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노르웨이 호콘 7세의 왕비[br]{{{+1 모드 샬럿 메리 빅토리아}}}[br]Maud of Wales'''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ortrett av dronning Maud (1869-1938), ca 1905.jpg|width=100%]]}}}|| ||<|2> '''이름''' || 영어 ||모드 샬럿 메리 빅토리아[br](Maud Charlotte Mary Victoria)|| || 노르웨이어 ||메우드 샬로테 마뤼 빅토리아[br](Maud Charlotte Mary Victoria)|| || '''출생''' ||||[[1869년]] [[11월 26일]][br][[잉글랜드]] [[런던]] 말버러 하우스|| || '''사망''' ||||[[1938년]] [[11월 20일]] (향년 68세)[br][[잉글랜드]] [[런던]]|| || '''장례식''' ||||[[1938년]] [[12월 8일]][br][[노르웨이]] [[오슬로]] 아케르스후스 성|| || '''배우자''' ||||[[호콘 7세]] ,,(1896년 결혼),,|| || '''자녀''' ||||[[올라프 5세]]|| || '''아버지''' ||||[[에드워드 7세]]|| || '''어머니'''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 '''형제''' ||||[[앨버트 빅터 크리스티안 에드워드|앨버트 빅터]], [[조지 5세]], [[루이즈 빅토리아 알렉산드라 다그마|루이즈]], 빅토리아, 알렉산더 존|| || '''서명''' ||||[[파일:QueenMaudSignature.svg.pn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르웨이]]의 국왕인 [[호콘 7세]]의 아내이며, [[올라프 5세]]의 어머니다. [[에드워드 7세]]와 [[알렉산드라 왕비]]의 막내딸이다. [[노르웨이]] 역사상 [[덴마크]]와 [[스웨덴]]의 왕비를 겸임하지 않는 최초의 노르웨이의 왕비이다. == 작위 == || [[파일:1280px-Coat_of_Arms_of_Maud_of_Wales.svg.png|width=250]] || || '''문장''' || * 웨일스의 모드 공녀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Maud of Wales ([[1869년]] [[11월 26일]] ~ [[1896년]] [[7월 22일]])[* 조모 [[빅토리아 여왕]]이 워낙 장수하는 바람에 아버지 [[에드워드 7세]]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시집을 가버려 왕의 딸을 칭하는 작위인 ‘HRH The Princess Maud (모드 공주 전하)’는 받지 못했다.] * 덴마크의 카를 왕자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Charles of Denmark ([[1896년]] [[7월 22일]] ~ [[1905년]] [[11월 18일]]) * 노르웨이의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of Norway ([[1905년]] [[11월 18일]] ~ [[1938년]] [[11월 20일]]) == 생애 == === 어린시절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95169-1340800333.jpg|width=100%]]}}} || || 어린 시절 || [[1869년]] [[11월 26일]] [[런던]] 말버러 하우스에서 [[에드워드 7세|웨일스 공 에드워드]]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3녀로 태어났다.[* 1871년에 동생 알렉산더 존 왕자가 태어났으나 하루만에 사망하여 사실상 모드가 막내로 자랐다.] 아버지 에드워드 왕세자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이었고, 어머니 알렉산드라는 [[크리스티안 9세]]의 장녀였다. '모드 샬럿 메리 빅토리아' 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으며, 대부모 중에는 작은아버지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이모 [[덴마크의 다우마|마리야 표도로브나]], 외숙모 [[로비사 요세피나 에우게니아|루이세 왕비]], [[프란츠 폰 테크]], [[메리 애들레이드]][* 할머니 [[빅토리아 여왕]]의 사촌동생이다.]등이 있었다. 어린 시절 매우 털털하고 활발한 성격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외가인 [[덴마크]] 왕가와도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고, 고모 [[베아트리스 메리 빅토리아 페오도라|베아트리스 공주]]의 결혼식 및 오빠 [[조지 5세|조지 왕세손]]의 결혼식에서 신부 들러리로 참석하기도 했다. 대부모인 [[프란츠 폰 테크]]의 자녀들과도 친하게 지냈는데 그 중 프란츠의 차남인 프랜시스 공자를 좋아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프랜시스는 모드를 친구로만 생각했다고.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에드워드 7세_가족사진.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80px-The_three_daughters_of_King_Edward_VII_and_Queen_Alexandra_by_Sydney_Prior_Hall.jpg|width=100%]]}}} || || 가족 사진 || 빅토리아 공주, 모드 공주, [[루이즈 빅토리아 알렉산드라 다그마|루이즈 공주]] || 결혼 전에 [[이탈리아 왕국]]의 왕세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비토리오 에마누엘레]]와의 혼담이 이탈리아 측으로부터 제기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반드시 가톨릭으로 개종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거절하였다고 한다.[* 당시 이탈리아의 왕비였던 마르게리타가 반드시 가톨릭으로 개종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고 한다.] === 덴마크의 [[왕자비]] === [[파일:1280px-Marriage_of_Princess_Maud.jpg|width=400]] 모드와 [[호콘 7세|카를 왕자]]의 결혼식 모드는 자신의 외사촌인 카를 왕자와 결혼하기로 마음먹었다. 자녀들과의 사이가 각별해서 결혼으로 자신의 곁을 떠나는 걸 싫어했던 어머니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웨일스 공비 알렉산드라]]는 의외로 이 결혼을 매우 마음에 들어했다. 이유는 알렉산드라의 친정인 덴마크 왕실은 매우 가족적인 분위기였고, 알렉산드라도 이 분위기를 좋아했기에 조카와 딸이 결혼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았다고 한다. [[1896년]] 모드는 외사촌 [[덴마크]]의 카를 왕자와 버킹엄 궁전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여담으로 모드 공주가 남편인 카를 왕자보다 3살 연상인데, 시형 [[크리스티안 10세]]보다는 1살 연상이고 동서지간인 [[알렉산드리네 아우구스테|알렉산드리네 왕비]]보다는 무려 10살이나 연상이다.] 신부 들러리는 언니 빅토리아 공주, 카를의 여동생 잉에보르와 티라 공주, 그리고 사촌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헬레나 빅토리아 공녀[* 고모 [[헬레나 어거스타 빅토리아|헬레나 공주]]의 딸이다.], [[코넛의 마거릿 공녀]]와 패트리샤 공녀[* 둘 다 숙부 [[아서 윌리엄 패트릭 앨버트|코넛 공작 아서 왕자]]의 딸들이다.],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 숙부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의 딸이다.], 조카 레이디 알렉산드라 더프[* 언니 [[루이즈 빅토리아 알렉산드라 다그마|파이프 공작부인 루이즈 공녀]]의 딸이다.]가 있었다. 이후 아버지인 [[에드워드 7세]]가 준 애플턴 하우스에서 신혼을 보냈고, 6년 후 33세의 나이로 아들(훗날 [[올라프 5세]])을 출산했다. [[호콘 7세|카를 왕자]]는 [[덴마크]]의 해군 중위의 계급을 갖고 있었고, 모드와 카를은 대부분 덴마크에서 생활했다. 하지만 1905년 6월 91년 간의 노르웨이-스웨덴 [[동군연합]]이 해체되면서 카를 왕자가 노르웨이의 새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이때 카를 왕자가 선출된 이유 중 하나가 모드의 친정이 영국 왕실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카를 왕자는 왕위를 받아들여 호콘 7세로 즉위했고 아들 [[올라프 5세|알렉산데르]]는 올라프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1906년 6월 22일 노르웨이 [[트론헤임]]의 니다로스 성당에서 대관식을 올림으로서 모드는 노르웨이의 왕비가 되었다.[* 모드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가 딸을 왕비로 만들기 위해 엄청 노력했다고 한다.] === 노르웨이의 왕비 === [[파일:1280px-Norwegian_Royal_Family.jpg|width=400]] [[호콘 7세]], [[올라프 5세|올라프 왕세자]], 모드 왕비 모드는 노르웨이의 왕비가 된 이후에도 영국에 대한 애정을 잃지 않았다. 항상 영국을 진정한 고향으로 생각했으며, 매년 영국에 방문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노르웨이의 환경에 적응했는데, 노르웨이의 겨울 스포츠를 즐기거나 아들 [[올라프 5세|올라프 왕세자]]를 노르웨이 방식으로 양육했다. 모드는 노르웨이의 왕비로서 어린이와 동물에 관련된 자선단체를 후원했으며 음악가들과 예술가들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녀가 마지막으로 대중에 드러낸 모습은 1937년 조카 [[조지 6세]]의 대관식에서였다. === 사망 === 1938년 10월, 영국을 방문한 모드는 건강이 악화되어 복부 수술을 진행했다. 남편 [[호콘 7세]]는 재빨리 영국에 도착하여 아내의 곁을 지켰지만, 모드는 1938년 11월 20일, 69번째 생일을 6일 남긴 채 심부전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당시 노르웨이는 일요일에 신문 출간을 금지하는 법이 있었지만 왕비의 부고를 알리기 위해 발행이 허용되었다고 한다. 이 날은 모드의 어머니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알렉산드라 왕비]]의 기일이기도 했다. 모드의 시신은 노르웨이로 옮겨져서 오슬로의 작은 교회에 머물렀다가, 아케르스후스 성에 매장되었다. 그녀는 [[에드워드 7세]]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알렉산드라 왕비]]의 자녀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한 자녀였다. == 가족관계 == === 조상 === ||<#FFA3A5,#5c0001> 본인 ||<#FFDBAE,#512c00> 부모 ||<#FFFFAE,#505100> 조부모 ||<#AEFFC6,#005118> 증조부모 || ||<#FFE4E1,#330500><|13> 웨일스의 공녀 모드[br]{{{-2 (Princess Maud of Wales)}}} ||<|6> [[에드워드 7세]][br]{{{-2 (Edward VII)}}} ||<|3>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앨버트 공|앨버트]][br]{{{-2 (Prince Albert[br]of Saxe-Coburg and Gotha)}}} || || [[에른스트 1세|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br]{{{-2 (Ernest I, Duke of Saxe-Coburg and Gotha)}}} || ||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공녀 루이제[br]{{{-2 (Princess Louise of Saxe-Gotha-Altenburg)}}} || ||<|3> [[빅토리아 여왕]][br]{{{-2 (Victoria)}}} || || [[에드워드 어거스터스|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br]{{{-2 (Prince Edward, Duke of Kent and Strathearn)}}}[* [[조지 3세]]의 4남이다.] || || [[마리 루이제 빅토리아|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공녀 빅토리아]][br]{{{-2 (Princess Victoria of Saxe-Coburg and Saalfeld)}}} || ||<|7>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공주[br]{{{-2 (Princess Alexandra[br]of Denmark)}}} || ||<|3> [[크리스티안 9세]][br]{{{-2 (Christian IX)}}}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작[br]프리드리히 빌헬름[br]{{{-2 (Friedrich Wilhelm,[br]Duk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Glücksburg)}}} || || 헤센-카셀의 루이제 카롤리네[br]{{{-2 (Princess Louise Caroline of Hesse-Kassel)}}}[* [[프레데리크 5세]]의 손녀이다.] || ||<|3> [[헤센카셀의 루이제]][br]{{{-2 (Princess Louise of Hesse-Kassel)}}} || || 헤센-카셀의 빌헬름[br]{{{-2 (Prince William of Hesse-Kassel)}}} || || [[덴마크의 샤를로테|덴마크의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Charlotte of Denmark)}}}[* [[프레데리크 5세]]의 손녀이다.]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올라프 5세]][br]{{{-2 (Olav V)}}} || [[1903년]] [[7월 2일]] || [[1991년]] [[1월 17일]] || [[스웨덴의 메르타 |스웨덴의 메르타 공주]][* [[오스카르 2세]]의 손녀이자 [[프레데리크 8세]]의 외손녀이다.][br]슬하 1남 2녀[* [[하랄 5세]] 등] || [[분류:영국의 공주]] [[분류:노르웨이 왕비]][[분류:덴마크의 왕자비]][[분류:색스코버그고타 가문]] [[분류: 글뤽스부르크 가문(노르웨이)]] [[분류:웨스트민스터 출신 인물]] [[분류: 1869년 출생]] [[분류: 1938년 사망]] [[분류:심부전으로 죽은 인물]][[분류:아케르스후스 요새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