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BEMANI 시리즈)]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 ||<-4>
'''{{{+2 {{{#!html 유비트 애비뉴}}}}}}'''[br]''{{{-1 {{{#!html jubeat Ave.}}}}}}'' || ||<-4>[[파일:유비트애비뉴.png|width=100%]]|| ||<-4>[[파일:유비트애비뉴기체.webp|width=100%]]|| ||<-2> '''{{{#fff 개발}}}''' ||<-2>[[코나미|[[파일:코나미 로고.svg|width=100]]]] || ||<-2> '''{{{#fff 유통}}}'''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나미|[[파일:코나미 로고.svg|width=1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유니아나|[[파일:unianalogo2.jpg|width=80]]]] || ||<-2> '''{{{#fff 플랫폼}}}''' ||<-2>[[아케이드#s-2]] || ||<-2> '''{{{#fff 장르}}}''' ||<-2>[[리듬 게임]] || ||<-2> '''{{{#white 가동 날짜}}}''' || [[2022년]] [[8월 3일]] || '''413일 가동''' || ||<-2> '''{{{#fff 심의 등급}}}'''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000000,#dddddd 심의 없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 ||<-2> '''{{{#fff 차기작 업그레이드일}}}''' ||<-2>[[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2023년]] [[9월 2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2023년]] [[9월 20일]] || ||<-2> '''[[e-amusement pass|{{{#fff e-amusement pass}}}]][br]{{{#fff 서비스 종료일}}}''' ||<-2> 미정 || ||<-2> '''{{{#fff 공식 홈페이지}}}''' ||<-2>[[https://p.eagate.573.jp/game/jubeat/ave/|[[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http://jubeat.uniana.com|[[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홈페이지 개편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작인 [[유비트 페스토|페스토]]로 나온다.] || [clearfix] [목차] == 개요 == [youtube(6Mdt7YV475A, width=480, height=864)] * ''' 타이틀 & [[어트랙트 데모]]''' >'''みつけよう、キミのユビート''' >'''찾아보자, 너의 유비트''' [[유비트 시리즈]]의 11번째 작품. 인게임 시스템 보이스는 세 작품만에 남성으로 바뀌었으며, 시스템 사운드는 [[유비트 클랜|클랜]], [[유비트 페스토|페스토]]에 이어 [[SYUNN]]이 세 시리즈 연속으로 담당했다. 부제인 Ave.는 Avenue의 [[약어]]로, 그 뜻은 "1.(도시의) 거리 2.(특히 양쪽에 나무가 우거진 대저택의) 진입 도로 3.(나아갈) 길, 방안" 이란 뜻이다. 전전작인 [[유비트 클랜]]에서 마을을 주제로 했다면, 이번에는 길이 주제인 셈. [[JAEPO]] 2020에서 신기체를 선보이며 야심차게 [[유비트(2020)|리부트]]를 선언했지만, 신기체의 변경점에 대한 유저들의 악평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사태]]로 신작 발매가 무기한 연기되었고, 10주년 기념작이었던 [[유비트 페스토]]가 약 4년간 가동된 끝에 기존 기체를 통한 신작이 되었다. 따라서 [[유비트(모바일판)|모바일]]에 적용된 새로운 유비트 로고는 아케이드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 [[유비트 애비뉴/발매 전 정보|발매 전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비트 애비뉴/발매 전 정보)] == 요금 체계(대한민국 한정) == || '''{{{#!html 모드명}}}''' || '''{{{#!html 설명}}}''' || '''{{{#!html 요금}}}''' || || '''{{{#!html LIGHT}}}''' || 최대 2곡까지 즐길 수 있는 체험 모드입니다. || 1크레딧/2튠 || || '''{{{#!html STANDARD}}}''' || BONUS TUNE을 포함하여 최대 4곡까지 즐길 수 있는 모드입니다. || 2크레딧/3[[유비트 시리즈/BONUS TUNE|+1]]튠 || || '''{{{#!html PREMIUM}}}''' || 최대 4곡까지 즐길 수 있는 모드입니다.[br]또한, FULL COMBO CHALLENGE 악곡이 10곡 추가됩니다. || 3크레딧/4튠[* 이전에 2크레딧 5튠이 존재했을 때처럼 1-2-3-4-FINAL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1-2-FINAL-BONUS로 표시된다. BONUS TUNE 포인트에 관계없이 BONUS TUNE에 진입하며, BONUS TUNE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 * LIGHT는 보너스 튠 게이지를 채워도 보너스 튠으로 진입할 수 없다. * PREMIUM은 보너스 튠 포인트를 채우지 않아도 무조건 진입하며, 보너스 튠 포인트를 소모하지 않는다. * 게스트 유저는 요금 선택창이 뜨지 않고 무조건 라이트 스타트만 가능하다. 신작임에도 불구하고 크레딧 설정이 공장 출하 설정으로 초기화되지 않았다. 라이트와 스탠다드의 차이는 부스트 미션의 유무로, 부스트 미션으로 획득할 수 있는 jwatt의 양이 상당하므로 전작처럼 스탠다드를 플레이 해야 빠른 속도로 해금할 수 있는 건 동일. 물론 구곡 해금이 목표라면 그냥 라이트를 해서 2크레딧 1곡 해금을 목표로 해도 무관하긴 하다. EXPERT OPTION의 경우 LIGHT 모드의 크레딧 요구량을 따라간다. LIGHT 모드가 1크레딧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EXPERT OPTION 소환 시 1크레딧을 사용하게 된다. 다만, EXPERT OPTION의 FULL COMBO CHALLENGE 10곡 추가 기능은 없으며 프리미엄 모드를 통해 이용 가능하다. HARD MODE가 EXPERT OPTION을 활성화하지 않아도 선택이 가능해지면서 한동안은 HAZARD와 MATCHING OFF 뿐이었으나, 이후 RANDOM 기능이 EXPERT OPTION의 신요소로 추가되었다. == 시스템 변경점 및 신요소 == === [[유비트 시리즈/마커|신규 마커]]와 신규 배경 === [[파일:avemarker.png|width=96]] * 본작의 기본 마커의 이름은 '''애비뉴 마커(アベニュー)'''로, 게이지 마커와 셔터 마커를 합친 것이다. 기본 배경은 [[유비트 클랜|클랜]]과 유사하다.[* 셔터가 가로로 열리며 전부 열리면 스피커 모양이 나타난다.] [[파일:EyhF1KqU4AMeRBc.jpg|width=96]] * '''스퀘어 마크(スクエア)'''는 원래 유비트 리부트작의 기본 마커로 추가될 예정이었지만 엎어지게 되면서 [[유비트(모바일판)|모바일]]에 추가된 마커이다. 이번 작에서 신규 마커로 추가되었다. === TARGET SCORE 기능 === [[파일:Targetscorejubeat.jpg]] * 타겟 스코어를 정하고 곡을 플레이 할 경우 타겟 스코어와 현재 스코어의 점수 차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가끔씩 실제 받는 점수와 TARGET SCORE의 차이가 정상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 판정 오차 표시 === [[파일:jubeatave221220.jpg]] * 2022년 12월 20일 업데이트로 생긴 신기능으로 판정 범위의 오차를 알려주는 기능이다. * 실제 인게임내의 모습은 [[beatmania IIDX]]의 FAST/SLOW 기능보다는 [[GITADORA 시리즈]]의 판정 오차 표시 기능에 조금 더 가까운 모습이다.[* GITADORA 시리즈도 판정의 수치를 숫자로 표시해 준다. 실제로 GITADORA와 유비트 개발팀은 같은 고베 개발팀에서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빠르게 치면 +, 느리게 치면 -로 표시되며 얼마나 빠르게 혹은 느리게 쳤는지 숫자를 통해 알려준다. * 일반 옵션에 들어가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설정은 OFF, ALL(전부 표시), GREAT 판정 이하 중 하나를 고를 수 있다. * [[유비트 시리즈]] 게임 내의 프레임 관련 문제로, 30fps(1/300)에 맞춰 대응된 프레임에 수치를 동기화시켜 출력한다. 따라서 판정 수치는 '''무조건 1의 자리 숫자가 0, 3, 6인 경우에만 표시'''된다. 그렇기에 판정이 걸치게 되는 ±40 표시 구간에서 PERFECT와 GREAT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유비트의 알려진 판정 범위는 ±41.67㎳이다) === RANDOM === [[파일:jubeatrandom.jpg]] * 2023년 [[만우절]]날에 [[https://twitter.com/jubeat_staff/status/1641818910784901121|예고]]를 하고[* 갑자기 알 수 없는 이유로 악보가 마구잡이로 흩어졌다고 한다. 그걸 [[스미스씨]]가 어찌저찌 정리한 결과물이 랜덤기능이라는 듯.], 2023년 4월 3일 업데이트로 생긴 신기능. * EXPERT OPTION에서 활성화 할 수 있으며, 보면의 배치를 무작위로 섞는 기능이다. 3가지의 옵션이 있다. * SPLIT: [[88배치|왼쪽 2열은 왼쪽에, 오른쪽 2열은 오른쪽에 무작위로 배치한다.]] * RANDOM: 채보를 무작위로 배치하되, 동시치기가 2x3범위 2군데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규칙이 정해져 있다.[* [[유비트 모바일]]에서 채보를 제작할 때 '아케이드 기준' 아이콘이 붙는 조건(무리배치 금지)과 동일하다.] 홀드 노트가 포함된 악곡도 랜덤이 걸리게 되었는데, 홀드 노트를 잡고 있는 동안에는 해당 위치에 계속 노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처리하여 배치된다. * RANDOM+: 채보를 완전히 무작위로 배치한다. === 악곡 해금 시스템 === ==== [[유비트 애비뉴/LIGHT CHAT|LIGHT CHAT]] ==== [[파일:lightchat1.jpg]] 유비트 애비뉴의 새로운 해금 시스템으로, 게임을 플레이하여 jwatt를 획득해 악곡이나 아이템을 해금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유비트 애비뉴/LIGHT CHAT|항목]] 참조. ==== [[STAR RECORD]] ==== [[파일:starrecord.jpg]] 2022년 12월 26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해금 컨텐츠로, [[유비트 페스토|전작]]의 [[유비트 페스토#s-6.8|스탬프 챌린지]]와 비슷한 방식이다. 1회 플레이에 별이 하나씩 점등하며, 점등할때마다 아이템을 얻는다. 자세한 것은 [[STAR RECORD|항목]] 참조. === 기타 === * [[유비트 클랜|클랜]]부터 버전 업데이트가 되면서 이뤄지던 난이도 조정이 이번 버전에선 이루어지지 않았다. * 유빌리티 시스템은 전작과 동일. 단, 유빌리티 수치는 초기화되며, 이번엔 유빌리티 대상 곡을 채워도 해금되는 건 없다.[* 대신에 메인 해금 시스템에서의 입장 조건 역할을 하게 되었다.] * 아티스트 폴더에서 작곡가의 본 명의가 아닌 노래가 전부 빠졌다. [[L.E.D.]] 폴더에 [[Prim]] 명의가 없고, [[dj TAKA]] 폴더에 D.J. Amuro가 없다. 예외가 있다면 [[U1-ASAMi]] 인데, 유비트 시리즈에는 변종 명의(U1, U1 overground 등)를 많이 쓰다보니 U1 명의 기준으로 검색된다. (대표적으로 U1 명의를 사용한 [[NISHIMURA -祭- CARNIVAL]]). 이로 인해 본 명의를 잘 사용하지 않는 [[TOMOSUKE]][* Dormir 명의 곡, 양자바다 계열 곡, 나데시코락이 죄다 사라지면서 [[Macuilxochitl]], [[晴天Bon Voyage]], [[TOMOSUKE×Jazzin'park presents LANA|LANA 시리즈]] 6곡 + 리믹스 1곡으로 총 9곡만 잔류. LANA - キロクノカケラ - [2\]가 있어 총 채보 수는 30개이다. 이후 [[MONOLITH(BEMANI 시리즈)|MONOLITH]]가 추가 수록.]와 [[wac]][* [[きゅん×きゅんばっきゅん☆LOVE]], [[創世ノート]], [[MAGICAL SUMMER SMILE]] 3곡만 잔류. 창세노트는 [2\]가 있어 폴더의 채보 수는 12개로 표시된다.] 폴더의 곡이 많이 사라졌고, BEEF처럼 합작 명의의 작곡가를 알 수 있는 방법도 사라졌다. 후술할 Stella Sinistra 버그의 양상을 보면 내부 태그를 부여해 검색하던 방식에서 명의 표기를 직접 검색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게 된 것은 [[DJ YOSHITAKA]]와 DJ Yoshitaka의 존재[* [[Catch Me]]와 [[Juicy]]가 소문자 명의로 되어 있다.] 때문으로 추정. * 유비벨 중 안녕하세요 계열의 음성이 변경되었다. == 평가 == === 긍정적인 부분 === ==== 전도 가능 악곡 범위의 확대 ==== 가동 기준 비교적 최근 이벤트 해금곡인 [[世界の果てに約束の凱歌を]] -jubeat edition-, BPL 스탬프 2곡([[Boomy and The Boost]], [[Catch Me]]), 뮤제카 스탬프 3곡([[Chippin Break]], [[Laughin' Muffin]], [[Metsysralos]]), 리플렉 스탬프 3곡([[Juicy]], [[リカーシブ・ファンクション]], [[海神]]), 가합전 플래그 랠리 4곡([[鋳鉄の檻]], [[チュッチュ♪マチュピチュ]], [[Globe Glitter]], [[DUAL STRIKER]]), 미션 트래블 2곡([[Hero Revealed]], [[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를 제외한 모든 구곡들을 전도받을 수 있게 되었고, [[유비트 소서]]때부터 시작된 이벤트인 [[FLOOR INFECTION]] 곡들도 여섯 작품, 9년 만에 전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세부 판정 표기 기능 추가 ==== 유비트 애비뉴부터 판정 오차 표기 기능이 추가되었다.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유비트 유저층의 축소 및 변화에 따른 실력 상향 평준화의 영향으로 엑설런트 달성을 주 컨텐츠 삼는 유저층이 크게 늘었는데, Early/Late 표시 및 세부 수치 표시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가독성에 대해서는 약간 의견이 갈리는 편. ==== 다양한 외주 아티스트 곡 수록 및 외부 콜라보 진행 ==== 시리즈 초기부터 [[Tatsunoshin]], [[Flash Back Dominant]], [[Capchii]], [[ARForest]], [[PIKASONIC]] 등 [[동인 음악]] 및 서브컬쳐 음악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젊은 뮤지션들의 곡들이 수록되었고, 훌륭한 곡 퀄리티로 인해 유저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이 중 일부는 타 기종이 아닌 유비트 시리즈로 아케이드 리듬게임 첫 데뷔를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이외에도 [[hololive]]와의 콜라보를 통해 신규 유입을 이끌어냈고, [[카메리아]] 4집 앨범 [[灰の羽搏]] 발매 기념 라이센스 곡 수록을 통해 중견급 뮤지션들과도 꾸준한 교류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 부정적인 부분 === ==== 난이도 조정의 부재 ==== [[유비트 페스토]]에서 9, 10레벨이 소숫점 단위로 난이도 분화가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난이도 측정에 대한 논란이 있었고, 약 4년 가까이 가동된 페스토에서 가동중 수정이 없어 새롭게 난이도 조정이 필요했으나 진행되지 않았다. ==== 지나치게 어려운 메인 해금 시스템 난이도 ==== 메인 해금 시스템인 [[LIGHT CHAT]]는 코피어스, 큐벨 때처럼 게이지제를 사용하는데, 수수께끼를 풀어 얻는 캐릭터의 해금 속도가 느리다는 평이 많다. [[Explore Every Ave.]]부터 [[brown hawk owl]]까지의 12곡을 해금하기까지 걸리는 규모는 큐벨의 [[運命]]부터 [[Glitter Flatter Scatter]]까지의 해금 튠수와 엇비슷하거나 약간 많은 정도지만 플레이 요금이 올라서 실질 비용은 좀 더 들게 된다. 그래도 아쿠타 곡 SSS 달성 조건 정도를 제외하면 해금 속도가 느리긴 해도 기간 한정이 아닌 메인 해금 시스템이란 것과, 1일 보너스까지 생각하면 해금 방식이나 난이도가 크게 문제되진 않는 수준이다. 문제는 그 다음인 NIGNIG이다. 이전까지 쉬운 조건을 제시해오다 난데없이 등장 조건이 [[†渚のリベンジΣ脈あり!?バケェ~ション†]], [[Time Lapse(BEMANI 시리즈)|Time Lapse]], [[Elysion ex machina]], [[brown hawk owl]], 총 4곡의 '''EXT''' 난이도를 '''99만''' 달성 혹은 누적 '''600튠'''을 요구하게 되면서 해금 난이도가 확 올라가버렸다. 상위 유저들에게도 전자는 어려운 조건인데, 일반 유저들에게는 불가능에 가깝고 사실상 후자를 강제로 선택해야 한다는 점이 문제. 그나마 NIGNIG의 600튠 해금 난이도는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될 걸 염두에 둔 거라 한꺼번에 해금을 달리는 게 아닌 이상 상식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지만 화룡점정은 최종 해금 페이즈인 HALO인데, 유빌리티 '''{{{#red 8500}}}''' 혹은 누적 '''{{{#red 3,000튠}}}'''에, 부스터 미션이 각각 [[Confiserie]], [[AIR RAID FROM THA UNDAGROUND]], [[Glitter Flatter Scatter]], [[Last Dress]], [[灼熱Beach Side Bunny]], [[Stand Alone Beat Masta]] '''EXT''' 난이도[* 전 곡 '''{{{#red 10.7 이상}}}'''.] '''풀콤보'''라는 경악스러운 조건으로 등장했다. 사실상 상위권 유저가 아니면 구경조차 못 하는 조건이다. 메인 해금 시스템인 걸 감안해도 해금 난이도가 지나치게 어렵게 나온 만큼 이에 대한 유저들의 반발이 적지 않았는데, 결국 공식 트위터를 통해 HALO의 해금곡인 [[Crackpot Evangelist]]가 최종해금곡이었음을 고지하고, 8월 22일부터 NIGNIG과 HALO의 출현 조건을 완화할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왔다.이후 몇 번의 완화를 거쳐 23년 4월 기준 Lost Dream은 과제곡 4곡의 점수 '''95만점''' 이상, Creakpot Evangelist는 유빌리티 '''7,500 이상''' 또는 '''누적 2000튠 플레이'''로 조건이 하향되었다. ==== 라이트 모드의 페널티 삭제 후 재적용 ==== 가동 초기에는 클랜-페스토에서 생겼던 라이트 모드에서의 해금, 추가 설정 불이익이 사라졌었다. 이는 클랜의 OMIYAGE와 페스토의 emo와 같은 재화가 아니라 큐벨처럼 게이지제로 바뀌면서 생긴 변화로, 특히 부스트 미션이 코인으로 계산하는지라 대기가 없다면 라이트 모드 해금이 더 크게 먹힐 때도 있었다. 그러나 2022년 9월 13일 진행된 업데이트로 인해 라이트 모드에서는 부스트 미션 적용이 되지 않게 되면서 클랜-페스토 때와 마찬가지로 다시 불이익이 생기게 되었다. 그나마 게임 플레이로 획득하는 jwatt는 정상적으로 지급되지만, 부스트 미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jwatt가 많다면 그만큼 해당 구간의 총 요구량은 매우 높기에 해금을 모두 끝낸 게 아닌 이상 지속적으로 라이트 모드를 하기는 좋지 않다. 문제는 이미 페널티 없이 후반 해금곡인 [[Lost Dream]], [[Crackpot Evangelist]]를 해금한 유저가 있기에 해금을 한 사람과 해금을 하지 못한 사람간에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것. ===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 === ==== 코스모드의 부재 ==== 큐벨 이후로 별도의 코스 모드가 없는 시리즈다. 프롭-클랜-페스토 때는 아레나, NOBOLOT과 TUNE RUN이 7개월 내지는 3~4개월만에 추가되었고, 큐벨도 UNLOCK CHALLENGE 등 나름 실력을 요구하는 모드가 있다는 걸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 ==== 오리지널 곡의 적은 비중 ==== 소서에 이어, 오리지널 곡 비중이 이식곡 비중보다 적은 시리즈다. 애비뉴의 총 곡 개수는 53개지만, 그 중 메인+기간한정 해금곡 포함 총 22곡만이 애비뉴 오리지널곡에 속하는 반면 이식곡은 무려 24곡이다. 그 중 20곡이 투덱/DDR/사볼 이식곡이며 모바일 역이식곡이다. 참고로 동시수록곡은 6개[* 이치카 3곡+KAC 2023 2곡+Awakening Wings]이며 나머지 1곡은 [[Daily Lunch Special]] 홀드 보면. 오리지널리티를 좋아하는 일부 유저들에게는 아쉬울 수 있다. 다만 카메리아 곡이 라이센스로 5곡이 나온데다 잘 언급되지는 않는 편. === 총평 === [[유비트 클랜]]에서 시작되어 [[유비트 페스토]]까지 이어온 침체기를 끊어냈다. 굴곡은 있었으나 운영상의 큰 실책 없이 무난한 운영을 했고, [[ARForest]]와 같은 신규 아티스트의 오리지널 곡과 [[かめりあ]]의 메이저 4집 앨범 [[灰の羽搏]]의 5곡을 수록하는 등 가동 내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을 받았다. 최근 코나미는 [[BEMANI]] 시리즈의 부진으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선택했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비인기 기종들이 단종되면서, 약 5년간의 침체기와 코로나19 대유행, 또 그로 인한 신기체 개발 중단과 리부트 취소 등의 다양한 악재를 겪고 있는 유비트 시리즈도 코나미의 가지치기의 목표가 될 것이라는 우려를 샀다. 그러나 다행히도 유비트 애비뉴에서 침체기를 끊어내고 중흥을 이루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시리즈의 존폐 위협을 종식시키고 건재함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이번 작품은 유비트 역사 15년에 있어 매우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5년간의 침체기의 영향력은 컸다. 여전히 떠난 유저들은 돌아오지 않았고, [[maimai]]나 [[CHUNITHM]]과 같은 타사 인기작들은 물론 BEMANI 시리즈의 주축이 되는 [[beatmania IIDX]]나 [[사운드 볼텍스]]에 비해선 여전히 열세이다. 당장 시리즈 폐지는 면했지만, 계속해서 BEMANI의 입지가 좁아진다면 유비트 시리즈는 다시 가지치기의 목표가 될지도 모른다. [[유비트 큐벨]]처럼 유비트 애비뉴가 회광반조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다음 작품]]에서도 이런 추세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 이벤트 == === jwatt 충전 캠페인 === [[파일:jwatt.jpg]] 일정 기간 동안 jwatt 획득량이 한 판에 100씩 증가하는 이벤트. 2회부터 라이트모드에서는 이벤트 적용이 되지 않는다. * 이벤트 개최기간 * 2022/11/09 ~ 2022/11/15 * 2022/12/26 ~ 2023/01/10 * 2023/04/26 ~ 2023/05/09 * 2023/08/23 ~ 2023/09/05 == 수록곡 관련 정보 == === [[/수록곡|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비트 애비뉴/수록곡)] === [[유비트 시리즈/삭제곡#s-11|삭제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비트 시리즈/삭제곡, 문단=11)] == 버그 == * [[유비트 클랜]] 버전부터 있던 매칭 버그가 아직도 고쳐지지 않았다. * 매칭 후 다음 화면으로 넘어갈 때 장시간 멈춰 있는 문제가 여전히 있다. * 기간 한정 해금 캐릭터가 해금 기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해금이 가능하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jubeat&no=40339&page=1|#]] === 해결된 버그 === 이하 문단은 추후 업데이트로 수정되었다. * 스텔스 마커가 전작 페스토 이펙트로 나왔었다. 2022년 8월 8일 수정되었다. * 기간 한정 LIGHT CHAT인 [[LIGHT CHAT #s-4.1.1|POMPA]]의 악곡을 해금해도 곡이 출연하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당일 수정으로 해결되었다. * LIGHT CHAT의 튠 수 조건을 달성할 때, 로컬 매칭의 플레이 튠 수를 합산하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2022년 8월 26일 수정되었다. * 선곡 창에서 난이도 9.0의 폰트가 전작 페스토의 것으로 되어 있었다. 2022년 9월 13일 수정되었다. * [[Stella Sinistra]]가 아티스트 폴더 [[ARM(IOSYS)]]에 들어가 있었다. 명의가 [[Akhuta]] Philh'''arm'''onic Orchestra여서 그렇게 된 것으로 추정. [[https://twitter.com/mathema_mad/status/1556636100470673408|#]] 2022년 9월 13일 수정되었다. * 로컬 매칭을 진행하면 [[LIGHT CHAT]] 해금을 진행할 수 없었다. 2022년 9월 13일 수정되었다. ##== OST == == 업데이트 내역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2/08/03 || 정식 가동 개시 || || 2022/08/24 || [[LIGHT CHAT#s-4.1.1|LIGHT CHAT / POMPA]]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2/09/13 || 라이센스 1곡 삭제[br]풀콤보, 엑설런트 이펙트 변경[br]LIGHT 모드에서 플레이 시 LIGHT CHAT의 부스트 미션 참여가 불가능하도록 제한 || || 2022/09/14 || [[LIGHT CHAT#s-4.1.2|LIGHT CHAT / TWINY]]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br]라이센스 1곡 추가 || || 2022/10/05 || [[LIGHT CHAT#s-4.1.3|LIGHT CHAT / BOB]]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2/10/19 || [[LIGHT CHAT#s-4.2.1|LIGHT CHAT / TRAN FROM IIDX-01]] 기간 한정 해금곡 4곡 추가 || || 2022/10/26 || 오리지널 1곡, [[hololive]] 콜라보 라이센스 6곡 추가[*! 아시아판(지역코드 A)는 라이센스 곡 미수록.] || || 2022/11/01 || [[이치카의 뒤범벅 Mix UP!]] 해금곡 5곡 추가 || || 2022/11/16 || [[LIGHT CHAT#s-4.2.2|LIGHT CHAT / TRAN FROM IIDX-02]] 기간 한정 해금곡 4곡 추가 || || 2022/12/14 || [[LIGHT CHAT#s-4.1.4|LIGHT CHAT / GENT]]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3/01/18 || [[LIGHT CHAT#s-4.3.1|LIGHT CHAT / SEVEN]]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3/02/10 || [[STAR RECORD#s-3.2|STAR RECORD]]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3/03/01 || [[LIGHT CHAT#s-4.3.2|LIGHT CHAT / CoreCore]]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3/03/16 || [[LIGHT CHAT#s-4.4.1|LIGHT CHAT / TSUMABUKI FROM SDVX-01]] 기간 한정 해금곡 4곡 추가 || || 2023/03/22 || 라이센스 1곡 추가 || || 2023/03/29 || 라이센스 1곡 추가 || || 2023/04/03 || EXPERT OPTION에 RANDOM 기능 추가 || || 2023/04/05 || 라이센스 1곡 추가 || || 2023/04/12 || 라이센스 1곡 추가 || || 2023/04/19 || 라이센스 1곡 추가 || || 2023/04/26 || 라이센스 1곡 추가 || || 2023/05/08 || EDIT 채보 기능(jubeat lab.) 개편 및 재개시 || || 2023/05/10 || [[LIGHT CHAT#s-4.3.3|LIGHT CHAT / BYUN]]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3/06/07 || [[LIGHT CHAT#s-4.5.1|LIGHT CHAT / BABY-LON FROM DDR-01]] 기간 한정 해금곡 4곡 추가 || || 2023/06/28 || [[LIGHT CHAT#s-4.5.2|LIGHT CHAT / BABY-LON FROM DDR-02]] 기간 한정 해금곡 4곡 추가 || || 2023/06/29 || [[hololive]] 콜라보 라이센스 1곡 추가[*! 아시아판(지역코드 A)는 라이센스 곡 미수록.] || || 2023/07/24 || [[LIGHT CHAT#s-4.6|LIGHT CHAT / MINGLE STAR]] 기간 한정 해금곡 3곡 추가 || || 2023/08/09 || [[LIGHT CHAT#s-4.7.1|LIGHT CHAT / (KAC2023)SMITH-01]] 기간 한정 해금곡 1곡 추가 || || 2023/08/09 || [[KAC 2023]] 예선곡 1곡 추가 || || 2023/09/04 || 라이센스 5곡 삭제 || }}} || == 여담 == [[파일:73FC864E-CCC0-473E-A1BB-0ADDC4F06F92.jpg|width=500px]] * 지금까지의 유비트 시리즈가 한 작품마다의 POP이 달라졌던 것과 달리 새로운 전면 POP이 범용으로 제작되었다. 후면 POP은 없다. * [[유비트 프롭]]에 이어 두 번째로 한일 동시발매가 되는 작품이다. * [[유비트 큐벨]] 이후 세 작품만에 부제에 대문자가 포함된 작품이다. * [[유비트 코피어스]] 이후로 오랜만에 엑설런트 효과에 Your rating is... 문구가 부활했다. 보이스는 없다. * 전작들과는 달리 이번 신작으로 업데이트 후 공장출하 상태로 돌아가지 않았다. * 시스템 숫자 폰트가 [[유비트 코피어스]]와 매우 유사하다. * 한일 양국에서 이유는 다르지만 부제로 개드립을 많이 친다. 한국에서는 정식 표기가 [[애비]]뉴라 그런지 이걸로 [[패드립]]을 치는 유저들이 있다. 일본어 발음은 '''아베'''뉴('''アベ'''ニュー)여서 일본에서는 [[아베 신조|아베]]라는 별명이 붙었다. 영어 약칭이 Ave.라서 한국에서도 아베라고 불리고 있다. * 구곡 해금 코스는 시리즈 출시 후 약 2주 지나 [[2022년]] [[8월 17일]]에 추가되었다. [[LIGHT CHAT]]의 CONCIREGE 캐릭터에서 해금할 수 있다. * [[유비트 시리즈]] 사상 최초로 수록곡 수가 1,000곡(3,000보면)을 돌파한 작품이다[* 삭제곡 제외, \[2\] 악곡 포함]. 1,000번째 수록곡은 [[After Rain]]. [[분류:유비트 시리즈]][[분류:2022년 아케이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