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https://www.vogue.co.kr/2023/05/16/chanel-bleu-x-vogue-ambassador-announcement-exclusive/?fbclid=PAAaY15p8cmRlQnqq3-GcjOF28fDUvWPuJyTksghsYhdGRIKGmCf6sbzKH9Cg|#]] 그래서인지 예고편의 젊은 웡카는 과거 버전의 냉소적인 괴짜 캐릭터가 아닌 위대한 초콜릿 메이커가 되고 싶어하는 열정과 희망이 가득한 괴짜 발명가처럼 묘사되는 감이 있다. * 미국 개봉일이 12월 15일로 잡힌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명백히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을 노린 영화지만 해당 날짜에 동시 개봉하는 일본과는 달리 한국에선 동시 개봉이 아닌 다음 해에 개봉하는지라 아쉬워하는 한국 팬들이 많다.[* [[노량: 죽음의 바다]]가 북미 개봉일과 비슷한 시기에 한국에서 개봉하기 때문인 듯하다.] 다만 할리우드 배우 파업으로 인해 연말 개봉작들이 전부 내년으로 개봉이 연기되었기 때문에 개봉일이 앞당겨질 여지는 충분히 있다. 그런데 개봉일을 앞당긴 일본이 주요 국가 중에서는 가장 먼저 개봉하는 외화라는 드문 현상이 나왔다. * 국내 포스터에서는 ''''초콜릿보다 달콤한 이야기의 시작' '''이라고 적혀있지만, 북미 포스터에서는 ''''Discover how Willy became...' '''이라 적혀있다. 이는 영화의 제목인 '웡카'와 합치면 ''''Discover how Willy became Wonka' '''. 즉 이 영화는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프리퀄임을 알려주는 요소다. 이와 비슷하게 국내에서도 프리퀄임을 명시하기 위해 위와 같은 문구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북미 포스터의 문구를 직역하면 '윌리가 어떻게 웡카가 되었는지 밝힌다'라는 아무리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만든다 할지어도 결과적으론 [[발번역]]에 지나지 않기에 다른 문구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찰리와 초콜릿 공장]][[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분류:영국의 뮤지컬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영국의 판타지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2023년 영화]][[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프리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