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45년 출생]][[분류:노스랜드 지방 출신 인물]][[분류:뉴질랜드의 정치인]] ||<-2> '''{{{+1 윈스턴 피터즈}}}[br]Winston Peter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nston_Peters.jpg |width=100%]]}}} || || '''본명''' ||Winston Raymond Peters|| ||<|2> '''출생''' ||[[1945년]] [[4월 11일]] ([age(1945-04-11)]세)|| ||[[뉴질랜드]] [[노스랜드 지방]] [[황가레이]]||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가족''' ||짐 피터즈(Jim Peters)(형, 1937년생) 이안 피터즈(Ian Peters)(형,1937년생) 리넷 스튜어트(Lynette Stewart)(누나, 1943? 1944?년생)|| || '''학력''' ||[[오클랜드 대학교]] {{{-2 (졸업)}}}|| || '''종교''' ||무종교|| || '''직업''' ||정치인|| || '''당적''' ||[[뉴질랜드 제일당|[[파일:뉴질랜드 제일당 로고.png|width=50]]]] || || '''링크''' ||[[https://www.nzfirst.nz/winston-peters|[[파일:뉴질랜드 제일당 로고.png|width=50]]]] [[https://twitter.com/winstonpeters|[[파일:X Corp 로고(화이트).svg |width=20]]]] [[https://www.facebook.com/winstonpeter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윈스턴 피터즈 서명.svg |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윈스턴 피터즈는 1945년 4월 11일에 태어난 [[뉴질랜드]]의 정치인이다. 1993년에 [[뉴질랜드 제일당]]을 창당했다. == 생애 == 뉴질랜드 Whangārei에서 태어났는데, 아버지는 [[마오리족]] 혈통이었고 어머니는 [[스코틀랜드]] 계열이었다. 아버지의 부족[* Iwi라고 한다.]은 Ngāti Wai였다. 어머니의 스코틀랜드 [[씨족]]은 MacInnes이었다. 오클랜드사범대학을 나와 학교 교사로 일하다가 [[호주]]로 가서 제철소에서 일했다. 이후 뉴질랜드로 돌아와 오클랜드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공부하다가 우익 정당인 [[뉴질랜드 국민당]]의 청년조직에 가입하여 정치 생활을 시작했다. 1975년에 처음 선거에 나갔다. 뉴질랜드에는 일반 선거구와 달리 마오리 선거구가 7석 따로 있는데, 그곳에 출마했다가 패했다. 이후 1979년에 후누아 선거구에서 처음 당선되었고 1984년부터는 타우랑가 선거구로 옮겼다. 1993년엔 당내 갈등 끝에 탈당하여[* --사실 [[컷오프]]되었다(...)--] 뉴질랜드 제일당을 창당했다. 마오리 혈통 덕분인지 극우주의 성향임에도 마오리 선거구를 한동안 휩쓸기도 했다.[* 현재는 [[뉴질랜드 노동당]]이 다시 되찾았다.] 2000년대부터는 [[비례대표]]로 주로 의원 자격을 얻고 있다. 뉴질랜드 51대 국회 때는 노스랜드 선거구의 재보궐 선거에 나가서 의석을 얻기도 했다. 뉴질랜드 국민당과의 갈등으로 탈당해 당을 만든 만큼, 국민당과 연정하지 않고 오히려 좌익 정당인 뉴질랜드 노동당과 [[연정]]에 참여하였다. 처음엔 국민당과 연정을 했었지만 축출당한 경험 때문인 듯. 2023년, 뉴질랜드 의회 선거에서 국민당과 행동당이 과반석을 차지하는데 실패하면서 킹메이커로 떠올랐다. 11월 24일, 국민당, 행동당과 뉴질랜드 제일당의 3당 합의끝에 자기자신은 2025년 5월 31까지 부총리직과 외교부장관, 경마장관을 비롯해 다른 인선괏 정책 노선에서 합의를 보며 연정에 합류했다 == 선거 이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