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ecf9f4 20%, #effaf6)" '''{{{+5 {{{#!html 유승현 }}}}}}''' '''{{{#!html 柳丞賢 | Yoo Seunghyun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씅르토.jpg|width=100%]]}}} || || '''출생''' ||[[1985년]] [[6월 19일]] ([age(1985-06-19)]세) || || '''신체''' ||184cm, 71kg || || '''학력'''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연극전공 || || '''데뷔''' ||[[2007년]] 뮤지컬 '우연히 행복해지다' (2007.10.05)|| || '''SNS''' ||[[https://instagram.com/seunghyun.u?igshid=p132bzx2ju6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sh0619, 크기=24)] [[https://youtube.com/channel/UCzJagk4d3SMqSbxbbcriTR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소소한형제TV 채널. 뮤지컬 배우 조현우와 함께한다. 주 컨텐츠는 캠핑.] [[https://youtube.com/channel/UCn6QpqaQ1_K_Ujd-CetocY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여행가S 채널. 개인 채널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2016년 뮤지컬 [[리틀잭]]을 기점으로 여러 중소극장 뮤지컬의 주조연을 맡으며 활발히 활동중이다. 뮤지컬 팬들 사이의 별명은 '''씅'''[* [[트위터]]에서 통용된다. [[연극 뮤지컬 갤러리|연뮤갤]]에선 아직 이렇다 할 별명이 없어 그냥 풀네임으로 불리는 중. 배역명이랑 붙을 땐 '''씅'''+배역이 일반적이다. 씅잭, 씅명렬 등.] == 출연 == === 뮤지컬 === ||
'''공연 연도''' || '''제목''' || '''기간''' || '''배역''' || || [[2007년]] || 우연히 행복해지다 || 10.05 ~ 10.14 || 김우연 || ||<|3> [[2008년]] || 싱글즈 || 01.15 ~ 02.24 || 앙상블 || || 오! 마이 캡틴 || 03.07 ~ 06.09 || 카메론 || || 안녕, 프란체스카 || 09.12 ~ 10.26 || 앙상블 || ||<|2> [[2009년]] || [[렌트]] || 01.09 ~ 03.29 || 로저[* 첫 대극장 주연을 맡은 작품. 다만 당시 어리고 실력이 부족하여 혹평을 굉장히 많이 들었다고. 본인도 우울증을 앓았을 정도로 매우 힘들었지만, 그 시간이 지금의 자신을 만든 것 같다고 회술했다. [[http://www.ks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067|인터뷰]]] || || 퀴즈쇼 || 12.06 ~ 01.02 || 앙상블 || || [[2010년]] || 스페셜레터 || 09.24 ~ 12.31 || 정은희 || ||<|2> [[2011년]] || NEW 씨저스 패밀리 || 02.11 ~ 04.24 || 찰스 || || 뮤직 인 마이 하트 - 대구 || 08.27 ~ 10.30 || 장재혁 || ||<|2> [[2014년]] || [[달을 품은 슈퍼맨]] || 08.01 ~ 08.31 || 우현 || || 케미스토리 || 10.28 ~ 01.31 || 호랑 || || [[2015년]] || 그남자 그여자 || 04.03 ~ 06.28 || 영훈 || ||<|3> [[2016년]]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뮤지컬)|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트라이아웃] || 02.27 ~ 02.29 || 사내 || || [[리틀잭]] || 05.27 ~ 07.31 || 잭 피셔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뮤지컬)|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11.05 ~ 01.22 || 사내 || ||<|6> [[2017년]] || [[광염소나타(뮤지컬)|광염소나타]] || 04.25 ~ 07.16 || S || || [[리틀잭]] || 07.01 ~ 08.20 || 잭 피셔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뮤지컬)|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10.19 ~ 01.28 || 사내 || || [[전설의 리틀 농구단]] - 안산 || 10.20 ~ 10.29 || 승우 || || [[빈센트 반 고흐(뮤지컬)|빈센트 반 고흐]] || 11.04 ~ 01.14 || 테오 반 고흐 || || [[전설의 리틀 농구단]] - 안산 || 11.21 ~ 11.25 || 승우 || ||<|4> [[2018년]] || [[홀연했던 사나이]] || 02.06 ~ 04.15 || 승돌[* 본인 피셜 가장 힘들었던 작품. 극 자체가 [[병맛]] B급 감성이 낭낭한 데다가 승돌이 캐릭터가 대놓고 망가져야 했는데, 그게 너무 어려웠다고.. [[http://www.enewsdaily.co.kr/ViewM.aspx?No=801468|인터뷰]]] || || [[더 픽션]] || 03.09 ~ 04.21 || 와이트 히스만 || || [[배니싱(뮤지컬)|배니싱]] || 09.08 ~ 11.25 || 윤명렬 || || [[폴(뮤지컬)|폴]] || 09.30 ~ 10.07 || 폴 || ||<|8> [[2019년]] || [[파가니니(뮤지컬)|파가니니]] || 02.15 ~ 03.31 || 아킬레 파가니니 || || [[달과 6펜스(뮤지컬)|달과 6펜스]] || 03.01 ~ 04.21 || 모리스 || || [[더 픽션]] || 04.13 ~ 06.30 || 와이트 히스만 || || [[리틀잭]] || 07.13 ~ 09.08 || 잭 피셔 || || [[난설]] || 07.13 ~ 10.27 || 이달 || || [[전설의 리틀 농구단]] || 09.10 ~ 10.27 || 종우[* 2017년도에는 학생인 승우 역을 맡았다가 2019년에는 구청 농구단 코치인 종우 역으로 돌아왔다. ~~승진?~~] || || [[전설의 리틀 농구단]] - 목포 || 11.22 ~ 11.23 || 종우 || || [[전설의 리틀 농구단]] - 수원 || 12.28 ~ 12.29 || 종우 || ||<|7> [[2020년]] || [[폴(뮤지컬)|폴]] || 01.16 ~ 02.16 || 폴 || || [[브라더스 까라마조프]] || 02.07 ~ 05.03 || 이반 || || [[데미안(뮤지컬)|데미안]] || 03.07 ~ 04.26 || 싱클레어 & 데미안[* 고정 배역이 없는 캐릭터 프리(character-free) 뮤지컬이었다. 즉 모든 배우가 싱클레어와 데미안 역을 맡는 것. 유승현은 싱클레어로 11번, 데미안으로 9번 무대에 올랐다.] || || [[전설의 리틀 농구단]][* 앵콜] || 07.04 ~ 08.30 || 종우 || || [[무인도 탈출기]] || 09.08 ~ 10.04 || 봉수 || || [[광염소나타(뮤지컬)|광염소나타]] || 08.15 ~ 08.30 || S || || [[배니싱(뮤지컬)|배니싱]] || 11.01 ~ 02.21 || 윤명렬 || ||<|6> [[2021년]] || [[더 픽션]] || 02.27 ~ 05.30 || 와이트 히스만 || || [[브라더스 까라마조프]] || 03.13 ~ 06.13 || 이반 || || [[땡큐 베리 스트로베리]] || 06.24 ~ 08.29 || 로봇[* 리딩 공연과 상해 공연, 그리고 초연의 스페셜 커튼콜에 참여했지만 정작 본공연에는 오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아쉬움을 표했는데, 드디어 2021년 재연에 로봇(스톤)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 || [[아르토, 고흐]] || 08.06 ~ 10.03 || 아르토 || || [[브라더스 까라마조프]][* 웰컴대학로- 웰컴씨어터] || 10.30 ~ 11.14 || 이반 || || [[칠칠]] || 11.23 ~ 02.27 || 무명 || ||<|8> [[2022년]] ||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뮤지컬)|나르치스와 골드문트]] || 02.08 ~ 04.17 || 나르치스 || || [[PIP - 위대한 유산]][* 창작산실] || 04.01 ~ 04.24 [* 17일까지였지만, 코로나로 인해 4월 2일부터 8일까지의 공연이 취소되고 24일까지 1주 연장] || 핍 || || [[카파이즘]] || 05.07 ~ 07.10 || 앙드레 프리드만 || || [[괴테의 변론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06.25 ~ 08.15 || 괴테 || || [[더 와일드의 변론 - 거짓의 쇠락,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 06.25 ~ 08.15 || 오스카 와일드 || || [[배니싱(뮤지컬)|배니싱]] || 08.30 ~ 11.13 || 김의신[* 재삼연에는 윤명렬 역을 맡았다가 사연에는 김의신 역으로 돌아왔다.] || || [[범옹(뮤지컬)|범옹]] || 10.25 ~ 01.08 || 신숙주 || || [[종의 기원(뮤지컬)|종의 기원]] || 12.18 ~ 03.05 || 한유진 || ||<|6> [[2023년]] || [[데미안(뮤지컬)|데미안]] || 01.15 ~ 03.26 || 싱클레어 & 데미안 || || [[광염소나타(뮤지컬)|광염소나타]] || 03.13 ~ 06.04 || S || ||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뮤지컬)|나르치스와 골드문트]] || 04.15 ~ 07.02 [* 조기 하차로, 실제 마지막 공연은 6월 22일] || 나르치스 || || [[아르토, 고흐]] || 06.04 ~ 08.27 || 아르토 || || [[더 픽션]] || 06.24 ~ 09.17 || 그레이 헌트[* 삼연에는 와이트 히스만 역을 맡았다가 사연에 그레이 헌트 역으로 돌아왔다.] || || [[22년 2개월]] || 08.31 ~ 11.05 || 박열 || === 음악극 === ||
'''공연 연도''' || '''제목''' || '''기간''' || '''배역''' || || [[2019년]] || [[432Hz|432HZ]] || 10.11 ~ 11.24 || 한지오 || === 연극 === ||
'''공연 연도''' || '''제목''' || '''기간''' || '''배역''' || || [[2010년]] || 나는 너다 || 07.21 ~ 08.22 || 류동하 || || [[2021년]] || 분장실[* 한동안 뮤지컬만 하다가 무려 '''11년''' 만에 다시 하는 연극이다!] || 09.19 ~ 10.31 || A || === 콘서트 === ||
'''연도''' || '''제목''' || '''비고''' || || [[2016년]] || 갈라콘서트 자리주SHOW! || || ||<|3> [[2018년]] || 월요일 N콘서트 뮤지컬 <홀연했던 사나이> || || || 광염소나타 콘서트 || || || 리틀잭 콘서트 || || ||<|3> [[2019년]] || 팝업 콘서트 in TOM || with [[이용규(배우)|이용규]], [[기세중]][* [[배니싱(뮤지컬)|배니싱]] 재연에서 같이 윤명렬 역을 맡았던 배우들이다. 그래서 해당 콘서트가 일명 '''명렬콘'''으로 불렸다.] || || 다미로 콘서트 || 게스트 || || '''단독 콘서트 "VOICE & STORY"''' || [[https://youtu.be/zZIMBzrO9aw|뮤지컬 배니싱 中 "나를 마셔" (rock ver.)]] || ||<|2> [[2020년]] || '''단독 콘서트 "VOICE & STORY vol.2"''' || || || 과수원 컴퍼니 콘서트 - 이진욱의 정원 || 게스트 || || [[2021년]] || '''단독 콘서트 "VOICE & STORY vol.3"''' || || ||<|2> [[2022년]] || '''"영혼의 더블"''' || 배우 안재영과 더블 콘서트 진행 || || 다미로, 언플러그드-가창의 밤 || 게스트 || ||<|3> [[2023년]] || 데미안 음악회 - 세상의 조각 모임회 || [[https://www.youtube.com/watch?v=CLGijeKrV_M|뮤지컬 데미안 中 "탄생을 위한 죽음"]] || || 종의기원 콘서트 || || || TIMELESS 유한나 콘서트 || 게스트 || == 여담 == * 상당히 동안이다. 그래서 그런지 10대이거나 아예 어린아이인 역할도 잘 소화해낸다.[* "PIP-위대한유산"에서 10대 초반~30대를 아우르는 연기를 선보였다. ] * 작곡가 겸 음악감독 다미로와 절친한 사이다. 다미로가 작곡하거나 음감을 맡았던 작품 중 무려 8개[* [[리틀잭]], [[광염소나타]], [[전설의 리틀 농구단]](안산), [[홀연했던 사나이]], [[달과 6펜스(뮤지컬)|달과 6펜스]], [[난설]], [[데미안(뮤지컬)|데미안]], [[아르토, 고흐]]]에 출연했으며, 콘서트도 참여하고, 다미로의 음악 프로젝트 [[https://www.youtube.com/channel/UCtyeEiZSzjBpv8NE7eHvqvw|월간 다미로]]에도 참여했다. [[https://youtu.be/mtoDYOqfRk8|월간 다미로 Vol. 1 "MELODY" (유승현, 김히어라)]] [[https://youtu.be/DPWy7MDhULY|월간 다미로 Vol. 8 "나의 할아버지" with 유승현]] 얼마 전에는 같이 해외여행도 다녀왔다고. * 여행을 매우 좋아한다. 틈틈이 한 달 정도 길게 기간을 잡고 해외여행을 다녀오며, 국내에서도 가끔 소소히 다니는 듯. SNS에도 여행 사진을 자주 올린다. 보물 1호로 여행 적금 통장을 꼽기도 했다. 여행을 처음 추천해 준 이는 동료 뮤지컬 배우 [[안재영]]. [[https://www.themusical.co.kr/Magazine/Detail?num=4516|더뮤지컬 라이브톡]] * [[리틀잭]] 공연 당시 휘파람을 불어야 하는 장면이 있었는데, 휘파람에 서툴러서 (같은 잭 역의) 배우 [[김경수(배우)|김경수]]가 두고두고 놀렸다. --춤추면 안되는데.. 휘파람 불면 안되는데.. 다 하고 있나보네...(절규) 걱정이 태산이다 형이 (눈물)--[* 유승현 인스타에 올라온 <난설> 공연사진에 달린 김경수의 댓글 [[https://www.instagram.com/p/B0Q2tVwpwBL/?igshid=1xar5qrqe6zxa| ]]] 그 뒤로 열심히 연습했는지 [[데미안(소설)|데미안]]에서는 꽤 깔끔한 휘파람을 선보였다. --#저는휘파람을잘불어요--[* 첫공을 끝내고 올린 글에 달린 해시태그 [[https://www.instagram.com/p/B9brzsWpCxF/?igshid=m1uod50yfy7z| ]]] --"특히 김경수♥보다는 잘 분다"--[* 인터뷰 중 [[http://www.enewsdaily.co.kr/ViewM.aspx?No=801468| ]]] --솔직히 실력은 둘 다 비슷....-- * 출연극을 홍보할 때 시놉사기(...)를 잘 친다. [[배니싱(뮤지컬)|배니싱]]을 형제간의 우애가 잘 드러나는 따뜻한 극이라 하지 않나 --우애가... 없진 않지...--, [[브라더스 까라마조프]]를 화목한 가족의 이야기라고 하지 않나... --'''화'''내고 '''목'''조르는 가족이라 화목한 가족인 건가-- 20년 [[광염소나타(뮤지컬)|광염소나타]]에 S로 다시 합류하면서 '남자들의 우애와 사랑을 그린 힐링극'이라고 표현했다. --남자들의 우애가 있긴 한데...힐링...-- [* 물론 농담으로 하는 얘기다. --그리고 아주 틀린 말이 아니기도 하다-- --궁금하면 일단 보러 오세요--] * 필모그래피가 [[렌트]]를 제외하고는 전부 창작 뮤지컬로 채워져 있다. 창작극을 올리는 게 힘들기는 하지만, 그 과정 가운데서 얻는 기쁨과 보람이 크기 때문에 계속해서 창작 작품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 * 인터뷰를 보면 생각이 매우 깊고 진지하며, 캐릭터 분석력이 치밀함을 발견할 수 있다. 소설 원작인 극을 준비할 때는 원작을 적어도 2번은 꼭 완독한다고 밝혔다. * 성격이 다정하고 섬세해 팬들과 주변 사람들을 잘 챙긴다. 한 예로는 뮤지컬 [[광염소나타(뮤지컬)|광염소나타]]를 할 때 같은 역을 맡았던 동생들에게 '피아노를 치려면 손이 예뻐야 한다'며 반지를 사줬다고 한다. [[더 픽션]] 공연 당시 관객들에게 가사가 적힌 연필을 선물하기도 했다. * 2017년 [[광염소나타(뮤지컬)|광염소나타]]를 기점으로 그야말로 소처럼 일하는 중이다. 2019년과 2020년, 2022년 상반기에는 각각 무려 '''7작품'''을 하기도 했다.[* 2022년 초 겹치기 없이 천천히 가겠다고 밝혔으나 곧 겹치기 작품이 발표, "그렇게 됐다." 해명 방송을 하기도 했다.--더이상 팬들은 그가 겹치기를 하지 않는다는 말을 믿지 않는걸로...--] * [[안재영]] 배우와는 2016년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뮤지컬)|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초연을 시작으로 꾸준히 함께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데, 공교롭게도 두 사람이 같은 배역을 맡는 경우, 즉 더블이 될 때가 다반사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 6년간 총 13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뮤지컬)|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2016, 2017), [[전설의 리틀 농구단]](2017, 2019, 2020), [[난설]](2019), [[브라더스 까라마조프]](2020, 2021), [[무인도 탈출기]](2020), [[아르토, 고흐]](2021), [[칠칠]](2021), [[카파이즘]](2022), 범옹(2022)] 공연을 함께했는데, 이 중에서 서로 다른 배역을 맡은 적은 '''단 세 번'''뿐이다.[* 2017년 전리농 안산 공연, 2020년 무인도 탈출기, 2021년 칠칠. 그런데 전리농마저도 2019년부터는 같은 배역을 맡기 시작해서, 온전히 작품으로만 따진다면 '''딱 두 작품'''에서만 서로 다른 배역으로 만난 셈이다.] 그래서 덕들 사이에서 이 둘은 '''영혼의 더블'''로 통한다.[* 결국 2022년 영혼의더블이라는 타이틀로 안재영 배우와 함께 콘서트를 진행하였다.] 비록 더블일 때가 많아 공연을 시작하면 서로 만날 일이 적기는 하지만, 오랜 시간 작품을 함께 준비해 온 적이 많다 보니 실제로 두 사람은 매우 절친한 관계다. 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안재영이 유승현에게 여행을 추천해 주기도 했다. * [[MBTI]]는 [[INFJ]]이다.[* 2022년 1월 11일 기준.] * 작가 헤르만 헤세를 좋아한다. 그 영향인지 뮤지컬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러닝 당시, 책 속의 장면들을 그대로 무대위에서 연기하는 등 몰입도를 높였다. --헤세덕은 못 이긴다는 말이 나올 정도...-- === 인터뷰 === * [[https://www.themusical.co.kr/Magazine/Detail?num=3310|인터뷰 | [PERSONA] <광염 소나타> 유승현의 S [NO.165]]] * [[http://www.ks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046|[인터뷰①] 배우 유승현 "멈추지마, 손을 뻗어. 너를 그려봐"]]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90328000659|[스타톡] 뮤지컬 '달과 6펜스' 유승현·유현석 "관객과 함께 완성해요"]] * [[http://www.ks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067|[인터뷰②] 유승현 "배우로서 마침표 찍지않기를…"]] * [[http://naver.me/F4r71VEu|'난설' 유승현 "관객에게도 지음이 될 수 있는 작품이에요" (인터뷰①)]] * [[http://naver.me/5LACI8yO|'난설' 유승현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게 배우죠" (인터뷰②)]] * [[http://naver.me/FS6io3WO|[인터뷰①] 유승현 "'데미안' 작품 이상으로 내 삶에 큰 의미"]] * [[http://naver.me/FfM1Hb26|[인터뷰②] '데미안' 유승현 "모든 사람은 싱클레어다"]] * [[https://www.themusical.co.kr/Magazine/Detail?num=4516|[LIVE TALK] <브라더스 까라마조프> <데미안> 유승현, 자아를 돌아보는 시간 [NO.199]]] * [[http://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505655|[인터뷰①]'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유승현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 * [[http://www.newsculture.press/news/articleView.html?idxno=505658|[인터뷰②]'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유승현 "이 시대 필요한 이야기 하고파"]] * [[https://mfocus.kr/culture/performance/musical/11845/|"기존과는 다른 박열과 가네코의 이야기. 뮤지컬 ’22년 2개월’의 주역 다미로, 유승현 인터뷰①"]] * [[https://mfocus.kr/culture/performance/musical/11893/|"숭고함, 그리고 신념의 중요함을 전하는 ’22년 2개월’이 되길-다미로, 유승현 인터뷰 ②"]]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빈센트 반 고흐(뮤지컬) 역대 배우)]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85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출신]][[분류:뮤지컬 남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