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유수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천주교 군종교구장)] ---- [include(틀:군종교구의 주교단)] ---- }}} || ---- ||<-3> '''3대 [[천주교 군종교구|{{{#000000 천주교 군종교구}}}]]장'''[br] '''{{{+1 유수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000000 프란치스코 하비에르}}}]]}}}'''[br] '''劉修一''' | '''Francis Xavier Yu Soo-il''' || ||<-3> [[파일:유수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jpg|width=100%]] || ||<|2> '''출생''' ||<-2>[[1945년]] [[3월 23일]] ([age(1945-03-23)]세) || ||<-2>[[충청남도]] [[논산군]][br]현 충청남도 논산시 || || '''국적'''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사제 수품일''' ||<-2>1980년 2월 25일 ([age(1980-02-25)]주년) || || '''주교 임명일''' ||<-2>2010년 7월 16일 교구장 임명 || || '''재임기간''' ||[[파일:천주교 군종교구 심볼.svg|width=27]] [[천주교 군종교구|군종교구]]장 ||2010년 9월 15일 ~ 2021년 4월 9일 || || '''공식 홈페이지''' ||<-2>[[https://www.gunjong.or.kr/chief/chief-past.asp|유수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 || ||<-3> [[파일:유수일 주교 문장.jpg|width=300]] || ||<-3> '''끊임없이 기도하며'''[br]'''(Pray without ceasing)'''[[https://www.gunjong.or.kr/chief/chief-past.asp|#]]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수일 주교는 제3대 천주교 군종교구장으로 봉직했던 [[가톨릭/대한민국|한국 가톨릭]] 성직자이다. == 특징 == 한국 [[프란치스코회]](작은형제회) [[수도자|수도]]사제 중에 최초로 [[주교]]품을 받은 사람이다. 대부분의 주교가 모태신앙인 것과 달리 그는 성인이 되어서야 천주교 신자가 되었으며, 이는 천주교 주교들 중에는 흔치 않은 사례이다. 또 역대 군종교구장 중 유일하게 군종장교로 복무한 경력이 없는 민간 사제 출신이다. 심지어는 그는 젊은 시절에 과도한 저체중(44kg)으로 병역면제를 받아서 병으로 복무한 적도 없다. == 생애 == 1945년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졸업 후 1973년 작은형제회에 입회하여 1980년에 사제품을 받았다. [[천주교 수원교구]] 세류동성당 보좌신부, [[천주교 마산교구]] 칠암동성당 주임신부로 사목했으며 1990년 미국 뉴욕 성 보나벤투라 대학에서 영성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작은형제회 한국관구장, 한국 남자수도회 사도생활단 장상협의회 회장, 작은형제회 동아시아협의회 회장, 작은형제회 본부 총평의원, 작은형제회 서울 청원소 부수호자와 [[재속회|재속]] 프란치스코회 영적 보조자를 지냈다. 2010년 7월 16일 [[이기헌]] 베드로 주교의 뒤를 이어 제3대 군종교구장으로 임명되었으며 동년 9월 15일 정식으로 착좌하였다. 2021년 교구장 정년인 만 75세를 넘기면서 교회법에 따라 교황청에 사임청원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를 받아들이고, 후임으로 [[서상범]] 티토 신부를 제4대 [[군종교구]]장으로 임명했다. 서상범 주교에게 교구장 자리를 넘겨준 후, 그는 작은형제회로 돌아가 수도생활을 하며 이스라엘 성지 보호구로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분류:논산시 출신 인물]][[분류:천주교 군종교구장]][[분류:가톨릭 수도사제]][[분류:프란치스코회 수도자]][[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1945년 출생]][[분류:2021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