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위(춘추시대) 군주)] |||||| '''{{{#ece5b6 위(衛)나라 27,29대[* 폐위되었다가 복위되었다] 국군[br]{{{+1 헌공}}}[br] 獻公}}}''' |||||||||| |||| '''[[성씨|{{{#ece5b6 성}}}]]''' ||희(姬) || |||| '''[[본관|{{{#ece5b6 씨}}}]]''' ||위(衛) || |||| '''[[휘|{{{#ece5b6 휘}}}]]''' ||간(衎) || |||| '''{{{#ece5b6 아버지}}}''' ||[[위정공]](衛定公) 희장(姬藏) || |||| '''{{{#ece5b6 어머니}}}''' ||강비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544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1차: 기원전 576년 ~ 기원전 559년 [br] 2차: 기원전 546년 ~ 기원전 544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위(춘추전국시대)|위(衛)나라]]의 제27,29대 [[군주]]. [[위정공]]의 아들. [[위상공]]의 형.[* 일설에는 위 상공이 위 헌공의 숙부로 나온다.] [[위양공]]의 아버지. 사냥질 만하다가 신하에게 폐위되었으나 13년 뒤에 복위했고, 공신인 영희를 죽였다. == 생애 == === 비범한(?) 시작 === 아버지 위 정공이 죽었을 때 그 아내인 강비는 눈물을 흘렸으나 위헌공은 [[패륜|전혀 울지 않았다.]] === 폐위 전 === 위 헌공 원년(기원전 576년) 봄, 위 헌공은 [[노나라]], [[진(춘추오패)|진(晉)나라]], [[정나라]], [[송(춘추전국시대)|송나라]],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 등과 함께 척 땅에서 회맹했다. 그것은 [[조나라]]의 군주 [[조성공]]을 치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조 성공을 체포해 주나라로 암송하기 위해서였다. 11월, 순림보는 진(晉)나라, 정나라, 제나라, [[오(춘추시대)|오(吳)나라]]와 종리에서 회맹했다. 위 헌공 2년(기원전 575년), 위 헌공은 정나라를 쳤다. 가을 위 헌공은 진(晉)나라, 제나라, 송나라 등과 함께 사수 땅에서 회맹했다. 위 헌공 3년(기원전 574년), 노나라, 진(晉)나라, 제나라, 송나라와 연합해 정나라를 쳤다. 이후 가릉 땅에서 제후들과 회맹했다. 겨울 다시 제후들과 정나라를 쳤다. 위 헌공 5년(기원전 572년) 봄, 송나라의 팽성(彭城)[* [[항우]]가 머무른 그 팽성 맞다.]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위 헌공은 노나라, 진(晉)나라, 송나라와 반란군이 점령한 팽성을 포위했다. 위 헌공은 영식에게 노나라를 방문하게 했다. === 신하들에게 폐위당하다 === 위 헌공 13년(기원전 564년), 위 헌공은 악사 사조를 시켜 첩에게 금을 타는 법을 가르치게 했다. 그러나 첩이 잘하지 못해 사조가 매질을 하자 첩은 악사 사조를 모함했고, 위 헌공은 곤장 300대를 때리게 했다. 위 헌공 18년(기원전 559년), 위 헌공은 손림보와 영식에게 같이 식사하자고 했으나 위 헌공이 끝내 부르지 않았다. 그 이유는 기러기 사냥에 빠진 탓이었다. 이에 두 사람은 크게 노해 숙읍으로 갔다. 악사 사조는 그것을 알고 손림보를 교언장이라는 음악을 연주하면서 자극했다. 이 일을 손림보가 거백옥에게 말했는데, 거백옥은 모르는 일이라고 했다. 손림보는 위 헌공을 쳐서 몰아냈고, 위 헌공의 아우이자 위 정공의 아들인 공자 표를 세우니 그가 바로 위 상공이다.[* 이름은 달리 추(秋)라고도 전해진다.] 위 상공은 손림보를 숙읍에 봉했다. === 복위 === 위 상공 12년(기원전 547년), 영희와 손림보가 총애를 다투며 서로 미워했다. 위 상공은 영희에게 손림보를 치게하니 손림보는 진(晉)나라로 달아났다. 그리고 진(晉)나라 그리고 진(晉)나라에 위 헌공을 복위시켜 달라고 했다. [[제경공(26대)|제경공]](齊景公)은 제나라에 있는 위 헌공을 복위시키기 위해 위 헌공을 돌려보냈다. 그리고 진(晉)나라는 위나라를 쳐서 당시 위나라 군주인 위 상공을 회맹에 이끌고 [[진평공]](晉平公) 영희와 위상공을 사로잡아 위 헌공을 복위시켰다. 위 헌공이 도망간지 13년 만에 복위했다. 위 헌공 복위 원년(기원전 546년), 위 헌공이 영희를 처형했다. 위 헌공 복위 2년(기원전 544년), 오나라의 [[공자 계찰]]이 위나라를 방문해 거백옥과 사추를 만났다. 계찰이 그들에게 말했다. "위나라에 군자가 많으니 별일 없을 겁니다." 위 헌공은 그 해를 넘기지 못하고 죽었다. 그리고 그 아들인 악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위 양공이다. [각주] [[분류:위(衞)나라의 군주]][[분류:폐위된 군주]][[분류:기원전 54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