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유수영의 타이틀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ZEUS FC 밴텀급 챔피언)] [include(틀:BLACK COMBAT 라이트급 챔피언)] [include(틀:BLACK COMBAT 페더급 챔피언)] [include(틀:BLACK COMBAT 밴텀급 챔피언)] [include(틀:DEEP 밴텀급 챔피언)]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짓수.jpg|width=100%]]}}} || ||<-2> '''본주짓수 군포''' || ||<-2> '''{{{#000 {{{+2 유수영}}}[br]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유짓수}}}}}} | Yoo Soo-Young}}}''' || ||<|2> '''출생''' ||[[1995년]] [[12월 11일]] ([age(1995-12-11)]세)|| ||[[경기도]] [[광명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신체''' ||'''키''' 168cm, '''체중''' 62kg || ||'''혈액형''' B형 || ||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Soo-Young-Yoo-179453| 14전 11승 2패 1NC]] || || '''승''' ||{{{-1 3KO, 5SUB, 3판정}}} || || '''패''' ||{{{-1 2 판정}}} || || '''스타일''' ||주짓수 || || '''등장곡''' ||SABINA - Dagestan (Remix) || || '''주요 타이틀''' || '''【 [[주짓수]] 블랙벨트 】''' [br] '''【 [[Zeus FC]] 밴텀급 챔피언 】''' [br] '''【 [[블랙컴뱃]] 초대 라이트급 챔피언 】''' [br] '''【 [[Naiza fc]] 밴텀급 챔피언 】''' [br] '''【 [[블랙컴뱃]] 초대 페더급 챔피언 】'''[br]''' 【 [[블랙컴뱃]] 2대 밴텀급 챔피언 】'''[br]''' 【 DEEP 10대 밴텀급 챔피언 】''' || || '''데뷔''' ||[[종합격투기]] : [[2014년]] [[종합격투기|프로]] 《TFC 04》[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4-11-05)]'''일)}}} || ||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you_jitsu/|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youtube.com/channel/UCSLWH-9qkM1nrWPnd7c0XX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주짓수]] 선수다. == 생애 == 운동을 처음 시작한건 중학교 1학년이었다. 달리기 같은 빠른 운동을 좋아했지만 힘이 그렇게 쎄지 않아서 좀 강해지고 싶다는 생각에 운동을 시작했다. 주짓수를 하기 전에는 [[삼보]]를 1년 정도 했었다. [[광명시]] 쪽에 거주하고 있을 당시 삼보 체육관이 있어서 그곳에서 운동을 하다가 [[군포시]]로 이사가게 되어서 도복을 입고 할 수 있는 운동이 뭐가 있을까 생각하다가 주짓수 도장이 보여서 배우게 되었다. 20살때 처음으로 [[MMA]] 프로 시합에 나갔었지만 제대로 운동을 안한 탓인지 선수로서의 책임감을 생각하지 못해서 패배하고 [[군대]]에 [[입대]]했다. 그렇게 군생활을 마친 후 제대로 된 프로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 경력 == === [[주짓수]] === 2009년 주짓수에 입문한 그는 꾸준히 입상하며 본주짓수 에이스로 급부상했다. * 2011년 [[주짓수|블루 벨트]]로 승급 * All Japan Beginning 1위 * 앱솔루트 대회 1위 * 2012년 JJAK 3위 * 2013년 [[주짓수|퍼플 벨트]]로 승급 * KBJJF Korea Open 3위 * 2014년 Open Cup 1위 * 한국 마스터컵 대회 1위 * 데라히바컵 대회 3위 * 앱솔루트 대회 1위 * PAN 코리아 1위 * 청주 Open Cup 1위 * [[주짓수|브라운 벨트]]로 승급 * 코리아 내셔널 주짓수 토너먼트 1위 * 스피드 NS컵 1위 * 아부다비 코리아 프로 인터내셔널 챔피언쉽 1위 이밖에도 여러 대회에서 메달을 휩쓴 국내 최고 수준의 주짓떼로다. ||<-7>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랙벨트.jpg|width=100%]]}}} || ||<-7> '''{{{#000 {{{+1 [[주짓수|블랙벨트]] 🥋 승급 }}}}}}''' || ||<-7> '''{{{+5 {{{#cc0000 ■■■}}}}}}''' || || '''{{{#000 이름}}}''' ||<-6>유수영 || || '''{{{#000 승단일}}}''' ||<-6>2020년 5월 7일 || || '''{{{#000 지도자}}}''' ||<-6>이정용 || || '''{{{#000 소속}}}''' ||<-6>본 주짓수 군포 || * 특히 기-노기 주짓수를 통틀어서 현재 한국 주짓수 블랙벨트 최강자 중 한명으로 항상 뽑히는 조준용 선수를 상대로 여러번 경기를 가졌는데, 두 선수는 서로가 브라운벨트였던 시절 시합에서 많이 만났고 승패를 주고 받았다. * 블랙벨트 시절에는 주짓수 국가대표인 김희승, 조원희 선수와 경기를 가졌다. 김희승 선수와의 경기에서는 승리했으며, 조원희 선수와의 경기에서는 마지막에 서브미션에 걸려 역전패했으나 그 전까지는 점수에서 앞서고 있었다. === [[종합격투기]] === * 14전 11승 2패 1NC ||
'''순서''' || '''경기일''' || '''대회명''' || '''상대''' || '''경기결과''' || || 1 || 2014.11.05 || 【 TFC 04 】[br]Top Fighting Championshi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안정현 ||3R 판정패 || || 2 || 2017.06.03 || 【 TFC Dream 3 】[br]Top Fighting Championship Dre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장현우 ||1R 4:43 리어 네이키드 초크 승 || || 3 || 2017.07.22 || 【 TFC 15 】[br]Top Fighting Championshi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박경호 ||2R 3:57 리어 네이키드 초크 승 || || 4 || 2017.12.09 || 【 TFC 16 】[br]Top Fighting Championshi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김승구 ||1R 3:55 TKO 승 || || 5 || 2018.05.25 || 【 TFC 18 】[br]Top Fighting Championshi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안상주 ||1R 2:19 리어 네이키드 초크 승 || || 6 || 2018.11.16 || 【 TFC 19 】[br]Top Fighting Championshi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이진세 ||3R 판정승 || || 7 || 2019.11.10 || 【 Pancrase 310 】[br]Pancrase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오하시 유이치 ||1R 0:13 KO 승 || || 8 || 2020.11.14 || 【 ZFC 005 】[br]ZEUS Fighting Championshi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서신영 ||1R 2:58 암바 승 || || 9 || 2021.10.29 || 【 UAE Warriors 24 】[br]UAE Warriors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20]]사르바욘 카미도프 ||3R 판정패 || || 10 || 2022.06.18 || 【 BLACK COMBAT 02 】[br]The Dark Knight Begin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김정균 ||3R 판정승 || || 11 || 2022.09.23 || 【 NFC 44 】[br]Naiza Fighter Championship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아이딘 코덱 ||4R 1:28 암 트라이앵글 초크 승 || || 12 || 2022.12.31 || 【 BLACK COMBAT 04】[br]The Era Of New King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이진세 ||3R 판정승 || || 13 || 2023.07.22 || -- 【 BLACK COMBAT 07】[br]Civil Wa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김동규-- ||판정 논란 무효 처리 (NC) || || 14 || 2023.09.18 || 【 BLACK COMBAT 08】The Last Samurai[BR]vs 【 DEEP 115 IMPACT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이시즈카 코이치 ||1R 4:28 TKO 승 || ==== vs. 안정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ㅡ)]}}} || || '''vs. 안정현''' || ==== vs. 장현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fzWhCOcwyA)]}}} || || '''vs. 장현우''' || ==== vs. 박경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ㅡ)]}}} || || '''vs. 박경호''' || ==== vs. 김승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3tSlHqDNa8)]}}} || || '''vs. 김승구''' || ==== vs. 안상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ㅡ)]}}} || || '''vs. 안상주''' || || [[https://www.youtube.com/live/EqMzeMYALxo?feature=share| -3:54:37 시작]] || ==== vs. 이진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TgAYwrfhn0)]}}} || || '''vs. 이진세''' || ==== vs. 오하시 유이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3CtVg_F7YKc)]}}} || || '''vs. 오하시 유이치''' || ==== vs. 사르바욘 카미도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THDvclAX-Q)]}}} || || '''vs. 사르바욘 카미도프''' || ==== vs. [[김민우(종합격투기)|김민우 (코리안 모아이)]] ==== 2024년 1월 블랙컴뱃 넘버링 대회에서 맞붙는 것이 확정 되었다. === 타이틀전 === ==== vs. 서신영 ==== ||<-3> [[파일:88426562_547125449489678_7029396458797268992_n.jpg|height=100]][br]'''{{{#000 {{{+1 Zeus Fighting Championship 5}}} [br] ZFC 05 }}}''' || ||<-3> '''{{{#fff 2020. 11. 14 / 충북 청주 그랜드플라자 호텔 직지홀 }}}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제우스FC 밴텀급 타이틀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LDg9RkB9Y0)]}}} || ||<-3> '''{{{+1 {{{#000 {{{#!html MAIN EVENT}}}}}}}}}''' || || '''{{{#fff 유수영}}}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유짓수}}}}}}''' [br]{{{#fff (1R 2:58 암바 승)}}} || '''{{{-2 {{{#fff 주심[br]김덕용}}}}}}''' || '''{{{#fff 서신영}}} '''[br]{{{#fff (패)}}} || ||<-3> '''{{{#ffd700 "[[코로나 19]]로 인해 시합을 뛰지 못하고 운동만 하고 있을때도 항상 응원해주신 부모님, 형 [br]그리고 본주짓수 관장님, 식구들 모두 감사합니다. "}}}''' || ==== vs. [[김정균(종합격투기)|김정균 (곰주먹)]] ==== ||<-3> [[파일:블랙컴뱃 로고.jpg|height=70]][br]'''{{{#ffd700 {{{+1 Ⅱ. THE DARK KNIGHT BEGINS [br] BLACK COMBAT 02 }}}}}}''' || ||<-3> '''{{{#fff 2022. 06. 18 /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호텔 }}}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블랙컴뱃 라이트급 타이틀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fN2IRSW654)]}}} || ||<-3> '''{{{+1 {{{#000 {{{#!html COMAIN EVENT}}}}}}}}}''' || || '''{{{#fff 김정균}}}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곰주먹}}}}}}''' [br]{{{#fff (패)}}} || '''{{{-2 {{{#fff 주심[br]유우성}}}}}}''' || '''{{{#fff 유수영}}}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유짓수}}}}}}'''[br]{{{#fff (3R 만장일치 판정승)}}} || ||<-3> '''{{{#ffd700 "[[로드 FC]] 밴텀급 챔피언 [[김수철(종합격투기)|김수철]] 선수를 콜아웃함과 [br]동시에 국내 타 단체 어디든 상관없이 밴텀급, 페더급 선수 누구와도 경기할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 ==== vs. 아이딘 코덱 ==== ||<-3> '''{{{+5 {{{#fff ''NAIZA FC'' }}}}}}''' [br]'''{{{#fff Naiza FC 044 }}}''' || ||<-3> '''{{{#fff 2022. 09. 23 / 카자흐스탄 알마티 }}}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나이자 FC 밴텀급 타이틀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0lbjNtUhE)]}}} || ||<-3> '''{{{+1 {{{#000 {{{#!html MAIN EVENT}}}}}}}}}''' ||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0]] {{{#fff AIDYN KODEK}}}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Tank}}}}}}''' [br]{{{#fff (패)}}} || '''{{{-2 {{{#fff 주심[br]AKTLEU [br]ASKERBAIUL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fff 유수영}}}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유짓수}}}}}}'''[br]{{{#fff (4R 1:28 암 트라이앵클 초크 승)}}} || ||<-3> '''{{{#ffd700 "경기 예정이였던 라우안 벡볼라트 선수가 계체 초과 실패로 인해 [br]같은 밴텀급 랭커 아이딘 코덱 선수로 교체되었다."}}}''' || ==== vs. [[빡세 이진세|이진세 (빡세)]] ==== ||<-3> [[파일:블랙컴뱃 로고.jpg|height=70]][br]'''{{{#ffd700 {{{+1 Ⅳ. THE ERA OF NEW KINGS [br] BLACK COMBAT 04 }}}}}}''' || ||<-3> '''{{{#fff 2022. 12. 31 /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크로마 클럽 }}}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블랙컴뱃 페더급 타이틀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IgqvkDnmk0)]}}} || ||<-3> '''{{{+1 {{{#000 {{{#!html MAIN EVENT}}}}}}}}}''' || || '''{{{#fff 이진세}}}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빡세}}}}}}''' [br]{{{#fff (패)}}} || '''{{{-2 {{{#fff 주심[br]배기성}}}}}}''' || '''{{{#fff 유수영}}}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유짓수}}}}}}'''[br]{{{#fff (3R 만장일치 판정승)}}} || ||<-3> '''{{{#ffd700 "[[블랙컴뱃]] 초대 라이트급 타이틀을 반납했지만 다시 타이틀전에 도전할 것이고, [br]밴텀급 타이틀전에도 도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 vs. 김동규 (빅마우스) ==== ||<-3> [[파일:블랙컴뱃 로고.jpg|height=70]][br]'''{{{#ffd700 {{{+1 Ⅶ. CIVIL WAR}}} [br] BLACK COMBAT 07 }}}''' || ||<-3> '''{{{#fff 2023. 07. 22 /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8홀 B }}}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블랙컴뱃 밴텀급 타이틀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auqAHc3rxU)]}}} || ||<-3> '''{{{+1 {{{#000 {{{#!html MAIN EVENT (NC)}}}}}}}}}''' || || '''{{{#fff 유수영}}}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유짓수}}}}}}''' [br]{{{#fff --(4R 2:26 암 트라이앵글 초크 승)--[br]무효 처리}}} || '''{{{-2 {{{#fff 주심[br]배기성}}}}}}''' || '''{{{#fff 김동규}}}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빅마우스}}}}}}'''[br]{{{#fff --(패)--[br]무효 처리}}} || ||<-3> '''{{{#ffd700 "계체 초과 실패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고 김동규 선수한테 그냥 졌다고 말할까란 고민도 했지만 [br]어머니의 말씀으로 인해 생각을 바꾸고 더 열심히 했다. [br]늘 곁에서 꿈을 지지해주신 어머니에게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 vs. 이시즈카 코이치 ==== ||<-3> [[파일:블랙컴뱃 로고.jpg|height=70]][br]'''{{{#ffd700 {{{+1 Ⅷ. THE LAST SAMURAI [br] BLACK COMBAT 08 vs DEEP 115}}}}}}''' || ||<-3> '''{{{#fff 2023. 09. 18 / 일본 도쿄 고라쿠엔홀}}} ''' ||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BLACK COMBAT / DEEP 밴텀급 더블 타이틀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bVtF0HsdlE, width=100%)]}}} || ||<-3> '''{{{+1 {{{#000 {{{#!html Double Title Match}}}}}}}}}''' || || '''{{{#fff 이시즈카 코이치}}}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도메스틱 프린스}}}}}}''' [br]{{{#fff (패)}}} || '''{{{-2 {{{#fff 주심[br]우에마츠 나오야}}}}}}''' || '''{{{#fff 유수영}}}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E4002B;font-size:.9em" {{{#fff 유짓수}}}}}}'''[br]{{{#fff (1R 4:28 TKO 승)}}} || ||<-3> '''{{{#ffd700 ㅡ}}}''' || == 파이팅 스타일 == 주짓수 블랙벨트라는 백그라운드에서 나오는 압도적인 그라운드가 주특기로, 그래플링과 눌러놓기, 포지션 유지 부분에서 비 [[UFC]] 국내 중소단체 동체급에서는 [[김민우(종합격투기)|김민우]], [[김수철(종합격투기)|김수철]] 등을 제외하면 적수가 거의 없는 듯한 레벨을 보여준다. 특히 국내 경량급에서는 라이트급 선수, 페더급 선수 가리지 않고 테이크다운 후 포지션을 점유하여 눌러놓는 모습을 보여줘서 국내 최고수준의 그래플링이라는 이미지를 굳건히 다졌다. 주 전략은 싱글렉-더블렉 등 테이크다운 후 눌러놓는 안정적인 운영을 보여주는 것이다. 케이지 컨트롤도 상당하고 눕히고 눌러놓는 것에는 정말 도가 텄고, 게다가 체인 레슬링도 우수하다. 이렇게 강력한 테이크다운을 의식하게된 상대는 유수영의 타격에 둔감해져 타격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데미지를 줄 수 있게 된다. 그야말로 하빕의 경기 스타일과 거의 동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실제로 유수영은 하빕을 좋아하고 동경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등장음악도 하빕의 등장음악이고 [[모자]]도 털모자를 쓰고 등장한다.], [[하빕]]의 스타일에서 파괴적인 파운딩과 과격함을 빼면 유수영의 경기 전략과 상당히 비슷해진다. 이와 같이 그래플러의 이미지가 강한 선수이며 실제로 그래플링이 주무기인 선수이지만 타격도 만만치 않다. 잽 활용을 비롯한 기본기가 좋아 사이즈가 작음에도 거리싸움에서 밀리지 않으며 타격 허용이 매우 드물다. 중앙아시아 단체 챔피언, 일본 deep의 챔피언에도 등극하며 국내 블랙컴뱃의 레벨에서는 적수가 거의 없음을 인증했고 UFC 입성을 기대하는 레벨까지 올라왔다. == 여담 == * 블랙컴뱃03에서 비밀병희(임병희)와 곰주먹(김정균)의 타이틀 직행 티켓이 걸린 라이트급 경기로 사실상 타이틀을 반납한 격이었고, 블랙컴뱃04 프로모션 블랙홀덤에서 공식적으로 반납했다고 언급했다. * 블랙컴뱃 06 블랙체스 1화에서 자신의 본 체급인 밴텀급에서 활동을 말하며, 초대 페더급 챔피언 타이틀을 반납한다고 알렸다. * [[2023년]] [[8월]] 나이자 FC 53에서 술탄 졸도시벡 선수와 밴텀급 타이틀 방어전이 있었으나 대회사로부터 경기가 취소되었다고 한다. (인스타 라이브 도중 언급) [[분류: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주짓수 선수]][[분류:블랙컴뱃 챔피언]][[분류:1995년 출생]][[분류:광명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