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드림 호스 2000)] [include(틀:BNW)]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위닝 티켓_더비.jpg|width=100%]]}}} || ||<-2> 이름 || ウイニングチケット[br]Winning Ticket || ||<-2> 출생 || [[1990년]] [[3월 21일]] || ||<-2> 죽음 || [[2023년]] [[2월 18일]] (33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2> 아비 || [[토니 빈]] || ||<-2> 어미 || 파워풀 레이디 (パワフルレデイ) || ||<-2> 외조부 || [[마루젠스키]] || ||<-2> 생산자 || 후지와라 목장 || ||<-2> 마주 || 오타 요시미 || ||<-2> 조교사 || [[이토 유지]] (릿토) || ||<-2> 성적 || 14전 6승 (6-1-2-5) || ||<-2> 총상금 || 3억 7177만 4000엔 || ||<|2> 주요[br]우승 || G1 || [[도쿄 우준]](1993) || || G2 || [[야요이상 딥 임팩트 기념|야요이상]](1993)[br][[교토신문배]](1993) || || 레이팅 || [[JRA 프리핸디|{{{-3 프리 핸디}}}]] || 63 (1993)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1990102314/|[[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or.jp/horse/0000230809/|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Winning Ticket Derby.png|width=100%]]|| || '''내일로의 표[br]{{{-2 明日への切符}}}''' || || '''2023 명마의 초상''' || >저녁놀에 대망을 내걸고 >별빛에 비원을 말하지만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꿈은 잠 속으로 사라진다 > >그럼에도 포기하지 마라, 사람이여 >결코 꺼버리지 마라, 마음의 등불을 > >계속 도전하는 자만이 >새로운 아침을 맞이하는 것이다 >투지가 가득한 자에게만 >내일로의 표가 도착하는 것이다 >---- >2023 명마의 초상[* 2023 일본 더비 기념] [youtube(q4krCLtn1vg)] >'''93년, 일본 더비.''' >'''눈을 깜빡이는 것조차 허용하지 않는, 세 개의 프라이드의 격돌.''' >'''열광의 2분 25초.''' >'''최후의 직선을 제압한, 그 말의 이름은...''' >'''위닝 티켓.''' >'''다음 전설을 보아라.''' >---- >2012년 일본 더비 CM 일본의 경주마. [[비와 하야히데]], [[나리타 타이신]]과 1993년 클래식 3관을 함께 하나씩 나눠가진 통칭 '신 헤이세이 3강' BNW 트리오 중 하나. 수많은 G1 타이틀을 획득했으나 유독 [[도쿄 우준|더비]]와는 인연이 없어 '더비만 우승하면 은퇴해도 좋다'[* 사실 이 말은 1988년 일본 더비 전 "코쿠사이 트리플로 우승하면 은퇴해도 좋다는 정도의 마음가짐으로 임하겠습니다"라고 인터뷰한 것을 언론에서 '시바타 마사토, 더비 우승하면 은퇴하겠다 선언' 등으로 제목을 뽑아 퍼지게 된 오해다. 실제로는 위닝 티켓으로 더비를 우승하고도 계속 기수 생활을 이어갔다.]던 [[시바타 마사토]]에게 기수 인생 말년에 기어코 더비 타이틀을 안겨준 복덩이였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토니 빈]][br]{{{-2 Tony Bin[br]1983}}}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2>캄팔라[br]{{{-2 Kampala[br]197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칼라문[br]{{{-2 Kalamoun}}}|| ||스테이트 펜션[br]{{{-2 State Pension}}}|| ||<|2>세번 브리지[br]{{{-2 Severn Bridge[br]196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혼빔[br]{{{-2 Hornbeam}}}|| ||프리디 페어[br]{{{-2 Priddy Fair}}}|| ||<|4>파워풀 레이디[br]{{{-2 パワフルレデイ[br]1981}}} ||<|2>[[마루젠스키]][br]{{{-2 マルゼンスキー[br]1974}}}||[[니진스키 2|니진스키]][br]{{{-2 Nijinsky}}}|| ||실[br]{{{-2 Shill}}}|| ||<|2>로치 테스코[br]{{{-2 ロツチテスコ[br]1975}}}||[[테스코 보이]][br]{{{-2 Tesco Boy}}}|| ||[[스타 로치]][br]{{{-2 スターロツチ}}}|| ||<-3>* [[하이페리온(말)|하이페리온]] 4×5 9.375%[br]* 나스룰라 5×5 6.25% || || 주요 반형제[* 중상마만 서술.] ||<-2> [[로열 터치]](父 [[선데이 사일런스]])^^(1993)^^ || 부마는 94년 일본 리딩사이어로 등극하는 [[토니 빈]]으로, [[베가]], [[노스 플라이트]], [[사쿠라 치토세 오]](이상 1990년생), '''[[에어 그루브]]'''(1993년생) 등의 자마를 배출했다. 외증조모 [[스타 로치]]는 1960년 [[우준 빈마]], [[아리마 기념]]을 우승했다. 은퇴 후에는 [[사쿠라 스타 오]]의 유모를 맡기도 했다. 사쿠라 스타 오의 '''스타'''가 이 말에서 따온 것. 반형제 [[로열 터치]]는 1995년 [[호프풀 스테이크스|라디오단파배 3세 스테이크스]], 1996년 [[키사라기상]]을 우승했다. == 생애 == [include(틀:1993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1992년 3세(현 2세) 신마전(1200M)에서 5착으로 데뷔전을 마무리했다. 당시 기승했던 시바타 마사토 기수의 거리를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https://ja.wikipedia.org/wiki/%E3%82%A6%E3%82%A4%E3%83%8B%E3%83%B3%E3%82%B0%E3%83%81%E3%82%B1%E3%83%83%E3%83%88#%E6%B3%A8%E9%87%88|#]]에 바로 다음주 두 번째 신마전(1700M)에 참가하여 1착으로 첫 승리를 가져왔다. 그 후 상금 500만엔이하 클래스인 하보탄상(2000M)[[https://youtu.be/2O6pgckTDkw|#]]과, 오픈 클래스 호프풀 스테이크스(2000M)[[https://youtu.be/wUYmjoYMJIg|#]]에서 연승하며 중거리 적성이 있음을 증명하고 클래식 삼관의 첫 관문인 [[사츠키상]]의 전초전으로 불리는 [[야요이상]]에 참가하게 된다. 1993년 4세(현 3세) 위닝 티켓의 첫 중상 경주인 제 30회 [[야요이상]][[https://youtu.be/gCo_GYhVntw|#]]에서는 이전과 비슷한 경주 스타일[* 하보탄상과 호프풀 스테이크스에서의 위닝 티켓의 경주 스타일은 후방에서 힘을 모으다가 3코너부터 외곽 코스로 진행하며 스퍼트를 시작, 4코너에서는 선행 집단을 따라 잡은 후 스퍼트를 유지한 채 직선 코스에서 선두를 따내 그대로 우승하는 파괴력 있는 경주를 보여주었다.]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번 경주에서는 아예 최후방에 머무르다가 3코너 부근부터 장거리 스퍼트를 시작하여 결승점을 100미터 가량 남겨두고 선두를 차지하였다. 장거리 스퍼트였음에도 직선 코스에서 결승점까지 실속하지 않으며 질주하여 우승하였고 [[사츠키상]]의 우선 출주권을 획득했다.[* 당시 2분0초1의 기록은 이후 2016년에 갱신될 정도로 엄청난 기록이었으며, 같은 경마장, 같은 거리로 동일한 조건에서 치러지는 사츠키상의 레코드였던 심볼리 루돌프의 2분1초1의 기록보다 무려 1초나 빠른 기록이다.] 1993년 위닝 티켓의 첫 G1 경주인 제 53회 사츠키상[[https://youtu.be/MhTNouUi14s|#]]은 야요이상과 동일한 조건에서 치러지는 레이스이므로 바로 직전 야요이상을 압도적인 레코드로 우승한 위닝 티켓에게는 첫 G1 우승과 함께 클래식 삼관 중 제 1관을 차지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런 기대를 갖고 진행된 레이스에서 뜻밖에도 위닝 티켓은 신마전 이후 처음으로 시작과 동시에 앞으로 튀어나오며 4코너까지 2~3위를 다투는 선행책 형태의 레이스를 진행한다. 그러나 이전 경기들과는 다르게 4코너 이후 직선에서 더 가속하지 못하며 5착[* 이후 3착의 갈레온이 8착으로 강착당하며 4착으로 정정]으로 레이스를 마무리하였고[* 야요이상에서 위닝 티켓에게 패배한 나리타 타이신이 우승을 차지하며 경주의 패인을 선행책으로 기승한 시바타 마사토 기수에게 돌리는 여론이 있었다.], 클래식 삼관의 두 번째 경주이자 시바타 마사토의 염원이 담긴 경주인 일본 더비로 향한다. [youtube(P7emI3FJZCo)] >先頭はウイニングチケット! ウイニングチケット!ウイニングチケット!! >선두는 위닝 티켓! 위닝 티켓! 위닝 티켓!! >'''柴田これが念願のダービー制覇! 柴田政人勝ちました!''' >'''시바타 이것이 염원하던 더비 제패! [[시바타 마사토]] 이겼습니다!''' >---- >후지TV 사카이 마사유키 아나운서의 1993년 [[일본 더비]] 우승 아나운스. 1993년 제 60회 [[도쿄 우준|일본 더비]]에서 [[비와 하야히데]], [[나리타 타이신]]과 벌인 직선 공방은, 80년이 넘는 일본 더비 뿐 아니라 역대 일본 경마사에서도 손꼽히는 명승부로 2020년 조사에서 역대 최고 경기 2위를 기록했다. 마군 중단, 안쪽에서 달리던 위닝 티켓은 최종 코너를 지나며 마군이 외곽으로 쏠리면서 길이 열리자, 단숨에 마군 맨 앞으로 달려나왔고[* 예상보다 이르게 앞이 훤하게 트이자 시바타 마사토 기수는 그 짧은 시간 동안 나가야 할지 좀 더 기다려야 할지 엄청나게 고민을 했는데, 지금이 아니면 기회는 없다는 생각에 위닝 티켓의 힘을 믿고 나가기로 결정, 스퍼트를 올렸다.], 선두로 달리던 도주마 앰버 라이온을 재치며 300여미터를 남긴 지점에서 선두에 섰다. 그러나 안쪽에선 비와 하야히데, 중단에선 마군을 뚫고 올라온 나리타 타이신이 위닝 티켓의 양 옆에 붙었고, 세마리의 말은 결승점 200미터 앞에서 치열하게 경합을 벌이게 된다[* 당시 기수였던 [[시바타 마사토]]의 회상으로, 왼쪽에서 비와 하야히데의 머리가 보이자 "힘내라! 힘내라!" 라고 외치며 죽을 힘을 다해 채찍을 치고 말을 몰았다고 한다. 실제로 당시 방송 영상을 보면 좋지 않은 화질에도 거의 무아지경의 상태로 말을 모는 시바타를 볼 수 있다.]. 결국 위닝 티켓은 두 라이벌의 추격을 끝까지 버텨내며 1착. 비와 하야히데와 나리타 타이신은 각각 2, 3착을 하게 된다. 당시 이토 유지 조교사의 목표는 위닝 티켓을 일본 더비에 최상의 컨디션으로 내보내는 것으로, 그 과정에서 패전도 각오하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사츠키상의 위닝 티켓은 93% 정도의 몸상태였기에 그 패인은 완전한 컨디션이 아닌 탓으로 패전의 충격은 없었다고 한다. 한편 시바타 마사토 기수도 일본 더비를 이기기 위하여 위닝 티켓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최적의 기승법을 찾고 있었고, 그 시험대가 사츠키상이었다. 비록 패하였지만 사츠키상때처럼 직선 코스로 더 일찍 빠져나와서 결승점까지 힘차게 가는 기승법이 위닝 티켓과 일본 더비에서 이길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믿었다. 93%의 몸상태에서 7%를 더 끌어올려 최상의 상태로 일본 더비에 위닝 티켓을 보내준 이토 유지 조교사, 거리가 더 짧은[* 일본 더비는 사츠키상보다 더 거리가 긴 경주이며, 일본 더비가 열리는 도쿄 경마장은 사츠키상의 나카야마 경마장보다 최종 직선이 더 긴 탓에 마지막 스퍼트에서 뒷심이 더 요구된다.] 사츠키상에서도 최종 직선에서 뒷심을 발휘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던 기승법을 위닝 티켓이 일본 더비에서 승리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었던 시바타 마사토 기수, 그리고 비와 하야히데에게 한 번 따라잡히는 듯한 모습이었지만 한 번 더 힘을 내 떨쳐내는 모습을 보여준 위닝 티켓이 만들어낸 이 제 60회 일본 더비는 위닝 티켓의 유일한 G1 우승 경주이자 시바타 마사토 기수의 18전 19기만에 이뤄낸 일본 더비 우승 경주이다.[[https://sportiva.shueisha.co.jp/clm/keiba/keiba/2023/02/24/post_33/index.php|#|출처기사]] 위닝 티켓은 제 60회 일본 더비(5월 30일) 후 약 5개월만에 제 41회 [[교토신문배]]에 출주하였다.[[https://youtu.be/tJCwaM4UaIY|#]] 총 10두가 출주한 경주에서 위닝 티켓은 1번 인기에 배당 1.2배로, 2번 인기마인 [[타케 유타카]]의 마이요죤느가 8.9배, 3번 인기마인 토요리팔이 12.1배의 배당을 받은 것으로 생각해보면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출주한 경주이다.[[https://aikba.net/race/11109466539052/#title-results|#]] 위닝 티켓은 초중반에 중단 후방에서 안쪽 코스로 주행하였다. 3코너부근부터 다른 말들이 스퍼트를 시작하여 위닝 티켓은 9위까지 순위가 떨어졌고[* 당시 중계자는 '위닝 티켓은 최후방까지 내려갔습니다. 내려간건가? 내려가진건가?' 라며 의도적으로 뒤에 있는건지 속도를 못내 올라가지 못한건지 궁금해하는 멘트를 했다.] 내각과 외곽 코스 모두 진로가 막힌 듯이 보였다. 그러나 그 후 4코너에서 외곽을 돌던 말들은 거리에서 손해를 봤고, 위닝 티켓 앞에서 내각을 막고 있던 말은 코너를 돌며 외곽으로 밀려났다. 위닝 티켓은 코너를 돌면서도 외곽으로 밀리지 않으며 앞이 열린 내각으로 파고 들었고 최종 직선에 들어섰을 때 4번째를 달리고 있었다. 최종 직선에 들어선 후로는 잔디 상태가 더 좋은 외곽으로 진로를 변경하였고 엄청난 스퍼트를 보여주며 결승점 직전에 선두를 제쳐 목차이로 1착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이 1착이 위닝 티켓에겐 마지막 1착이 되었다. 신마전부터 교토신문배까지 8전 중 6승[* 6-0-0-2(신마전 5착, 사츠키상 4착)], 중상 3승으로 매우 뛰어난 성적을 보여주었다. 더비 우승 때가 전성기였으며, 괴물로 진화한 비와 하야히데에게 밀리며 킷카상 우승을 내준 후 하향세를 걷다 이듬해 천황상(가을) 이후 굴건염이 발병해 은퇴했다. === 은퇴 후 === [[파일:Winning_Ticket_20070422P1.jpg|width=100%]] 종마로서의 실적은 좋지 않아 2005년 이후 거세되어 은퇴마 휴양 시설인 AERU로 옮겨져 여생을 보냈다. 먼저 와 있었던 [[닛포 테이오]], [[다이유우사쿠]]가 살아있을 당시 같은 방목지에서 방목되었을 정도로 매우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두드러기가 나는 지병이 있어 현역 시절에 컨디션 관리가 어려웠다고 한다.[* 경주마들의 사소한 특징을 세세하게 반영하는 것으로도 유명한 게임이자 애니메이션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는 위닝 티켓이 긴장하면 몸이 가렵다고 긁어대는 것으로 표현해냈다.] 마방 내에서는 말들 사이에서 성격 좋고 상냥한 부분 때문에 다른 말들에게 추대받아 마방 보스 역할을 맡았는데, 특별히 성격이 난폭한건 아니었으나 조금만 혼을 내도 쉽게 삐져서 우두머리 일을 내팽겨쳐버리는 경우가 많다 보니 마방 스텝들은 되도록이면 위닝 티켓이 삐지지 않도록 달래느라 애를 많이 먹었다고 한다. (자기가 원해서 보스가 된 게 아닌데 속된 말로 가오까지 상하는 건 못 참았던 듯?)[* 저 상냥한 성격은 서른 살이 넘은 뒤에도 변함이 없어서, 같이 방목되던 친구 타임 패러독스([[https://db.netkeiba.com/horse/1998101683/|タイムパラドックス]])를 잃은 옆 방목지의 말 스즈카 피닉스([[https://db.netkeiba.com/horse/2002107011/|スズカフェニックス]])가 다시 기운을 찾게 지켜봐줬다고 한다.] 2021년 4월 4일 오사카배에서 [[콘트레일]]을 꺾고 우승한 [[레이 파팔레]]가 위닝 티켓의 증손녀다. [[ぱく家(박가네)|박가네]]의 VLOG 채널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7GQLtwE8LFc&t=830s|찾아가 보고 오기도 했다]]. 이 때는 아직 타임 패러독스가 생존했던 시기였다. 2020년대에도 근황이 자주 공개되는 편으로, 고령임에도 아직도 뛰어다니고 겨울 털도 두껍게 잘 자랄 정도로 건강하다고 한다. 2022년 5월 25일에 29년 전 일본 더비의 시절의 모습을 재현하였다. 30살 넘은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허리가 많이 처지지 않았고 동안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https://twitter.com/aeru_joba/status/1529312625925861378?t=leKYBro0wwu3zNgHSBcYOw&s=19|#]] [[https://www.youtube.com/watch?v=npWIOWunJYU|유튜브 동영상]] 2023년 1월 초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451190?page=1&s_pos=-1442531&s_type=name&serval=%EC%BD%94%EB%B0%94%EC%95%BC%EC%8B%9C|방문자의 글 1]]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484262?headid=50&page=1&s_pos=-1482541&s_type=name&serval=%EC%BD%94%EB%B0%94%EC%95%BC%EC%8B%9C|방문자의 글 2]] 1월 16일에 위닝 티켓을 만나러 일본으로 관광을 간 한국인 유저가 '위닝 티켓이 아파서 견학을 못했다.'는 글을 올려 타 유저들을 긴장하게 했으나 다행히 다음날에 상태가 괜찮아져서 방목된 위닝 티켓을 만난 인증글을 올려 가슴을 쓸어내리는 해프닝이 있었다. 슬슬 나이가 나이인지라 건강하긴 해도 컨디션이 낮아질 때가 있는 모양. [[https://m.dcinside.com/board/umamusu/1476032|#방문 후기]] 결국 2023년 2월 18일에 산통(疝痛, 배앓이)으로 죽음을 맞이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https://twitter.com/aeru_joba/status/1626839966235107328|#]] 위닝 티켓의 담당 구무원에 의하면 2월 18일 오전, 마방에서 선회하는 모습과 앞으로 긁는 등 산통의 증세가 있어 이웃 마을에 위치한 진료소로 이동하였다. 운반하는 차 안에서는 비교적 차분했으나 진료소에 도착한 뒤 급격히 상태가 악화되어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https://news.yahoo.co.jp/articles/97d841fbae02515c2943abcd651feda242e460bd|관련기사]] 시바토 기수도 자신에게 더비를 안겨준 말이라는 평과 고마웠다는 글을 올렸다. 2018년 4월 [[스페셜 위크]]가 죽으면서 90년대 더비 호스 중 마지막 생존마가 됐었고, BNW 트리오 중에서도 가장 오래 살았다.[* 나리타 타이신과 비와 하야히데는 나란히 2020년에 죽었다. 이 둘도 30세로 서러브레드 치고 장수한 편이니 BNW 모두가 장수했다고 볼 수 있다.] 죽음을 맞이했던 나이 당시 33살로, 최고령 중상마였던 [[나이스 네이처]]에 이어 두 번째로 장수했다.[* 나이스 네이처도 위닝 티켓 사후 3개월 뒤에 죽었다.] 사후 최고령 G1마는 [[플라워 파크]]가, 최고령 더비마 타이틀은 [[타니노 김렛]]이 이어받게 되었다. == 기타 == * 이 말의 마명에서 유래 된 것으로 보이는 코마츠 히로모토 원작의 '위닝 티켓'이라는 만화 작품이 존재한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주간 [[영 매거진]]에 연재되고 총 25권 완결 작인데, 정작 이 작품은 [[2005년]] 시점을 배경으로 하고 주요 등장 말 또한 당대 인기 최정상을 구가중인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라던가, [[스테이 골드]]의 자마나 [[메이세이 오페라]]의 자마가 등장하는 등[* 정작 [[메이세이 오페라]]는 얼마 뒤인 [[2006년]]에 한국으로 건너온 이후 [[2016년]] 죽을 때 까지 한국에서 계속 머물렀다.] 원본마 위닝 티켓과는 이름을 제외하곤 거리가 먼 작품이다. * 별명인 티케조(チケゾー)는 원래 담당 마방에서 부르던 별명인데, 당시 이를 취재[* 사실 취재요청 자체를 마방 쪽에서 먼저 했다고 한다. 경마기자들에 따르면 이렇게 먼저 취재를 요청하는 경우엔 '''조교사 팀에서 상당히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유력마가 있을 경우'''뿐이라고.]하러 갔던 기자가 데스크의 요구로 물어봤을 때 나온 대답을 그대로 기사에 개재하면서 알려지게 된 것이라고 한다. 즉 보통은 팬들이 이름을 줄이거나 바꿔서 부르는 다른 말들의 별명과는 달리 업계 관계자들이 쓰는 별명이 그대로 유출되어 사용된 케이스의 별명이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92년 {{{-1 (3세, 현 2세)}}} || || 9.6 || [[하코다테 경마장|하코다테]] ||<-2> 3세 신마 || 잔디 1200m || 13.8 || 7 || 5착 || [[시바타 마사토]] || 멀티 || || 9.13 || 하코다테 ||<-2> 3세 신마 || 잔디 1700m || 4.0 || 1 || '''{{{#red 1착}}}''' || [[요코야마 노리히로]] || (히노데 크로스 오) || || 12.6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하보탄(葉牡丹)상 || 500만 || 잔디 2000m || 4.0 || 2 || '''{{{#red 1착}}}''' || [[타나카 카츠하루]] || (메이저 위너) || || 12.27 || 나카야마 || 호프풀 스테이크스[* 현재의 [[호프풀 스테이크스]]와 이름과 코스가 같지만, 별개의 대회로 취급한다. 참고로 당시 호프풀 스테이크스의 전신인 라디오탄파배 3세 스테이크스 우승마는 나리타 타이신.] || OP || 잔디 2000m || 1.3 || 1 || '''{{{#red 1착}}}''' || 시바타 마사토 || (마요 존) || ||<-10> 1993년 {{{-1 (4세, 현 3세)}}} || || 3.7 || 나카야마 || [[야요이상 딥 임팩트 기념|야요이상]] || GII || 잔디 2000m || 3.3 || 1 || '''{{{#red 1착}}}'''[*레코드] ||<|7> 시바타 마사토 || ([[나리타 타이신]]) || || 4.18 || 나카야마 || [[사츠키상]] || '''GI''' || 잔디 2000m || 2.0 || 1 || 4착[* 5번째로 들어왔으나, 3번째로 들어온 갈레온이 8착으로 강착되면서 순위가 한 단계 올라갔다.] || 나리타 타이신 || || 5.30 || [[도쿄 경마장|도쿄]] || '''[[도쿄 우준]] (일본 더비)''' || '''GI''' || 잔디 2400m || 3.6 || 1 || '''{{{#red 1착}}}''' || ([[비와 하야히데]]) || || 10.17 || [[교토 경마장|교토]] || [[교토신문배]] || GII || 잔디 2200m || 1.2 || 1 || '''{{{#red 1착}}}''' || (마요 존) || || 11.7 || 교토 || [[킷카상]] || '''GI''' || 잔디 3000m || 2.8 || 2 || 3착 || 비와 하야히데 || || 11.28 || 도쿄 || [[재팬 컵]] || '''GI''' (국제) || 잔디 2400m || 9.1 || 4 || 3착 || [[레거시 월드]] || || 12.26 || 나카야마 || [[아리마 기념]] || '''GI''' || 잔디 2500m || 5.4 || 3 || 11착 || [[토카이 테이오]] || ||<-10> 1994년 {{{-1 (5세, 현 4세)}}} || || 7.10 || [[주쿄 경마장|주쿄]]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타카마츠노미야배]] || GII || 잔디 2000m || 2.1 || 1 || 5착 || [[시바타 요시토미]] || [[나이스 네이처]] || || 9.18 || 나카야마 || [[올커머]] || GIII || 잔디 2200m || 2.8 || 2 || {{{#blue 2착}}} ||<|2> [[타케 유타카]] || 비와 하야히데 || || 10.30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5.0 || 2 || 8착 || [[네하이 시저]] ||}}} [include(틀:일본 더비,grade=GI)] ---- [include(틀:야요이상,grade=GII)] [include(틀:교토신문배,grade=GII)]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version=68)]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종마/일본]][[분류:1990년 출생/경주마]][[분류:릿토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토니 빈계]][[분류:2023년 죽은 동물]][[분류:죽은 경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