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유지원(동명이인))] [include(틀:오대십국 왕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53F3F 0%, #C75252 20%, #C75252 80%, #B53F3F); color: #ece5b6" '''후한 초대 황제[br]{{{+1 고조 숙황제 | 高祖 肅皇帝}}}'''}}}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kfzx.gov.cn/2011103093538409.jpg|width=100%]]}}} || ||<|2> '''출생''' ||[[895년]] [[3월 4일]] || ||[[당나라|당]] [[산시성(산서성)|하동도]] [[타이위안시|태원부 태원현]][br](現 [[산시성(산서성)|산시성]] [[타이위안시]]) || ||<|2> '''즉위''' ||[[947년]] [[3월 10일]] || ||[[후진]] [[카이펑시|변주]] [[카이펑시|개봉부]][br](現 [[허난성]] [[카이펑시]] 구러우구) || ||<|2> '''사망''' ||[[948년]] [[3월 10일]] (향년 53세) ||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 [[카이펑시|변주]] [[카이펑시|개봉부]] 황궁[br](現 [[허난성]] [[카이펑시]] 구러우구) || || '''능묘''' ||[[예릉]](睿陵) || ||<|2> '''재위기간''' ||'''{{{#ece5b6 초대 황제}}}''' || ||[[947년]] [[3월 10일]] ~ [[948년]] [[3월 1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성씨''' ||[[유(성씨)|유(劉)]] || || '''휘''' ||지원(知遠) → 고(暠) || || '''부모''' ||부황 [[유전(오대십국시대)|현조]][br]모후 장의황후 || || '''형제자매''' ||4남 중 장남 || || '''배우자''' ||소성태후 || || '''자녀''' ||3남 1녀 (양자 1남) || || '''묘호''' ||'''[[고조]](高祖)''' || || '''시호''' ||예문성무소숙효황제[br](睿文聖武昭肅孝皇帝) || || '''연호''' ||천복(天福, [[947년]])[br]건우(乾祐, [[948년]]) || || '''절일''' ||성수절(聖壽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대십국시대]] [[후한(오대십국시대)|후한]](後漢)의 건국자. 묘호는 고조. == 생애 == 후진(後晉)의 창건자인 [[석경당]](石敬瑭:고조)의 부하가 되어 공을 세우고, 금군의 실권을 장악하였으며 하동 절도사를 겸했다. 거란이 후진을 침공하자 사령관으로서 출병을 거부하였고, 석경당의 조카 출제(석중귀)가 거란에게 연행되자 스스로 제위에 올랐다. 이름을 고(暠)로 바꾼 후 나라 이름은 한(漢)으로 정했는데, 그 이유가 [[후한|동한]]의 시조 [[광무제]]의 8남 유병의 후손임을 자칭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족인 광무제와 달리 이 자는 [[석경당]]처럼 투르크계 [[사타족|이민족]]이었다. 결론은 [[사기]]. 어쨌든 여기까진 좋았다. 여기까진. 제위에 오른 뒤 '''10개월''' 만에 죽고, 그 후 '''3년'''(총 4년) 만에 후한은 멸망해 [[중국]] 최고의 단명 왕조로 기록되었다.[* 물론 정통 왕조로 인정된 왕조들 중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그의 아들 은제 [[유승우]]는 명장 [[곽위]]를 의심하여 일족을 학살하고 곽위까지 없애려다가 [[역관광]]당해서 죽고, 곽위는 [[후주]]를 세운다. 이후 유지원의 동생인 [[유숭]]이 [[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北漢)이라는 나라를 세우게 되지만 불과 3대 만에 [[북송]]의 태종 [[태종(송)|조광의]]에게 멸망하게 된다. 유지원을 소재로 한 희곡 《백토기(白兎記)》[* 정식으로는 《유지원 백토기(劉智遠白兎記)》라고 한다. 작자 미상. 오대 후한(後漢)의 고조(高祖) 유지원은 본래 유랑하던 고아였다. 그가 아직 미천했을 때 지주의 딸 이삼랑(李三娘)과 결혼했으나, 큰 뜻을 품고 태원(太原)으로 떠났으며, 뒤에 남겨진 이삼랑은 맏동서의 학대를 견디면서 아들 교제(咬臍)를 낳는다. 그러나 교제도 안전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웃 사람의 도움으로 지원에게 보내어 거기에서 성장한다.]가 있다. 여담으로 이 사람의 맏딸 영녕공주(永寧公主) 유씨는 [[송태조]] 조광윤의 장모이다.[* [[태조(송)|태조 조광윤]]의 3번째 황후인 [[효장황후 송씨]]가 영녕공주 유씨의 딸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오대사)] [include(틀:신오대사)] [[분류:오대십국시대/황제]][[분류:895년 출생]][[분류:948년 사망]][[분류:타이위안시 출신 인물]][[분류:튀르크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