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영화의 주인공, rd1=윌리 웡카)] [include(틀:폴 킹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1 웡카}}}''' (2023)[br]Wonk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onka_Main_Poster_KR.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Wonka main poster.jpg|width=100%]]}}}}}} || || '''장르''' ||[[판타지]], [[뮤지컬]] || || '''감독''' ||폴 킹[* 영화 [[패딩턴(영화)|패딩턴]], [[패딩턴 2]]의 감독, 각본을 맡았다.]|| || '''각본''' ||사이먼 파너비[br]폴 킹 || || '''제작''' ||데이비드 헤이먼[br]루크 켈리[br]알렉산드라 더비셔 || || '''출연''' ||[[티모시 샬라메]] 외 || || '''음악''' ||닐 해넌(노래)[* 디바인 코미디 명의로 유명한 가수][br]조비 탤벗(스코어) || || '''촬영''' ||[[정정훈(촬영감독)|정정훈]][* 원래 셰이머스 맥가비가 촬영하려고 했지만 하차했다.] || || '''편집''' ||마크 에버슨|| || '''미술''' ||네이선 크롤리|| || '''의상''' ||린디 헤밍|| || '''촬영 기간''' ||[[2021년]] [[10월]] ~ [[2022년]] [[3월 11일]] || || '''제작사''' ||헤이데이 필름[br][[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스트리밍''' || || || '''개봉일'''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7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8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2월 15일]]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1월 31일]] || || '''화면비''' ||[[시네마스코프|2.39:1]] || || '''상영 시간''' ||116분 (1시간 56분 5초) || || '''상영 타입''' ||[[2차원|2D]] ^^자막/더빙^^ | [[4DX]] | [[MX4D]] | [[IMAX]] | [[SCREENX]] | [[Dolby Cinema]] || || '''제작비''' ||'''1억 2,500만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552,225,218''' ^^([[2024년]] [[1월 29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6166392/|기준]])^^ || || '''북미 박스오피스''' ||'''$194,925,218''' ^^([[2024년]] [[1월 29일]] 기준)^^||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81,182명''' ^^(2024년 1월 31일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in/findDailyBoxOfficeList.do|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ffd700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 로고.svg|height=20]]]]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onkaMovie, 크기=25)] | [[https://instagram.com/wonkamov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wonkamovie.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EVERY GOOD THING IN THIS WORLD STARTED WITH A DREAM''' >---- >'''꿈에서 시작된 가장 달콤한 이야기''' [[로알드 달]]의 [[동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프리퀄]] 작품으로, 서브 주인공인 [[윌리 웡카]]의 과거사를 다룬 작품이다.[* 2005년판 영화에서 중간중간 웡카의 과거사가 짤막하게 언급되긴 했지만 이는 영화 오리지널 스토리이며, 원작 동화에서는 공장 설립 당시 이야기만 살짝 나올 뿐 그 외의 웡카의 이야기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2005년 영화]]가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1971년판]]의 리메이크였다면, 이 영화는 1971년판의 세계관을 토대로 원작 이전의 오리지널 이야기를 다룬다. ==# 개봉 전 정보 #== * 2016년에 워너와 헤이데이 필름이 [[윌리 웡카]] 캐릭터 판권을 획득했다는 것을 발표했다.[[https://variety.com/2016/film/news/willy-wonka-new-movie-david-heyman-warner-bros-1201894143/|#]] 2018년에 패딩턴 시리즈의 폴 킹이 연출을 맡기로 결정하였다.[[https://www.hollywoodreporter.com/heat-vision/paddington-director-paul-king-talks-willy-wonka-1080166|#]] * [[프리퀄]]이기도 했지만 그 이상으로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리메이크 판]] 이후 '''17년''' 뒤에야 공개된 만큼 기존 배우들의 나이 문제로 대부분이 교체되었다. 윌리 웡카의 담당 배우는 [[조니 뎁]]에서 최종적으로 [[티모시 샬라메]]가 [[https://deadline.com/2021/05/timothee-chalamet-willy-wonka-warner-bros-1234762658/|되었으며]],[* 기존에 후보군으로 여겨지던 배우들은 [[도널드 글로버]], [[라이언 고슬링]], [[에즈라 밀러]]([[https://collider.com/donald-glover-ryan-gosling-willy-wonka-movie/|#]]), [[톰 홀랜드]]와 [[티모시 샬라메]] 등이 공개되었다. 최종적으로 톰과 티모시 두 명이 남았는데, 공교롭게도 이 둘은 똑같이 [[스파이더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스파이더맨]] 역을 두고 경쟁한 적이 있으나 톰이 낙점되었던 스파이더맨과는 반대로 이번에는 티모시가 배역에 낙점되었다.] [[움파룸파]] 역도 [[딥 로이]]에서 [[휴 그랜트]]로 바뀌었다. * [[2023년]] [[4월 23일]], 시네마콘에서 첫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https://variety.com/2023/film/news/wonka-timothee-chalamet-hugh-grant-oompa-loompa-1235594142/|#]]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웡카 해외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 main poster.jpg|width=100%]]}}} || || {{{#ffd700 '''티저 포스터'''}}} || {{{#ffd700 '''메인 포스터'''}}} || ||<-2><^|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웡카 한국 티저 포스터.jpg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nka_Main_Poster_KR.jpg|width=100%]]}}} || || {{{#ffd700 '''티저 포스터'''}}} || {{{#ffd700 '''메인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윌리 웡카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움파룸파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누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파이퍼 벤츠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로티 벨 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아바커스 크런치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래리 처클스워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경찰서장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줄리어스 신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슬러그워스 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프로드노즈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피켈그루버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스크러빗 부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블리처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웡카2023.png|width=100%]]}}} || ||<-5> '''{{{#ffd700 캐릭터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 IMAX.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Wonka 4DX poster.jpg|width=100%]]}}} || || {{{#ffd700 '''IMAX 포스터'''}}} || {{{#ffd700 '''4DX 포스터'''}}}[* Dolby Cinema 포스터는 티저 포스터의 뒷 배경이 쓰였는데, 티모시 샬라메의 눈동자 방향이 4DX 포스터와 [[:파일:윌리 웡카 시점 차이.jpg|조금 다르게 되어있다.]]]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Ac7j_wLYJ9Y)]}}} || || {{{#ffd700 '''1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yD-JZSYjXc)]}}} || || {{{#ffd700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여정''' >'''좋은 일은 모두 꿈에서부터 시작된다!''' > >마법사이자 초콜릿 메이커 '윌리 웡카'의 꿈은 >디저트의 성지, '달콤 백화점'에 자신만의 초콜릿 가게를 여는 것. >가진 것이라고는 낡은 모자 가득한 꿈과 단돈 12소베른 뿐이지만 >특별한 마법의 초콜릿으로 사람들을 사로잡을 자신이 있다. > >하지만 먹을 것도, 잠잘 곳도, 의지할 사람도 없는 상황 속에서 >낡은 여인숙에 머물게 된 '웡카'는 '스크러빗 부인'과 '블리처'의 계략에 빠져 >눈더미처럼 불어난 숙박비로 인해 순식간에 빚더미에 오른다. >게다가 밤마다 초콜릿을 훔쳐가는 작은 도둑 '움파 룸파'의 등장과 >'달콤 백화점'을 독점한 초콜릿 카르텔의 강력한 견제까지. >세계 최고의 초콜릿 메이커가 되는 길은 험난하기만 한데 == 등장인물 == * [[티모시 샬라메]] / [[심규혁]](대사), 임단우(노래) - [[윌리 웡카]] 역 * 칼라 레인 / [[안소명]] - 누들 역 * [[키건마이클 키]] / [[이장원(성우)|이장원]] - 경찰서장 역 * 패터슨 조지프 / [[변영희]] - 아서 슬러그워스 역 * 맷 루카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트위들 형제, [[닥터후]]의 [[나돌]] 역으로 유명한 영국 배우.] / [[홍진욱]] - 제럴드 프로드노즈 역 * 매슈 베인턴 / [[위훈]] - 필릭스 피켈그루버 역 * [[샐리 호킨스]] - 윌리 웡카의 어머니 역 * [[로완 앳킨슨]] / [[유해무]] - 줄리어스 신부 역 * 짐 카터 / [[송용태]] - 애버커스 크런치 역 * 톰 데이비스 / [[시영준]] - 블리처 역 * [[올리비아 콜먼]] / [[전숙경]] - 스크러빗 부인 역 * [[휴 그랜트]] / [[이정열(배우)|이정열]] - [[움파룸파]] 역 * 너태샤 로스웰[* [[수퍼 소닉 시리즈]]의 '레이첼'로 출연한 배우.] / [[정유정(성우)|정유정]] - 파이퍼 벤츠 역 * 리치 펄처 / [[송준석(성우)|송준석]] - 래리 처클스워스 역 * 라크히 타크라르 / [[이재현(성우)|이재현]] - 로티 벨 역 * 코브나 홀드브룩스미스 / [[서문석]] - 애퍼블 경관 역 * 사이먼 파너비[* 영국의 코미디언. 본작의 각본가이기도 하다.] - ? * 콜린 오브라이언 - ? * 엘리 화이트 - ? * 머리 맥아더 - ? * 트레이시 이파처 - ? * 이지 서티 - ?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wonka, 메타크리틱_critic=66, 메타크리틱_user=6.7,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wonka, 로튼토마토_tomato=83, 로튼토마토_popcorn=91,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6166392, IMDb_user=7.2, IMDb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wonka, 레터박스_user=3.4,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 레터박스_list=, 레터박스_rank=, ## 레터박스_date=, 알로시네=251105, 알로시네_presse=3.4, 알로시네_spectateurs=3.8,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MYmoviesit=wonka, MYmoviesit_MYMOVIES=3.00, MYmoviesit_CRITICA=3.02, MYmoviesit_PUBBLICO=3.48, ## MYmoviesit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1013343, 키노포이스크_user=7.3,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야후재팬영화_highlight=display, Filmarks=95093, Filmarks_user=4.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26897888, 도우반_user=7.5,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 야후키모_highlight=display, 왓챠=mdMRXxl, 왓챠_user=3.3,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00220, 키노라이츠_light=92.31, 키노라이츠_star=3.4,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웡카, 네이버영화_audience=7.88,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 네이버영화코드=, 네이버영화_audience=, ## 네이버영화코드_highlight=display, CGV=87937, CGV_egg=94, ## CGV_highlight=display, 롯데시네마=20701, 롯데시네마_user=9.3, ## 롯데시네마_highlight=display, 메가박스=23094400, 메가박스_user=8.8, ## 메가박스_highlight=display, MRQE=wonka-m100146342, MRQE_user=70, ## MRQE_highlight=display, 시네마스코어=A-, ## 시네마스코어_highlight=display, TMDB=787699-wonka, TMDB_user=73,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wonka, 무비파일럿_user=6.7,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wonka-film-review-2023, RogerEbertcom_user=3,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 MyDramaList=, ## MyDramaList_user=,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 라프텔=, 라프텔_user=, ## 라프텔_highlight=display,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MyAnimeList_highlight=display,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GooglePlay무비_highlight=display,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네이버시리즈온_highlight=display, JustWatch=weongka, JustWatch_user=90, ## JustWatch_highlight=display, 맥스무비=M000119565, 맥스무비_user=, ## 맥스무비_highlight=display, 씨네21=61087, 씨네21_expert=6.83, 씨네21_user=7.00, ## 씨네21_highlight=display, ## 갤럭시시네마=, ## 갤럭시시네마_user=, ## 갤럭시시네마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wonka, 엠파이어_user=4,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wonka-review-timothee-chalamet-1234931285,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 평론가 및 관객들에게 대체로 좋은 평을 받고 있다. [[패딩턴(영화)|패딩턴]]과 [[패딩턴 2]]에서 선보인 바 있던 폴 킹의 훈훈한 가족영화적인 연출이 웡카 세계관과 잘 맞아떨어졌다는 평이다. 한국에서도 대부분 평가가 좋다. 다양한 초콜릿이 나오고, 중간중간 재미있는 장면들[* 그중에서도 경찰서장이 '다음 번에는 혹 난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고 으름장을 내놓자 웡카가 "나 혹 안 났는데?" 하고 대꾸하는 장면, 웡카가 맨홀 뚜껑을 열고 경찰로부터 유유히 탈출하는 장면 등이 있다.]도 꽤 많아서 보는 재미가 있다. 게다가 관람하고 나서 초콜릿을 사먹고 집으로 들어간다는 후기도 심심찮게 볼 수 있을 정도. 다만 [[찰리와 초콜릿 공장|원작 소설]] 및 다른 배우가 맡았던 웡카 영화들[*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1971년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2005년 영화]]]과의 또다른 분위기, 뮤지컬 영화라는 점이 일부 관객들에게 호불호가 갈린다. === 평론가 평 === >With director Paul King at the helm and some solid new songs at the ready, the warmly old-fashioned ''Wonka'' puts a suitably sweet spin on the classic character while still leaving some room for the source material's darker undertones. >'''폴 킹 감독이 지휘봉을 잡고 탄탄한 신곡을 준비한 가운데, 따뜻하고 고풍스러운 '웡카'는 고전적인 캐릭터에 적절하게 달콤한 회전을 가하는 동시에 원재료의 더 어두운 기조를 위한 여지를 남겨둔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팀 버튼 카카오에 스필버그 흑설탕을 듬뿍''' - [[박평식]](★★★) >---- >'''그의 노래, 그의 초콜릿이 주는 행복감에 취한다'''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단 초콜릿 위에 더 단 토핑이 잔뜩''' - 허남웅(★★☆) >---- >'''로알드 달보다는 폴 킹의 인장이 강한, 무해한 낙관의 세계''' - [[임수연]](★★★☆) >---- >'''달콤하지만 하늘에 뜰 정도는 아닌''' - 김철홍(★★★) >---- >'''뒷모습에 빛이 내릴 때, 옆모습에 어둠이 드리울 때 증명되는 할리우드 배우의 고전적 마력''' - 이우빈(★★★☆) >---- >'''낯선 문화를 향한 관용과 연대를 녹인 폴 킹의 달콤한 낙관''' - 정재현(★★★☆) >---- >'''결국 읽을 줄 아는 사람이 되는 노동자들의 낙관과 전략, 달콤한 마법''' - 이자연(★★★) >---- >[[씨네21]]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6166392/|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3년]] [[12월 7일]] || '''$535,063,005''' || '''[[2024년]] [[1월 25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2023년]] [[12월 15일]] || '''$189,263,005''' || [[2024년]] [[1월 25일]]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023년]] [[12월 15일]] || '''$7,000,000''' || [[2023년]] [[12월 24일]]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023년]] [[12월 7일]] || $21,068,445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2023년]] [[12월 7일]] || $8,600,000 || [[2023년]] [[12월 24일]]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2023년]] [[12월 8일]] || $71,663,209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2023년]] [[12월 8일]] || $25,105,145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 [[2023년]] [[12월 8일]] || $13,721,678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 [[2023년]] [[12월 8일]] || $24,987,399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2023년]] [[12월 8일]] || $15,031,045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2023년]] [[12월 14일]] || $15,032,253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2023년]] [[12월 14일]] || $20,920,063 || [[2024년]] [[1월 14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024년]] [[1월 31일]] || $ || || 본작의 제작비는 1억 2,500만 달러로, 손익분기점은 보통 제작비의 2.5배라는 것을 감안할 때, 3억 달러 내외로 추정된다. 크리스마스와 새해 연휴에 상당히 좋은 드롭율을 보이며, 전세계적으로 4억 달러[* 한국 시간으로 2024년 1월 3일에 4억불을 돌파했다. [[https://twitter.com/HollywoodHandle/status/1742439968704790670|#]]]가 넘는 흥행을 기록하여 흥행에 성공하였다. 특히 유럽과 남아메리카 시장에서 상당한 수익을 거뒀으며, 영국에선 [[2023년]] 개봉작 박스오피스 4위를 기록할 정도로 상당히 순항 중이다. 1월에 경쟁작이 없다는 것, 그리고 아직 미 방학 시즌이 끝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박스오피스 레딧에서는 본작의 최종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를 약 5-6억 달러로 예측했다. === [[대한민국]] ===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
<#000>{{{#fff '''누적관객수 181,182명, 누적매출액 1,508,332,041원'''}}}[* ~ 2024/01/31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fff,#2d2f34>{{{#!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1,518명 || 1,518명 || 미집계 || 20,603,000원 || 20,603,000원 || ||<|7> 1주차 ||2024-01-31. 1일차(수) || 179,664명 ||<|7> -명 || '''1위''' || 1,487,729,041원 ||<|7> -원 || ||2024-02-01.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2-02.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2-03.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2-04.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2-05.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2-06.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24-02-07.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2-08.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2-09.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2-10.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2-11.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2-12.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2-13.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24-02-14.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2-15.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2-16.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2-17.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2-18.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2-19.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2-20.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24-02-21.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4-02-22.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24-02-23.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24-02-24.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24-02-25.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24-02-26.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24-02-27.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 개봉 전 * 개봉 일정으로 보았을 때 개봉 전 주에 개봉한 〈[[시민덕희]]〉가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해올 것이 유력한 때에 개봉하는데, 전술 작품이 크게 흥행할 것이라고는 기대하기 어려운 초기 흥행 추이를 보이고 있는 데다가 개봉이 1주 늦음에도 전술 작품과 비등한 예매율을 기록해온 전적으로 보아 개봉과 함께 박스오피스 1위를 가져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거기에 기존 작품 〈[[노량: 죽음의 바다]]〉, 〈[[서울의 봄(영화)|서울의 봄]]〉, 〈[[외계+인 2부]]〉, 〈[[위시(애니메이션)|위시]]〉 등 〈시민덕희〉 외의 기존 박스오피스 상위권 작품들은 장기 상영에 들어서면서[* 개봉주를 기준으로 〈노량: 죽음의 바다〉는 개봉 7주 차, 〈서울의 봄〉은 개봉 11주 차, 〈외계+인 2부〉는 개봉 4주 차, 〈위시〉는 개봉 5주 차에 접어든다.] 기존 작품들과의 경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더해 작년 11월에 개봉한 〈[[더 마블스]]〉, 〈[[프레디의 피자가게(영화)|프레디의 피자가게]]〉 이후로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한 실사 외화 영화가 없고, 〈위시〉를 제외하면 한국 작품들, 그 중에서도 가볍게 보기엔 거리가 있는 한국 작품들이 대부분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차지해온 터라 이에 지친 관객들이 가볍게 볼 수 있는 외화 작품으로 시선을 돌릴 가능성이 있다. 거기에 준수한 사전 평가, 선개봉한 해외에서의 높은 흥행, 개봉일과 겹친 [[문화가 있는 날]]과 2주 차의 설 연휴로 인해 평소보다 많은 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 환경, IMAX, 4DX, ScreenX 등 폭넓게 확보한 특별관 등이 흥행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2주 차의 설 연휴를 노리고 개봉하는 다수 작품과 5주 차의 같은 배급사 〈[[듄: 파트 2]]〉의 존재로 장기적으로 흥행하기에 걸림돌이 많으며, 2005년 개봉한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이 마지막 실사화인 《[[찰리와 초콜릿 공장]]》이라는 오래된 IP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개봉 이전 관객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제한점이 있다는 불안 요소가 있다. * 예매 추이 * 개봉 7일 전인 1월 24일, 16시 30분경 4만 1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21.5%의 예매율로〈시민덕희〉를 제치고 예매율 1위를 달성했다. 그러나 주말에 근접하며 예매 관객을 다수 확보해나가는 〈시민덕희〉와 1위 자리를 두고 경쟁을 이어간 끝에 다시 1위 자리를 내어주었으며, 확실히 1위 자리를 가져가기에는 조금의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개봉 4일 전인 1월 27일, 관람이 크게 이루어지는 주말에 돌입해 예매 관객 수가 저하되면서 예매율이 하락한 〈시민덕희〉를 제치고 예매율 1위를 재차 달성했다. * 개봉 3일 전인 1월 28일, 11시경 30%의 예매율을, 17시경 4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2일 전인 1월 29일, 2시경 10만 명의 예매 관객 수를 돌파했다. * 개봉 1일 전인 1월 30일, 22시경 5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17만 7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50.4%의 예매율로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 1주 차 * 이 주 차에서는 본작 외의 크게 특기할 만한 주요 개봉작은 없다. * 위의 요소로 인해 기존 작품들과의 경쟁이 예상되나 기존 작품들의 흥행 추세상 큰 위협이 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거기에 과반 정도의 예매율을 기록하면서 이 주 차 동안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할 것이 사실상 확정적이다. 특히 개봉일 자정에서의 예매 관객 수는 근래 개봉작 중 31만 4천여 명을 기록했던 〈[[노량: 죽음의 바다]]〉 이후 최고 기록이며, 이에 따라 전술 작품 이후 개봉한 작품들의 흥행 추세보다 높은 흥행 추세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전술했듯 2주 차의 설 연휴를 노리고 개봉하는 다수 작품들의 존재로 입지의 분산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저들의 공세를 버틸 수 있도록 가볍게 볼 수 있는 외화 작품이라는 입지를 확고히 하는 것이 이 주 차의 관건으로 여겨진다. * 2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데드맨(영화)|데드맨]]〉, 〈[[도그데이즈]]〉, 〈[[소풍(한국 영화)|소풍]]〉, 〈[[아가일]]〉 등이 있다. === [[북미]] === ||<-5>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ffffff '''웡카''' }}}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2> → || 2024년 1주차 ||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ffffff '''웡카''' }}} || 웡카 || || 2023년 52주차 ||<|2> → || '''2024년 1주차''' ||<|2> → || 2024년 2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 [[퀸카로 살아남는 법(2024)|퀸카로 살아남는 법]] || ||<-5>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개봉 전 * 2023년 11월 16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2,500만~3,5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1억 2,500만~2억 1,000만 달러로 예측했다. [[Z세대]] 관객층을 끌어들일 수 있는 주연 [[티모시 샬라메]]의 존재감, [[SAG-AFTRA|미국배우조합]] 파업이 종료됨에 따라 가능해진 프로모션 활동, 1971년작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과 2005년작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개봉으로 여럿 세대 관객층들에게 IP를 유지시킨 결과 가족 단위 관객층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가능성, 12월 초부터 개봉주까지 큰 경쟁작이 없고 개봉 2주 차에 개봉하는〈[[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이 엇갈리는 평을 받고 있어 입소문을 내는 데에 성공할 경우 12월 말의 연휴 기간까지 흥행을 이어갈 수 있는 일정을 흥행의 요소로 보았다. 그러나 2018년작 〈[[메리 포핀스 리턴즈]]〉가 어느 정도 흥행하긴 했으나 당시 기대보다 낮은 성적을 거둔 것에서 보여진 것처럼 현대 시장에서 흥행하기 쉽지 않은 뮤지컬이라는 장르와 최근 그리 높지 않은 성과를 거둔 선례가 많은 오래된 IP의 작품이라는 약점, 이전에 비해 관객들이 더욱 선택적으로 극장 관람을 하고 있어 2주 차에 개봉하는 〈[[인투 더 월드]]〉와 가족 관객층을 두고 크리스마스 연휴 기간 예정된 경쟁을 불안 요소로 보았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wonka|#]] * 11월 30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3,200만~4,2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1억 7,500만~2억 5,200만 달러로 이전 예측보다 20%가량 상승한 수치로 재예측했다. [[https://www.boxofficepro.com/long-range-box-office-forecast-the-color-purple-hopes-to-stand-out-over-christmas-and-new-years|#]] * 1주 차 * 1주 차 주말까지 약 3,900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약 582만 달러를 기록한 〈[[헝거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를 따돌리고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했다. [[https://www.boxofficepro.com/weekend-box-office-wonka|#]] * 2주 차 * 전주 대비 55% 하락한 1,77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말이 끝난 개봉 10일 차까지 7,520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한편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해 같은 기간 약 2,810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한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에 밀려 주말 박스오피스 2위로 하락했다. [[https://www.boxofficepro.com/weekend-box-office-aquaman-wonka-migration|#]] * 3주 차 * 전주 대비 33% 상승한 2,39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말이 끝난 개봉 17일 차까지 1억 3,460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한편 같은 기간 1,95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을 제치고 주말 박스오피스 1위로 상승했다. [[https://www.boxofficepro.com/weekend-box-office-wonka-aquaman-lost-kingdom-migration-color-purple|#]] * 4주 차 * 전주 대비 40% 하락한 1,44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말이 끝난 개봉 24일 차까지 1억 6,460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한편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해 1,20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Night Swim〉을 따돌리고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며 총 세 차례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는데, 같은 작품이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세 차례 기록한 것은 당해 9월에 개봉한 〈[[더 넌 2]]〉 이후로 처음이다. [[https://www.boxofficepro.com/weekend-box-office-wonka-night-swim-aquaman-lost-kingdom-migration-anyone-but-you|#]] * 5주 차 * 전주 대비 40% 하락한 83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말이 끝난 개봉 31일 차까지 1억 7,610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한편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해 2,80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퀸카로 살아남는 법(2024)|퀸카로 살아남는 법]]〉, 1,68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비키퍼]]〉에 밀려 주말 박스오피스 3위로 하락했다. [[https://www.boxofficepro.com/weekend-box-office-mean-girls-beekeeper-book-of-clarence|#]] * 6주 차 * 전주 대비 21% 하락한 671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말이 끝난 개봉 38일 차까지 약 1억 8,744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https://www.boxofficepro.com/weekend-box-office-mean-girls-beekeeper-wonka-anyone-but-you-migration-iss|#]] * 7주 차 * 전주 대비 12% 하락한 59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말이 끝난 개봉 45일 차까지 1억 9,510만 달러의 누적 흥행을 기록했다. [[https://www.boxofficepro.com/weekend-box-office-beekeeper-mean-girls-fighter|#]] === [[영국]] === ||<-5>
{{{#ffffff '''영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48주차 ||<|2>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 || [[나폴레옹(영화)|나폴레옹]]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2> → || 2024년 1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52주차 ||<|2> → || '''2024년 1주차''' ||<|2> → || 2024년 2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웡카 || || 2024년 1주차 ||<|2> → || '''2024년 2주차''' ||<|2> → || 2024년 3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미정'' || ||<-5> [[https://www.britinfo.net/cinema/ukbox.htm|영국 박스오피스 브릿인포 기준]] ||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를 제치고 [[2023년]] 영국 박스오피스 순위 4위에 오르는 등 대단한 흥행 기세를 보이고 있다. === [[독일]] === ||<-5>
{{{#ffd700 '''독일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48주차 ||<|2>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 || [[위시(애니메이션)|위시]]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german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독일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There's Still Tomorrow || {{{#ffffff '''웡카''' }}} || 웡카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 [[위시(애니메이션)|위시]]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일본]] === ||<-5>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날아라 사이타마 비와호로부터 사랑을 담아 || {{{#bc002d '''웡카'''}}} || [[위시(애니메이션)|위시]]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by-year/?area=JP|박스오피스 모조]]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endForeignBoxOfficeList.do|KOBIS]] ||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0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첫 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2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3위로 하락했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3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4위로 하락했다. ||{{{#!folding[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023년 5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4주차에는 일본 박스오피스 4위를 유지하였다. ||{{{#!folding[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2024년 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5주차에는 일본 박스오피스 6위로 하락하였다. ||{{{#!folding[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2024년 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6주차에는 일본 박스오피스 10위로 하락하였다. === [[대만]] === ||<-5>
{{{#ffffff '''중화민국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48주차 ||<|2>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 || 富都青年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5> [[http://tw.dorama.info/drama/d_box_idx.php|대만 박스오피스]] || === [[멕시코]] === ||<-5>
{{{#ffffff '''멕시코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48주차 ||<|2>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 || [[위시(애니메이션)|위시]]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mexico/|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브라질]] === ||<-5>
{{{#fedf00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헝거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fedf00 '''웡카''' }}} || 웡카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 || 웡카 || {{{#fedf00 '''웡카''' }}}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razil/|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콜롬비아]] === ||<-5>
{{{#ff0000 '''콜롬비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48주차 ||<|2>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 || [[위시(애니메이션)|위시]]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colomb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콜롬비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오스트레일리아]] === ||<-5>
{{{#ffffff '''오스트레일리아 흥행 1위 영화''' }}}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헝거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 2023년 52주차 ||<|2> → || '''2024년 1주차''' ||<|2> → || 2024년 2주차 ||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ffffff '''웡카'''}}} || [[퀸카로 살아남는 법#s-11|퀸카로 살아남는 법]]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austral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뉴질랜드]] === ||<-5>
{{{#ffffff '''뉴질랜드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3년 49주차 ||<|2>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 || Next Goal Wins || {{{#ffffff '''웡카'''}}} || 웡카 || || 2023년 50주차 ||<|2> → || '''2023년 51주차''' ||<|2> → || 2023년 52주차 || || 웡카 || {{{#ffffff '''웡카'''}}}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 2024년 1주차 ||<|2> → || '''2024년 2주차''' ||<|2> → || 2024년 3주차 ||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ffffff '''웡카'''}}} || ''미정''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newzealand/|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뉴질랜드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기타 == * 본작은 기본적으로 동화 원작의 영화지만 같은 영화 시리즈 중에서는 [[찰리와 초콜릿 공장(2005년 영화)|2005년판]]보다는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1971년판]]의 오마주에 가깝다. 전체적인 디자인도 2005년보다는 1971년에 가까운 구조이며 시대적인 배경 역시 기본적으로 원작의 출간 시기였던 60년대의 분위기를 띄되 현대적인 시간적 배경도 반영한 2005년판보다 훨씬 전의 느낌을 낸다. 웡카와 그 배우의 외형도 조니 뎁보다는 [[진 와일더]]와 비슷하다.[* 심지어 진 와일더와 티모시 샬라메는 키도 178cm으로 동일하다.] 또한 [[휴 그랜트]]가 분장한 움파룸파 디자인과 피리 소리, 춤 동작이 1971년 영화의 움파룸파와 동일하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2194437?|#]] [[https://extmovie.com/movietalk/91215051|#]] 무엇보다 2005년판 영화에서 추가되었던 아버지에 대한 설정이 본작에서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 폴 킹의 인터뷰에 따르면 웡카는 젊은 시절의 윌리 웡카가 급격하게 부풀린 가격으로 사탕을 판매하는 고급 초콜릿 가게들이 있는 꽉막힌 유럽의 초콜릿 중심지에 오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라고 한다. 이래서 초콜릿 카르텔이라는 단어가 나온 것이라고. 폴 킹은 티모시를 두고 "그의 연기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웡카가 재미있고 장난스럽고 매우 신비롭다는 것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알게 될 윌리 웡카처럼 그 역할에 그런 마음을 가져다주는 뛰어난 배우라는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 [[https://twitter.com/val_gal78/status/1678763400833417216|#]] 한편 주연배우 티모시 샬라메는 [[보그(패션지)|보그]]와의 인터뷰에서 웡카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젊은 관객이 시니컬하지 않을 수 있는 영화를 만든다는 게 큰 기쁨이었고, 그래서 끌렸어요. 나쁜 소식이 넘쳐나고, 정치적 불안정성이 심화되는 시대에 웡카가 한 조각의 초콜릿처럼 느껴졌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https://www.vogue.co.kr/2023/05/16/chanel-bleu-x-vogue-ambassador-announcement-exclusive|#]] 그래서인지 예고편의 젊은 웡카는 과거 버전의 냉소적인 괴짜 캐릭터가 아닌 위대한 초콜릿 메이커가 되고 싶어하는 열정과 희망이 가득한 괴짜 발명가처럼 묘사되는 감이 있다. * 미국 개봉일이 12월 15일로 잡힌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명백히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을 노린 영화지만, 해당 날짜에 동시 개봉하는 일본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동시 개봉이 아닌 다음 해 말에 개봉하는지라 아쉬워하는 한국 팬들이 많다.[* [[노량: 죽음의 바다]]가 북미 개봉일과 비슷한 시기에 한국에서 개봉하기 때문인 듯하다.] 그런데 개봉일을 앞당긴 일본이 주요 국가 중에서는 가장 먼저 개봉하는 외화라는 드문 현상이 나왔다. * 국내 티저 포스터에서는 \''''초콜릿보다 달콤한 이야기의 시작''''이라고 적혀있지만, 북미 티저 포스터에서는 \''''Discover how Willy became...''''이라 적혀있다. 이는 영화의 제목인 '웡카'와 합치면 \''''Discover how Willy became Wonka'''(윌리가 어떻게 웡카가 되었는지 발견해라)'가 된다. 즉 이 영화는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프리퀄임을 알려주는 요소다. 이와 비슷하게 국내에서도 프리퀄임을 명시하기 위해 위와 같은 문구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북미 포스터의 문구를 직역하한 것을 아무리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만든다 할지어도 결과적으론 [[발번역]]에 지나지 않기에 다른 문구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 북미 메인 포스터에 적힌 문구인 'Every good thing in this word started with a dream(이 세계의 모든 좋은 것들은 꿈과 함께 시작됐다)'은 작중 윌리 웡카의 어머니가 말한 말이다. 이는 작중에서 웡카가 초콜릿을 만드는 것에 꿈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기도 하다. * 이전작과 다르게 한국어 더빙판도 동시에 극장개봉을 가졌다. * 영화의 배경은 유럽 여러 도시를 섞어 만든 것인데, 배경을 완성하는 데만 8개월이 걸렸다고 한다. [[https://www.news1.kr/articles/?5290809|#]] * 구글에 영화를 검색하면 호러 영화냐는 질문이 맨 위에 뜨는 것이 화제가 됐는데, 이에 관해 [[티모테 샬라메]]는 밝은 영화라고 밝혔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104288&&utm_source=dable|#]] * 선상 장면들은 YH 89 리디아 에바(Lydia Eva) 호에서 촬영했다. 영국 국가사적함대[* National Hictoric Fleet.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는 영국의 배들을 분류하는 기준이다. 이름만 함대지 사실상 해양등록문화재와 같은 개념이다.] 제43호인 리디아 에바 호는 한때 [[청어]] 어업으로 번성했던 영국 동남부 그레이트야머스(Great Yarmouth) 시의 마지막 남은 청어잡이 유망[[어선]]으로, 1930년에 건조되었다. 현재는 '[[https://www.lydiaevamincarlo.com/|리디아 에바와 민카를로]]'라는[* '민카를로'는 야머스 시 남쪽의 로웨스토프 시에서 보존 중인 저인망 어선 LT412 민카를로 호를 의미한다.] 이름의 박물관이 되어 향토 어업사를 교육하는 장으로 활용 중이다. 박물관 관장인 폴 미첼은 이번 영화 출현이 야머스 시의 역사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리디아 에바 호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https://en.m.wikipedia.org/wiki/Sovereign_(British_coin)|소버린]]은 1800년대 빅토리아 시절 널리 사용되었다가 1차대전 즈음부터 사장되기 시작한 금화이다. * 국내 최초로 [[4DX]] 상영관에서 초콜릿 향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988021?sid=103|#]] * [[티모시 샬라메]]와, [[움파룸파]] 역할의 [[휴 그랜트]]를 한 장면에 촬영한 방법이 밝혀졌다. 촬영할 때는 티모시 샬라메가 모델로 만든, 움직이지 않는 움파룸파를 보면서 대사를 했고, 휴 그랜트가 카메라 옆 가까이에서 대사를 맞추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고. [[https://www.news1.kr/articles/?5298711|#]] * 휴 그랜트가 처음 본 [[움파룸파]]의 모습은 옷을 안 입은 누드였다고 한다. 감독은 그 모습도 공개하고 싶지만 [[동심 파괴|어린이들이 충격 받을까]] 못하겠다고. [[http://www.cine21.com/news/view/?idx=4&mag_id=104287|#]] *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는 동시에 쿠키 영상이 한 개 나온다. [[분류:찰리와 초콜릿 공장]][[분류:미국의 뮤지컬 영화]][[분류:영국의 뮤지컬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영국의 판타지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2023년 영화]][[분류:워너 브라더스]][[분류:프리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