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스터)] ---- ||
'''{{{#ffef00 윌슨 콘트레라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CHC_2016_WSChampion.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16년 월드 시리즈|{{{#cc3433 2016}}}]]''' || ---- ||<-3>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 [[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8년|{{{#ffffff 2018}}}]]'''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19년|{{{#ffffff 2019}}}]]'''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ffffff 2022}}}]]''' || ---- ||<-5> '''{{{#ffffff [[시카고 컵스|{{{#ffffff 시카고 컵스}}}]] 등번호 40번}}}''' || || [[스펜서 패튼]][br](2016) || {{{+1 →}}} || '''윌슨 콘트레라스[br](2016~2022)''' || {{{+1 →}}} || [[마이크 터크먼]][br](2023~)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40번}}}''' || || [[제이크 우드포드]][br](2020~2022) || {{{+1 →}}} || '''윌슨 콘트레라스[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D370D0F-2AAF-4CCF-A439-0F1E53183FA9.jpg|width=100%]]}}} || ||<-2>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No.40''' || ||<-2> '''{{{#ffffff {{{+2 윌슨 콘트레라스}}}[br]Willson Contreras}}}''' || || '''본명''' ||윌손 에두아르도 콘트레라스[br]Willson Eduardo Contreras || ||<|2> '''출생''' ||[[1992년]] [[5월 13일]] ([age(1992-05-13)]세) || ||푸에르토 카베요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 '''신체''' ||185cm / 96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시카고 컵스|CHC]]) || || '''소속팀''' ||'''[[시카고 컵스]] (2016~2022)''' [br][[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23~) || || '''계약''' ||2023 - 2027 / $87,500,000 || || '''연봉''' ||2023 / $10,000,000 || || '''가족''' ||동생 [[윌리엄 콘트레라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소속 [[포수]]. == 선수 경력 == === [[시카고 컵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llson Contreras.jpg|width=100%]]}}} || ==== 마이너 리그 경력 ==== 2014년 전까진 2013년 싱글 A 제외하곤 OPS가 .7을 못 넘기던 선수였다. 그러나 2015년 AA에서 126경기 .333 .413 .478 .891을 기록해 각성하더니, 2016년 AAA에선 55경기 .353 .442 .593 1.035를 기록하고 메이저리그에 데뷔한다. ==== 2016 시즌 ==== 같은 팀에 [[미겔 몬테로]]라는 빅리그에서 검증된 주전 포수가 있고 [[데이빗 로스]]라는 전담 포수를 두고 있는 팀의 에이스 [[존 레스터]] 덕에 마이너에서 시즌을 시작했으나 몬테로의 부진으로 6월에 콜업되어 6월 20일 [[피츠버그 파이리츠]]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타석에서 초구를 공략하여 홈런을 기록하는 강한 인상을 남겼다. 76경기만 출장하는 와중에도 12홈런에 OPS .845 fWAR 2.2를 '''포수로서''' 기록하며 그의 미래에 대한 기대치를 높였다. 그 덕에 포스트 시즌 로스터에도 이름을 올리며 승선에 성공.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2016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4차전에서는 9회에 대타로 나와 귀중한 동점 적시타를 기록하여 역전승의 발판을 만들었으며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2016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는 6차전에서 [[클레이튼 커쇼]]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치면서 포스트시즌 첫번째 홈런을 기록하면서 좋은 활약을 펼쳤다. [[2016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7경기 중에 5경기에 선발로 출전하면서 팀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 2017 시즌 ==== 개막전에서 선발 포수로 나와 9회초, [[오승환]]에게서 동점 3점 홈런을 때려내며 이번 시즌에 대한 활약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4월 22일 [[신시내티 레즈]] 원정에서 커리어 첫 만루홈런을 기록했다. 팀은 난타전 끝에 12-8로 승리하였다. 이후 공수에서 무난한 활약을 펼치며 주전 자리를 지키면서 컵스의 안방마님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8월 첫째주에 6경기 출전 .424의 타율과 OPS 1.182 5홈런 13타점을 기록하며 메이저리그 사무국에서 선정한 내셔널리그 이 주의 선수에 선정되기도 했다.[[https://youtu.be/wpStJmSqbtQ|#]] 최종 성적은 시즌 중반에 부상으로 결장한 기간이 아쉽긴 하지만 117경기 출장 .276 .356 .499에 21홈런 OPS .855를 기록하는 팀의 중심 타자로 올라서며 첫 풀타임 주전 시즌을 성공적으로 보냈다. [[데이비드 로스]]의 은퇴와 미겔 몬테로가 시즌 중반 팀 케미스트리를 해치는 행동으로 인해 방출되고 난 뒤 어깨가 무거워진 상황에서 거둔 성적이라 더욱 값진 성적. 게다가 후반기에 4번 타자로 출장했을 때의 성적은 3/4/5에 육박했다. ==== 2018 시즌 ==== 개막 이후 지난 시즌보다 저조한 타격을 보이다가[* 5월 8일까지 타율 .230에 OPS .669, 1홈런] 5월 9일 [[마이애미 말린스]]전에서 5타수 3안타[* 2루타 1개, 3루타 2개]를 기록하며 살아날 징조를 보이더니 5월 11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홈 3연전 첫 경기에서[* 콘트레라스 본인의 버블헤드 데이였다.] 5타수 4안타[* 홈런 2개, 2루타 2개. 홈런 2개중 하나는 만루홈런이다.][* [[라이브볼 시대]]에 4장타 7타점을 기록한 포수는 조지 미터왈드와 [[마이크 피아자]] 이후 콘트레라스가 3번째라고 한다.] 7타점을 기록하는 맹활약을 펼쳤다. 5월 12일 경기에서는 5타수 3안타 1홈런 3타점으로 어제의 기세를 이어가는 활약을 했다.[* 최근 3경기 동안 기록한 안타 9개 중 8개가 장타이다.] 7월 8일 팬투표로 '''[[버스터 포지]]'''를 제치고 내셔널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아메리칸 리그와의 올스타전에서 9번 타자로 출전하여 첫 타석에서 [[블레이크 스넬]]의 초구를 받아쳐 홈런을 뽑아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38경기 .249 .339 .390, 10홈런 54타점, wRC+ 100, fWAR 2.6으로 지난해에 비해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 ==== 2019 시즌 ==== 전반기에 .286/.381/.556, 18홈런 52타점을 기록하면서 지난 시즌의 부진을 떨쳐내고 팀의 타선을 이끌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스타전 팬투표 1위를 차지하면서 2년 연속 올스타전 선발 포수로 낙점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09경기 .272 .355 .533 24홈런. 커리어 하이를 찍었다. 올스타에 뽑히긴했지만 부진했던 2018년에 비해 성적은 훨씬 좋아졌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음에도 올스타에 뽑히지 못한 2017년에 비해서도 올스타에 뽑힌 것을 논외로 치더라도 타율, 출루율을 유지하며 더 높은 장타율과 홈런을 기록했다. ==== 2022 시즌 ==== 전반기 기즌 타율 0.258, 14홈런 37타점 OPS 0.847을 기록하며 최정상급 포수의 포스를 보여주고 있고 올스타에도 당연히 선정되었다. 시즌 후 FA가 예정된 상태고 컵스 역시 내셔널 리그 중부지구 4위를 기록하고 있는 만큼 트레이드가 매우 유력한 상황이다. [[탬파베이 레이스]], [[뉴욕 메츠]]와의 트레이드 루머가 있었지만 결국 컵스에 잔류하게 되었다.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디널스기자회견콘트레라스.jpg|width=100%]]}}} || 2022년 12월 7일, 세인트루이스와 5년 $87.5M에 계약했다. 카디널스의 안방마님이었던 [[야디어 몰리나]]의 은퇴 후 카디널스는 몰리나의 후계자를 찾는 도중에 콘트레라스에 접근하였고, 콘트레라스는 몰리나의 후계자로 낙점되어 카디널스로 이적하였다. ==== 2023 시즌 ==== 2월 2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포수 TOP 10 부문에서 5위에 오르며 리그 최고의 포수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인정받았다.[[https://twitter.com/MLB/status/1621328861718790145?t=W-Uabt-F-_OLYQmdvUpehw&s=19|#]] 3월 30일 블루제이스와 개막전 경기에서 4타수 2안타로 활약했으나 [[조던 힉스]]의 103마일짜리 벗어난 공을 무릎에 직격으로 맞고 [[앤드류 키즈너]]와 교체되었다. 팬들은 제발 긴 부상이 아니길 빌고 있다. 5월 5일부터 당분간 지명타자나 외야수로 기용될 전망이라고 하며, 기존에 백업 포수인 [[앤드류 키즈너]]가 포수 마스크를 쓰고 출전할 예정이다.[* 또한 포수 유망주 [[트레스 바레라]]가 콜업되어 백업 포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올 시즌 카디널스의 투수진이 총제적으로 부진하고 있고, 이에 대해서 콘트레라스의 책임도 어느 정도 있다고 판단하여 내린 조치로 보인다.[* 현재까지 카디널스 투수진의 ERA는 4.73으로 내셔널 리그에서 6번째로 나쁘며, 특히 선발진의 ERA는 5.39로 내셔널 리그에서 3번째로 나쁘다.] 5월 15일부터 다시 번갈아가며 포수와 지명타자로 출전하고 있다. 6월에 들어선 현 상황에서도 팀과 본인 역시 끝을 모를 부진에 시달리고 있고, 시즌 중 보직까지 잃어버려서인지 좌절감을 느끼는 듯한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https://www.espn.com/mlb/story/_/id/37846709/willson-contreras-says-lost-my-confidence-amid-slump|#]] 시즌이 끝나가는 8월 후반 기준으로 팬들의 기대에 보답하지 못한 선수 중 하나다. 105경기 타율 .260 OPS .791[* MLB 포수들 중 3위; 3.1 Plate Apperance/game 이상인 포수들 기준] 그리고 57득점으로 확실히 공격형 포수로 자리 잡고 있다. 허나 발목을 잡는 건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아주 '''지독하고 올드스쿨한 코칭스태프와 감독'''이다. 현재 팀의 부진 중 제일 큰 문제가 콘트레라스가 모든 투수들의 구속, 구종, 제구 및 투수의 특징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몰리나는 '''투수의 장점을 극대화 할 줄 아는 포수'''인 반면, 콘트레라스는 '''수비가 아닌 공격에 올인한 포수'''인 것. 어찌 보면 포수라는 부분에서 제일 어색한 선수이긴 하지만 타자로서의 밸류는 꽤 높다고 판단된다. 이렇게 두고 보면 콘트레라스를 왜 쓰는가? 라는 의문점이 들지만 지금 당장 [[앤드류 키즈너]]를 보면 애매한 부분들이 많다. 몰리나처럼 프레이밍을 잘 하는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 해도 콘트레라스처럼 배트를 크게 휘두르는 것도 아니다. 발도 빠르지 않고 타율 또한 좋지 않아 아무리 콘트레라스를 지명타자로 쓴다 하여도 다른 포수 옵션이 그저 뒤떨어지기 때문에 포수 자리는 결국 돌고 돌아 콘트레라스다. 9월 22일, 왼쪽 손목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라 시즌을 마감했다. 타격 성적은 20홈런을 달성하고 OPS 0.8을 넘기며 공격형 포수의 면모를 보여주었지만, DRS는 -8, 프레이밍 수치에서는 -10.2를 기록하며 명과 암을 남긴 시즌이었다. == 플레이 스타일 == 매년 20개+ 수준의 홈런과 OPS 0.800을 기대할 수 있는 공격형 포수이다. 수비 측면에서는 어깨가 매우 강해서 주자 견제[* 주로 투구를 받고 1루 주자 견제를 상당히 자주하는 편이었는데 이게 투수를 거슬리게 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던 모양. 최근 줄어든 모양새다.]나 도루저지에 능하기는 하지만 프레이밍과 포구능력은 리그 최하위권 수준이다. 수비는 이전에도 썩 좋은 평가를 받던 편은 아니었으나 프레이밍이 수비지표에 반영되고 난 이후로는 리그 하위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조 매든]] 감독은 "윌슨의 수비는 발전중이다. 하지만 그의 타격은 이미 리그 탑 레벨이다" 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도루 저지 능력은 여전하고, 블로킹도 발전했으나 프레이밍은 여전히 좋지 않은 편. 참고로 3-1로 몰려있던 [[2016년 월드 시리즈]] 5차전에서 [[아롤디스 채프먼]]이 땅으로 갖다 꽂아버린 공을 온몸으로 막는 엄청난 블로킹을 선보여 실점을 막은 적도 있다. 또 햄스트링쪽을 포함한 잔부상이 은근히 잦은 편이다. 이로 인해 2017, 2019 시즌에는 훌륭한 타격 성적을 기록하고도 실버슬러거를 수상하지 못하였다. MLB 닷컴 선정 2020년 포수 파워 랭킹에서 [[야스마니 그랜달]]과 [[J.T. 리얼무토]]의 뒤를 이어 3위에 선정되었다. == 수상 내역 == ||
'''{{{#ffffff 수상}}}''' || ||[[파일:MLB 로고.svg|width=20]] '''[[월드 시리즈]] 우승 ([[2016년 월드 시리즈|2016]])'''[br] [[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3회 (2018, 20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2년|2022]])''' ||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윌슨 콘트레라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6 ||<|7> [[시카고 컵스|CHC]] || 76 || 283 || 71 || 14 || 1 || 12 || 33 || 35 || 2 || 26 || 67 || .282 || .357 || .488 || .845 || 2.5 || 1.7 || || 2017 || 117 || 428 || 104 || 21 || 0 || 21 || 50 || 74 || 5 || 45 || 98 || .276 || .356 || .499 || .855 || 2.4 || 3.9 || || 2018 || 138 || 544 || 118 || 27 || 5 || 10 || 50 || 54 || 4 || 53 || 121 || .249 || .339 || .390 || .730 || 0.7 || 3.1 || || 2019 || 105 || 409 || 98 || 18 || 2 || 24 || 57 || 64 || 1 || 38 || 102 || .272 || .355 || .533 || .888 || 2.6 || 3.2 || || 2020 || 57 || 225 || 46 || 10 || 0 || 7 || 37 || 26 || 1 || 20 || 57 || .243 || .356 || .407 || .763 || 1.6 || 1.0 || || 2021 || 128 || 483 || 98 || 20 || 0 || 21 || 61 || 57 || 5 || 52 || 138 || .237 || .340 || .438 || .778 || 2.3 || 4.1 || || 2022 || 113 || 487 || 101 || 23 || 2 || 22 || 65 || 55 || 4 || 45 || 103 || .243 || .349 || .466 || .815 || 3.3 || 3.9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125 || 495 || 113 || 27 || 0 || 20 || 55 || 67 || 6 || 51 || 111 || .264 || .358 || .467 || .826 || 2.4 || 3.4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8시즌)''' || 859 || 3354 || 749 || 160 || 10 || 137 || 408 || 432 || 28 || 330 || 797 || .257 || .350 || .461 || .811 || 17.9 || 24.3 || == 여담 == * 5살 아래 동생도 야구를 하고 있다. 이름은 [[윌리엄 콘트레라스]] (William Contreras)로 포지션은 형과 똑같이 포수다. 2015년 아마추어 계약으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 입단하여 현재 싱글A에서 뛰고 있다. 2020년 개막로스터에 합류해 빅리그에 데뷔하였다. * 2021 시즌 리빌딩을 선언한 [[시카고 컵스]]가 주축 선수들을 모두 판 가운데 타자 중에선 콘트레라스 혼자 팀에 남게 되자… [[파일:vekzu5mrqee71.png]] 이런 짤이 나돌아 다녔다…전부 [[2016년 월드 시리즈]] 우승 멤버인데 [[덱스터 파울러]]는 일찍이 떠났고 [[벤 조브리스트]]도 은퇴한지 꽤 됐지만 2021년 [[카일 슈와버]]를 방출하고 트레이드 마감 시한을 앞두고 [[앤서니 리조]], [[하비에르 바에즈]], [[크리스 브라이언트]]까지 이적하게 됐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했다. 그리고 2022 시즌 후 콘트레라스마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이적하며 저 짤에 있는 컵스 선수는 한 명도 남지 않게 됐다. * 카디널스 이적 이후 갑자기 돌변하면서 컵스를 저격하는 말을 여러 차례 하면서, 사실상 컵스와는 완전히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되었다. [각주] [[분류: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푸에르토카베요 출신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시카고 컵스/은퇴, 이적]][[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