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위(衞)나라의 군주]][[분류:폐위된 군주]] [include(틀:역대 위(춘추시대) 군주)] |||||| '''{{{#ece5b6 위(衛)나라 17대 국군[br]{{{+1 위후 검모}}}[br]衛侯 黔牟}}}'''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위(衛) || |||| '''[[휘|{{{#ece5b6 휘}}}]]''' || 검모(黔牟)[* 검무라 발음 할수도 있는데 당시에는 牟와 懋가 통자이기 때문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위강백]] 문서 참조.] || |||| '''{{{#ece5b6 아버지}}}''' |||| [[위선공]](衛宣公) 희진(姬晉)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95년 ~ 기원전 68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위(춘추전국시대)|위(衛)나라]]의 17대 [[군주]]. [[위선공]]의 아들. [[위혜공]]의 이복 형. == 생애 == 위 혜공 4년(기원전 696년), 좌 공자 실, 우 공자 직이 위 혜공이 자신의 제자인 급자와 공자 수를 살해한 것에 한을 품고 들고 일어나 위 혜공을 폐위시키고 급자의 친동생인 공자 검모를 세웠다. 위후 검모 8년(기원전 688년), [[제양공]]이 제후들을 거느리고 위(衛)나라를 쳐서 위후 검모를 내 쫓고 좌, 우공자를 처형했다. 위후 검모는 간신히 살아남아 주왕실로 달아났다. 그 뒤에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주나라에서 죽은 모양이다. 그리고 자손을 남기지 못했다고 한다. 적어도 [[위의공]] 즉위 이후에 죽은건 확실한데 그 이유는 위나라 사람들이 위 의공이 죽고 그 후손들은 [[제(춘추전국시대)|제(齊)나라]]로 가거나[* [[공자 개방]]이 그 사례다.] 위나라 사람들의 손이 죽어버리는 바람에 그 빈 자리에 위후 검모를 복위시키려 했으나 위후 검모가 이미 죽어 뜻을 이루지 못했다는 기록이 그 증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