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유중무}}}'''[br]'''柳重武'''}}}}}}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유중무.jpg|width=100%]]}}} || || '''초명''' ||유중용(柳重容) || || '''자''' ||성관(盛寬) || || '''본관''' ||[[유(성씨)|고흥 유씨]][* 검상공파(檢詳公派) 26세 중(重) 항렬.] || ||<|2> '''출생''' ||[[1875년]] [[8월 21일]][*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62&evntId=0034971421&evntdowngbn=Y&indpnId=000000383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1919년 6월 30일 경성복심법원 2심 판결문]]에는 8월 22일생으로 기재돼 있다.] || ||[[충청도]] [[천안시|목천현]] 이동면 지령리[br](現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 418번지) || || '''사망''' ||[[1956년]][* 고흥류씨세보 권1 1215쪽에는 1959년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돼 있다.] [[4월 7일]] (향년 80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유중권]]은 그의 형, [[이소제]]는 형수, [[유우석]]·[[유관순]] 남매는 조카, [[유예도]]는 장녀이다. == 생애 == 1875년 8월 21일 충청도 목천현 이동면 지령리(現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 418번지)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유윤기(柳潤基, 1845. 3. 23 ~ ?. 5. 19)와 어머니 [[전주 이씨]](1854 ~ ?. 1. 30)[* 이두건(李斗建)의 딸이다.]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유중권]]은 아버지 유윤기의 첫째 부인 [[전주 이씨]](? ~ ?. 5. 19) 이인채(李寅采)의 딸 소생이다.] 일찍이 [[개신교]]로 개종해 교사로 근무하면서 고향 지령리의 감리교회를 이끌었다. 1919년 4월 1일 오후 1시에 천안군 갈전면(現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아우내장터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 [[조인원(1864)|조인원]]이 [[태극기]]와 함께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깃발을 세우고,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자 형 [[유중권]], 형수 [[이소제]], 딸 [[유예도]], 조카딸 [[유관순]],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4447|홍일선]](洪鎰善),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08|김교선]](金敎善),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698|김상헌]](金尙憲),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13|김상훈]](金相訓),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867|김상철]](金相喆),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614|조병호]](趙炳鎬), [[이순구]], 한동규(韓東奎) 등을 비롯한 3,000여 명의 시위대와 함께 여세를 몰아 헌병주재소로 달려가 독립만세를 불렀다. 그러나 시위대의 기세에 놀란 [[일본군]] 헌병들이 만세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주재소에서 총기를 난사했고, 형 유중권과 형수 이소제 등이 총탄에 맞아 현장에서 순국했다. 이에 유중권의 시신을 둘러 메고 주재소로 달려간 뒤 두루마기의 끈을 풀어 헌병의 목을 졸라매며 헌병보조원 맹성호(孟星鎬)[* 이후 [[충청남도]] 도순사(道巡査)가 되었고, 1927년 12월 31일에 정근증서(精勤證書)를 [[http://db.history.go.kr/id/gb_1928_01_27_a03210_00210|수여받았다]].]에게 "너희는 몇 십 년이나 보조원 노릇을 하겠느냐"며 일갈하는 등 유혈 진압에 대해 항거하다가 체포되었다. 1919년 5월 9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이른 바 보안법 위반 및 소요 혐의로 징역 5년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11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4381&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선고받았고]], 이에 공소하여 6월 30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62&evntId=0034971421&evntdowngbn=Y&indpnId=0000003834&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원심 판결이 취소되어]] 다소 감형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상고했으나 9월 11일 고등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062&evntId=0034971432&evntdowngbn=Y&indpnId=0000003845&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어]] 당일 [[서대문형무소]]에 입소해 옥고를 치렀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유중무(1919년).jpg|width=100%]]}}} || || 1919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1921년 5월 10일 [[http://db.history.go.kr/id/ia_3371_2612|만기출옥한 뒤]]에는 은거하다가 1956년 4월 7일 별세했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고흥 류씨]][[분류:동남구 출신 인물]][[분류:1875년 출생]][[분류:1956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유중권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