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나라의 황족]][[분류:기원전 189년 사망]][[분류:서출]]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오초칠국 맹주 오왕 유비, rd1=유비(오왕))] [목차] == 개요 == 劉肥[* 현대 중국어: 류페이(liúfèi), 한대 중국어: 르우부이(lɨu.bʉi)] (? ~ 기원전 189년) 전한의 황족으로 [[고제(전한)|고제 유방]]의 서장자다. 유방이 여후와 만나기 전에 교제하던 조씨(曹氏)의 아들이며, 오왕 유비와는 사촌지간이다. == 생애 == 초한전쟁이 종결되고 [[한신]]이 초나라로 전봉되자 제왕에 봉해졌고 상국으로 [[조참]]과 우승상으로 [[부관]]이 봉해져 모시게 하였다. [[영포]]가 난을 일으킬 때, 참전하기도 했다. 16살에 아버지인 [[고제(전한)|유방]]과 함께 동행한 [[혜제(전한)|혜제]]와 달리 직접 군을 이끈 것으로 보아 동생들과 나이 차이가 제법 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유비가 입궁하여 이복 아우인 혜제를 뵐 때 혜제가 형이라는 이유로 상석을 양보해주는 파격적인 대우를 해 주었다. 이걸 보고 노한 [[여후]]는 유비를 [[독살]]하려고 유비의 앞에 짐주를 따른 뒤 유비에게 원샷하면서 자신의 만수무강을 빌라고 했는데, 이를 눈치챈 혜제가[* 그냥 혜제가 정말 모르고 짐주를 들었다는 얘기도 있다.] 갑자기 일어나서 굳이 그 술잔을 들었다. 기겁한 여후는 바로 달려들어 손으로 잔을 쳐서 엎어버렸고, 그게 짐주였다는 걸 알아챈 유비는 장안에서 도망치고 싶어서 심복과 의논하여 성양군을 여후의 딸 노원공주에게 영지로 바쳤다. 다행히 여후가 기뻐하며 유비에 대한 미움을 거두었다. 군 하나와 목숨을 바꾼 셈이다. 여후보다 먼저 죽어서 '도혜왕'(悼惠王)이란 시호를 받았고, 장남 애왕(哀王) [[유양]]이 제나라를 계승했다. 여후가 죽자 유양은 동생인 [[유장(전한)|유장]], 유흥거 등과 함께 난을 일으켜 여씨 일족을 제거하고, 고제의 넷째 아들 유항(劉恆)을 [[문제(전한)|새 황제]]로 세웠다. 사실 유양은 고제의 장남의 장남이었므로 황제 후보에 가장 유력해 먼저 이름을 올리긴 했는데, 그의 외가인 사씨(駟氏)의 위세가 커 제2의 여씨 정권이 탄생할 것이라는 이유로 기각되고, 다른 인물이 황제가 되었다.[* 유양과 유장은 현실을 조용히 받아들였지만, 내심 원통했던 건지 몇 년 지나지 않아 사망한다. 이 과정에는 유양의 업보도 좀 있는데, 거병하는 과정에서 이웃 제후인 낭야왕(琅邪王) 유택(劉澤)을 속여서 억류하고, 낭야의 군대를 탈취했다. 낭야는 원래 제나라의 영토였는데, 여후가 여씨들을 왕으로 세우는 데 찬동한 유택에게 준 것이었다. 유택은 유양에게 '나도 유씨인데 당신을 방해하겠는가? 나를 장안으로 보내주면 당신을 황제로 추대하겠다'고 해서 풀려났으나 장안에 가서는 유양이 황제가 되지 못하도록 뒷공작을 펼쳤다. 나중에 한 문제는 낭야를 제나라에 도로 넘겨주고, 유택은 연왕(燕王)으로 봉했다.] 오래 산 것 같지는 않으나 아들을 무려 13명이나 두었다. 그러나 대부분 후손을 오래 전하지는 못했다. 장남인 애왕 유양의 혈통은 아들 제 문왕(齊文王) 유칙(劉則)이 후사 없이 죽어 끝났고, 3남인 제북왕(濟北王) 유흥거(劉興居)가 기원전 178년의 모반으로 망했으며, 무려 일곱 아들의 집안이 [[오초칠국의 난]]에 연루돼 아작났다. 그리고 유칙 대신 제왕이 된 8남 효왕(孝王) 유장려(劉將閭)는 난에 가담하려다가 후회하고 음독 자살했다. 이리하여 아들 13명 중 9명의 후손이 일찍 폐문됐음에도 불구하고, 10남인 치천 의왕(菑川懿王) 유지(劉志)와 2남인 성양경왕 [[유장(전한)|유장]]의 아들인 성양 공왕(城陽共王) 유희(劉喜)는 아들을 14명이나 두었으며, 전한이 끝날 때까지 왕위를 후손에게 전했다. 제 효왕 유장려에게도 아들이 12명이나 있었는데, 장남은 일찍 절손되었으나 10남인 모평 공후(牟平共侯) 유설(劉渫)의 후손으로 [[유총#s-2|유총(劉寵)]]과 《[[삼국지]]》에도 나오는 조카 [[유대(삼국지)#s-1|유대]](劉岱)·[[유요]](劉繇) 형제가 있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사기)] [include(틀:한서)] ||<-5><:>{{{#ffffff '''전한의 제왕(齊王)'''}}}|| ||<:>(신규 책봉)||<:>{{{+1 ←}}}||<:>'''유비'''||<:>{{{+1 →}}}||<:>유양(劉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유비,version=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