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0년 출생]][[분류:뉴욕 시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법조인]][[분류:이스라엘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컬럼비아 대학교 출신]][[분류: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조지 워싱턴 대학교 출신]][[분류:미국 법무장관]][[분류:트럼프 행정부/인사]] [include(틀:역대 미합중국 법무장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A214F 0%, #0A214F 20%, #0A214F 80%, #0A214F)" '''[[미국 법무부|{{{#fff 미합중국 제77·85대 법무장관}}}]][br]{{{+1 윌리엄 펠햄 바}}}[br]William Pelham Bar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00px-William_Barr (1).jpg|width=100%]]}}} || ||<|2> '''출생''' ||[[1950년]] [[5월 23일]] ([age(1950-05-23)]세) || ||[[뉴욕 주]] 뉴욕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4> '''임기''' ||제77대 법무장관 || ||[[1991년]] [[11월 26일]] - [[1993년]] [[1월 20일]] || ||제85대 법무장관 || ||[[2019년]] [[2월 14일]] - [[2020년]] [[12월 23일]] || || '''가족''' ||아버지 도널드 바[br]어머니 마리 마거릿 아헨 [br]4남 중 장남 [br]동생 스티븐 바 || || '''배우자''' ||크리스틴 모이니한 || || '''학력''' ||[[컬럼비아 대학교]] {{{-1 (행정학 / [[학사|B.A]])}}}[br] [[컬럼비아 대학교]] {{{-1 (행정학 / [[석사|M.A]])}}}[br][[조지 워싱턴 대학교]] {{{-1 ([[법학]] / [[박사|J.D]])}}} || || '''소속 정당''' ||[include(틀:공화당(미국))] || || '''약력''' ||[[커클랜드 & 엘리스]] 변호사[br]제25대 법무차관[br]'''제77, 85대 법무장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합중국]]의 [[법조인]]이자 제77대 및 제85대 법무장관이다. 1853년 최종 사임한 [[존 J. 크리텐든]] 장관 이래로 무려 166년만에 법무장관을 두 번이나 역임한 인물이다. == 생애 == === 제85대 법무장관 시절 (2019~2020) === [[2018년]] [[12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게이트]] 수사 문제로 해임한 [[제프 세션스]]의 후임으로 바 전 법무장관을 지명했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트럼프 충성파라는 점인데 가장 대표적으로 [[제임스 코미]] 전 FBI 국장의 해임을 지지하기도 했고, [[로버트 뮬러]] 특검 임명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었기 때문이다. 뮬러 특검의 수사를 훼방놓을까 우려한 민주당의 강력한 반대가 있었지만 연방 상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공화당 내에서 반대표가 1표[* [[랜드 폴]]]밖에 나오지 않았고, 오히려 민주당에서 찬성표가 3표[* [[더그 존스(정치인)|더그 존스]], [[조 맨친]], [[키어스틴 시네마]]]나 나오면서 찬성 54표, 반대 45표로 의회의 인준을 받아 임명될 수 있었다. 취임 후에는 끝내 의회에서 폐지에 실패한 [[오바마케어]]를 위헌으로 만들기 위해 연방 항소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연방법 위반에 대한 [[사형제]]를 부활시키고, 뮬러 특검의 러시아게이트에 대한 수사 보고서를 축소 발표하는 등 트럼프의 충신 역할을 담당했다. 2020년 대선비망록에서 대선 직후 백악관의 상황을 소개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304018500072?section=international/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