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인터넷 방송국]][[분류:IBM]] [[파일:external/static-cdn2.ustream.tv/logo:13847906991.png]] [[http://www.ustream.tv/|유스트림 홈페이지]] [목차] == 개요 == Ustream. 2007년 3월 미국에서 시작된 개인 [[인터넷 방송]] 서비스. 영어, 일본어, 한국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로 서비스되고 있다. 한때는 일본어 서비스가 [[니코니코 동화|니코나마]](니코동 생방송)와 호각을 뜰 정도로 흥했는데, 이건 유스트림이 일빠라서가 아니라 최대 투자자가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라서 그렇다는 얘기가 있다. 한국어 서비스를 하고 있는 한국 법인 Ustream Korea는 2012년 3월에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투자처는 [[KT]]와 [[소프트뱅크]]다. 2014년 12월 유스트림코리아가 철수했다. 2016년 1월 [[IBM]]이 1억3천만 불에 인수했다. 이후 IBM Cloud Video라는 이름의 기업용 서비스로 재편되었다. == 특징 == 전세계 라이브 서비스를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한국에도 많은 채널을 가지고 있다. 홈페이지에 이용법과 [[SNS]] 연계 등이 적혀있다. [[뉴스Y]], [[한국경제TV]], [[아리랑TV]], [[팩트TV]] 등이 서비스 중이며 한국내 행사에서 이 서비스로 중계해주는 곳이 많다. 심지어 기발한 라이브 채널도 있다. 24시간 [[태극기]]만 펄럭이는 채널이나 [[일본]] 지역의 지진을 감지하는 모니터 채널이 대표적. 일본에서 라이브 중계를 할 때 여기를 많이 활용하니 찾는 재미도 쏠쏠하다. [[버락 오바마]]가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유세에 활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닌텐도]] 다이렉트가 이곳에서 방송된다. 유스트림 홈페이지에서도 감상할 수 있다. 2010년, [[5ch]](당시 2ch)에서 어떤 사람이 자신이 자살을 할 것이라는 예고글을 쓰고, 실제로 유스트림에서 자살을 생중계 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133877|해당 사건 기사]] 2013년 12월, [[유튜브]]에서 생방송 스트리밍을 [[https://youtube-creators.googleblog.com/2013/12/now-you-can-live-stream-on-youtube.html|누구에게나 오픈]]하기 시작하면서 채널 이탈 및 유저 감소가 가속화되었다. IBM으로 인수된 지금은 기업용 스트리밍을 위주로 사업을 하는 듯 하지만, 무료인 유튜브나 페이스북에 비해 얼마나 구미가 당길지는 의문. [[https://www.ustream.tv/platform/plans/pro-broadcasting|실버 99$ / 월 : 100 광고 없는 시청자 시간, 1TB 동영상 보관]] == 한국 사업 철수 == [[파일:attachment/유스트림/Exampl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