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위(춘추시대) 군주)] ||<-3> '''{{{#ece5b6 위(衛)나라 44대 국군[br] 자남씨(子男氏) 위나라 초대 군주[br]{{{+1 평후}}}[br] 平侯}}}''' || ||<-2> '''[[성씨|{{{#ece5b6 성}}}]]''' ||희(姬) || ||<-2> '''[[본관|{{{#ece5b6 씨}}}]]''' ||자남(子南) || ||<-2> '''[[휘|{{{#ece5b6 휘}}}]]''' ||경(勁) || ||<-2> '''{{{#ece5b6 고조부}}}''' ||[[위영공]](衛靈公) 희원(姬元) || ||<-2> '''{{{#ece5b6 증조부}}}''' ||공자 영(公子 郢) || ||<-2> '''{{{#ece5b6 할아버지}}}''' ||자남미모(子南彌牟) || ||<-2> '''{{{#ece5b6 아버지}}}''' ||자남고(子南固)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335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342년 ~ 기원전 335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춘추전국시대)|위(衛)나라]]의 제44대 [[군주]]. 자남씨(子男氏) 위나라의 초대 군주.[* [[송(춘추전국시대)|송(宋)나라]]의 대씨(戴氏)와는 달리 자식이 없는데다가 강제로 교체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위사군의 아버지. == 생애 == 위 성후 29년(기원전 343년), 위(魏)나라의 왕인 [[위혜왕|양혜왕]]은 [[위성후|위 성후]]를 강제로 폐위시키고, 위 영공의 자손인 그를 위(衛)나라의 국군으로 즉위시켰다. 위 평후 8년(기원전 335년), 위 평후가 사망하자, 그 아들인 위 사군이 그 뒤를 이어서 위나라의 국군으로 즉위하였다.[* 위 사군은 이름을 전하지 않는다.] == 가계 == [[사기(역사책)|사기]]에서는 [[위성후|위 성후]]의 아들이라고 나오나, 사실은 [[위영공|위 영공]]의 막내 아들인 공자 영(公子 郢)의 후손이라고 한다. 공자 영의 후손들은 공자 영의 자(字)인 자남(子南)을 씨(氏)로 삼아 자남씨(子南氏)로 칭하였다. 공자 영은 자남미모(子南彌牟)를 낳고, 자남미모는 자남고(子南固)를 낳고, 위 평후는 자남고의 아들이다.[* 출처는 중국의 사학자 양관(楊寬)의 저서인 전국사료편년집증.] [각주] [[분류:위(衞)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3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