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투믹스에서 연재하는 웹툰, rd1=유스티티아(웹툰), other2=EZ2ON 수록곡, rd2=JUSTITIA)] [목차] == [[로마 신화]]의 여신 == || [[파일:external/reagraham.files.wordpress.com/ukjustice.jpg]] || || [[영국]] [[중앙형사재판소|올드베일리]]의 유스티티아 상 || Justitia 혹은 Iustitia. [[로마 신화]]의 [[정의]]의 [[여신]]. [[그리스 신화]]에서 수입해온 신이 아닌 [[로마 신화]] 고유의 신으로 로마의 유스티티아 신앙은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최초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라틴어]]로 유스티티아 자체가 정의를 의미한다. [[영어]]에서는 아예 번역해서 Lady of Justice라고도 한다. 법원에 세워져 있는 눈 가리고 검과 저울을 들고 있는 여신의 상이 바로 이 여신이다. 검은 법의 어려움과 사법의 권위와 권력을 상징하고, 천칭은 법의 공정함과 공평함을 상징하며, 눈을 가리거나 눈을 감은 것은 법의 이상인 선입견이 없음을 상징한다. 하지만 상단의 예시처럼 멀쩡히 눈을 뜨고 있는 경우도 많으니, 눈을 가리지 않았거나 감지 않았다고 해서 다른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대한민국]] [[대법원]]에 있는 정의의 여신상은 검이 아닌 법전을 들고 있고 눈가리개도 없이 눈을 뜨고 있는데, 웹툰 [[비질란테]]를 비롯한 여러 풍자물에서 이것이 한국에서는 신분을 보고 판결을 내리며, 검으로 단호하게 불의를 심판할 마음도 없고, 품에 안은 책은 법전이 아니라 [[족보]]일 것이라고 풍자하기도 한다. 대법원 블로그의 해명 관련한 포스팅은 [[http://blog.naver.com/law_zzang/150037068368|여기]]를 참고. [[http://larca.egloos.com/4159015|실제로는 저울만 들거나, 앉아 있거나, 눈을 가리지 않는 등 여러 나라마다 다양한 형태가 있고 정형은 없으므로,]] 한국의 여신상을 두고 하는 이야기는 풍자적 해석일 뿐 진지하게 논할 것이 못 된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사법불신을 보여주듯 이 의견에 대한 네티즌의 반응은 싸늘하다. [[로마]] 고유의 여신이지만, [[그리스 로마 신화|그리스 신화]]에도 비슷한 신은 있다. 바로 티탄 신족이자 율법의 여신이며 [[제우스]]의 둘째 아내인 [[테미스]]. 또는 테미스와 제우스의 딸 [[아스트라이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http://en.wikipedia.org/wiki/Lady_Justice|영어판 위키백과]]에서는 '''[[호라이]]''' 중 한 명인 '''디케'''에 대응된다고 되어 있다.[* 이 디케는 아스트라이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한편 아스트라이아는 네메시스와 동일시될 때도 있으니, 네메시스로 볼 여지도 있다. 아스트라이아와 동일시되는 것으로 인해 [[처녀자리]]로 여겨지기도 한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의하면 지상이 황금시대 → 백은시대 → 청동시대 → 철의 시대로 가면서 점차 인류가 타락할 때, 아스트라이아는 신들 중에서 마지막까지 지상에 머물며 사람들에게 정의를 계속 호소했으나, 철의 시대에 이르러 결국 지상을 떠났다고 한다. 그리고 하늘에 빛나는 별이 되어 처녀자리로 불리게 되었으며[* 다만 처녀자리를 [[페르세포네]]로 보는 전승도 있다.], 그녀가 가지고 있던 천칭은 [[천칭자리]]가 되었다 한다. [[타로 카드]]의 8번 또는 11번에 해당하는 '정의'가 바로 이 유스티티아를 나타낸 것이다. == 대중매체 == [[역전검사 2]]의 [[미카가미 하카리]]가 자주 언급하는 '법의 신'(또는 '법의 여신')은 바로 이 유스티티아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Lobotomy Corporation]]에 등장하는 [[Lobotomy Corporation/환상체/WAW 등급#s-2.6|심판 새]]의 컨셉, EGO 장비와 기프트는 여기에서 이름을 딴 것이다. [[메탈리카]]의 4번째 앨범 [[...And Justice for All]]의 앨범 표지에는 천칭에 돈다발이 가득하고 줄에 묶여 쓰러지는 유스티티아를 표현했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서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 [[No.21 빙결의 레이디 저스티스]]의 모티브가 되었다. [[분류:그리스 로마 신화/신]][[분류:정의의 신]][[분류:법의 신]][[분류:라틴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