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대십국시대 십국/왕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9967A 0%, #E9967A 20%, #E9967A 80%, #E9967A); color: #ece5b6" '''북한 초대 황제[br]{{{+1 세조 신무제 | 世祖 神武帝}}}'''}}} || ||<|2> '''출생''' ||[[895년]] || ||[[당나라|당]] [[산시성(산서성)|하동도]] [[타이위안시|태원부 태원현]][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타이위안시]]) || ||<|2> '''즉위''' ||[[951년]] [[2월 25일]] || ||[[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 [[산시성(산서성)|하동도]] [[타이위안시|태원부 태원현]][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타이위안시]]) || ||<|2> '''사망''' ||[[954년]] [[12월 27일]] (향년 59세) || ||[[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 [[산시성(산서성)|하동도]] [[타이위안시|태원부 태원현]][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타이위안시]]) || || '''능묘''' ||미상 || ||<|2> '''재위기간''' ||'''{{{#ece5b6 초대 황제}}}''' || ||[[951년]] [[2월 25일]] ~ [[954년]] [[12월 2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유(성씨)|유(劉)]] || || '''휘''' ||숭(崇) → 민(閔) || || '''부모''' ||부황 [[유전(오대십국시대)|현조]][br]모후 장의황후 || || '''형제자매''' ||4남 중 2남 || || '''배우자''' ||미상 || || '''자녀''' ||7남 1녀 || || '''묘호''' ||'''[[세조]](世祖)''' || || '''시호''' ||신무황제(神武皇帝) || || '''연호''' ||건우(乾祐, [[951년]] ~ [[954년]])[*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에서 사용했던 건우 연호를 습용하였다.] || }}}}}}}}} || [목차] [clearfix] == 소개 == [[오대십국시대]]의 10국 중 하나인 [[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北漢)의 초대 ~~[[김일성|수령]]~~ [[황제]]. 그가 통치한 나라의 정식 명칭은 한(漢)이었으나 남쪽에 있던 남한(南漢)[* 물론 이 나라도 정식 명칭은 한이었다. 남한은 후세의 역사가들이 붙인 이름.]과 구별하기 위해 후대의 역사가들이 북한이라고 불렀다. == 생애 == 건국자 유숭은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을 세운 [[유지원]]의 동생으로, 유지원의 아들인 은제 [[유승우(후한)|유승우]]가 [[후주]](後周)를 세운 [[곽위]](郭威)를 죽이려다 도리어 살해당하자, 근거지인 [[타이위안|태원]](太原)에서 독립하려고 했다. 그러나 곽위가 유숭의 아들인 서주의 [[유빈(오대십국시대)|유빈]]을 황제로 옹립하겠다고 선언하자 자립 시도를 중단했다. 하지만 유빈이 수도 [[카이펑]](開封)으로 오던 도중 [[곽위]]가 [[후주]]를 세우고 자립한 뒤 유빈을 모셔오던 [[풍도(오대십국시대)|풍도]]에게 명해 유빈을 죽여버리자 자립하여 후한의 재흥을 선언하고 스스로 황제에 올랐다. 그리고 이름을 유숭에서 유민(劉旻)으로 바꿨다. 954년, 후주의 태조 곽위가 죽고, 양자인 [[시영]](후주 세종)이 즉위하자 요나라의 힘을 빌려 후주를 공격했고, 고평에서 격돌했다.([[고평 전투]]) 처음에는 승기를 잡는 듯 했으나, 시영과 후일 [[북송|송]] [[태조(송)|태조]]가 되는 [[조광윤]]의 활약으로 고평전투는 북한의 대패로 끝났다. 유숭은 간신히 도망쳐 돌아간 뒤 결국 패배에 대한 충격으로 사망했다. == 기타 == 여담으로 안구 하나에 2개의 눈동자를 가졌다고 한다. 유숭이 대패한 이후에 둘째 아들인 [[유승균(오대십국시대)|유승균]]이 즉위해 내정에 힘을 기울였지만 957년에 [[후주]]의 침공을 받고 영토를 빼앗겼다. 유승균의 양자이자 유숭의 외손자인 [[유계은]]은 즉위하자마자 2개월만에 피살당했고, 마지막 황제인 [[유계원]] 역시 유숭의 외손자였지만 979년 송나라의 침공으로 멸망당했다. 후한의 정통을 잇는다는 뜻에서 연호도 자신의 조카인 후한의 은제가 사용하던 건우(乾祐)라는 연호를 그대로 사용했으며, 사후 [[묘호]]도 태조(太祖)나 고조(高祖)가 아닌 [[세조]](世祖)를 사용했다. 그래서 학자에 따라서는 후한과 북한을 한 나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오대사)] [include(틀:신오대사)] [각주] [[분류:오대십국시대/황제]][[분류:895년 출생]][[분류:954년 사망]][[분류:타이위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