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방계(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DuzatheMeteorCubicVessel-JP-Manga-NC.png]] 원작 이후의 외전 코믹스 TRANSCEND GAME에서 [[세라(유희왕)|플라나]]가 듀얼링크스에서 사용한 카드로 등장. 듀얼링크스의 특수 룰로 세라의 강한 정신력 덕분에 공격력이 8800 P(펄스)까지 오른 상태였으며, '용기사 기공단' 길드의 우주광석룡 스톤 헤드 드래곤을 격파하는 등 서버 내에서 양학 행위를 벌이고 다녔다. 이후 개입한 [[카이바 세토]]의 [[푸른 눈의 백룡]]과 격돌하였으나, 곧 19900 P로 오른 푸른 눈의 백룡의 반격에 파괴되었다. 공격명은 '방계 부스트 너클(方界[ruby(遠心拳, ruby=ブースト・ナックル)])'. [[V점프]] 단편 연재 당시 게재된 러프화에서는 카드명이 '유성의 호신 듀자(流星の護神デューザ)'로 표기되어 있었으며, 디자인도 현재와 딴판이었다. 모티브는 고대 [[브라만교]]의 하늘의 신 '디아우스 피타(द्यौष्पि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14457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유성방계기 듀자, 일어판명칭=流星方界器(りゅうせいほうかいき)デューザ, 영어판명칭=Duza the Meteor Cubic Vessel, 레벨=4,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16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방계"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상태에서\, 몬스터가 자신의 묘지로 보내진 턴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자신 묘지의 몬스터의 종류 × 200 올린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주간 [[소년 점프]] 2016년 19호 동봉 카드로 등장. 하급 방계 중에서는 유일하게 공격력 / 수비력이 0이 아니다.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방계(유희왕)|방계]]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턴 제약도 없는데다 타이밍을 놓칠 일도 없으므로 체인 2 이후에 소생한 경우라도 문제없이 묘지 덤핑이 가능하다. 특히 [[방계(유희왕)#방계합신|방계합신]]과 상성이 좋은데,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도 묘지에서 제외하여 2장째 듀자를 특수 소환하고 다시 방계합신을 묘지로 묻을 수가 있다. [[방계(유희왕)#방계업|방계업]]을 묘지로 보내서 이 카드를 유사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에어맨]]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레벨 2 / 3의 방계 특수 소환 몬스터를 효과 대상으로 삼는 [[방계(유희왕)#방계윤 비잠|방계윤 비잠]]을 묻어도 좋다. ②의 효과는 몬스터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 자신의 공격력을 강화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즉시 효과|유발 즉시 효과]]. ①의 효과로 방계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있으니 자신의 효과만 써도 1800의 어태커가 되고, 다른 몬스터가 쌓여있다면 상급 어태커 수준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 상대 턴에도 사용할 수 있으니 공격 선언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면 컴뱃 트릭 역할도 할 수 있다. [[방계(유희왕)#방계윤 비잠|방계윤 비잠]]과 더불어 둘 밖에 없는 일반 소환이 가능한 [[방계(유희왕)|방계]] 몬스터로, 방계 중심 덱에서는 중간다리 역할을 해줄 필수 카드다. [[명추리]] 등으로 [[방계(유희왕)#방계업|방계업]]이나 [[방계(유희왕)#방계합신|방계합신]]을 묘지로 보내면서 특수 소환을 노릴 수도 있다. 풀 몬스터나 하이랜더 처럼 몬스터 비율이 높은 덱에서도 채용을 고려할 수 있는데, 묘지 자원이 어느 정도 채워진다면 특수 소환에 의존하지 않고 최상급 몬스터를 쓰러뜨릴 만한 어태커가 될 가능성이 있다. ②의 효과의 조건도 되주는 ①의 효과를 위해 [[방계(유희왕)#방계윤 비잠|방계윤 비잠]]도 같이 투입해봐도 좋을 것이다. 다만 이 카드를 서치하기 어렵다는 건 난점. 방계는 종족/속성 모두가 따로 놀기 때문에 종족/속성 서포트를 활용하기 힘들다. 빛 속성 / 기계족이지만 [[샤이닝 엔젤]]은 공격력이 딱 200 높아서 비켜가고,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는 발동 조건 때문에 사용 불가. 공수가 같은 기계족이라 [[기교(유희왕)|기교]] 카드군의 효과의 대상이 되고 레벨 4라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로 특수 소환이 가능한 점은 위안거리. 원작 단편이 연재된 [[V점프]]에서는 [[명추리]] 등으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몬스터의 종류가 14장 이상인 상태에서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를 사용하면 공격력이 원작처럼 8800이 된다는 콤보를 소개했다. ||수록 시리즈 || ||<(> 2016-04-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WJMP-JP026 | '''[[주간 소년 점프|週刊少年ジャンプ 2016年 19号 付録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KC)] || ||<(> 2019-0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TH-JPC63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6-06-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VP1-KR046 |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MOVIE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05-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EC1-KR063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레전드 컬렉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7-01-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VP1-ENGV1 |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MOVIE PACK|Yu-Gi-Oh! THE DARK SIDE OF DIMENSIONS MOVIE PACK GOLD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2020-01-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VP1-ENSV1 |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MOVIE PACK|YYu-Gi-Oh! THE DARK SIDE OF DIMENSIONS MOVIE PACK SECRET EDITION Variant Car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방계(유희왕), version=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