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영도구의 버스 회사)] ||<-2> '''유한여객자동차 주식회사'''[br]'''柳韓旅客自動車'''[br]'''Youhan Trans Automobile''' || ||업종명|| 운수업 || ||설립일|| [[1970년]] [[7월 1일]] || ||대표|| 성민호 ||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서로]] 37 ([[청학동(부산)|청학동]]) || ||전화번호|| 본사: 051-415-6256[br]청학2동 영업소: 051-415-6218 || ||면허대수|| 정규 50대, 예비 3대 || ||자본금|| 4억 1,000만원 (2022.12) || ||매출액|| 140억 9,346만 3,282원 (2022) || ||영업이익|| -7,806만 7,049원 (2022) || ||순이익|| 3,775만 4,502원 (2022) || ||자산총액|| 90억 5,150만 3,212원 (2022.12) || ||주주|| 신한여객자동차주식회사: 51.31%[br]성민호: 31.95%[br]김순자: 8.66%[br]성한경: 8.08% || ||임직원|| 149명 (2022.12)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부산)|청학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버스 회사]]이다. 영도산복도로인 하나길과 [[와치로]] 연선에서 부산역을 지나 부산진구 방면으로 향하는 노선 위주로 운영하고 있으며 [[신한여객]]의 계열사이다. == 역사 == 1970년 6월 '''유성여객운수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설립하였으며, 현재처럼 82번과 85번, 감천에 영업소를 두고 60번을 보유하고 있었다. 1979년부터 시행된 부산시의 노선별 분리독립 정책에 따라 1980년 감천영업소가 독립하여 '''감천여객주식회사'''(대표이사 박문호)가 설립되었다.[* 이 정책에 따라 시내버스 업체가 1980년에 대거 늘어난다. 대표적으로 대성여객에서 분리독립한 남부여객, 신성여객.] 하지만 회사 규모가 영세한데다 60번의 수익성이 낮아 만성적인 경영난에 시달렸고, 결국 1992년 12월 말에 부도를 내고 말았다. 이때 감천여객은 일반도시형 23대와 좌석버스 3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1년 뒤인 [[1993년]] [[9월 13일]]에 시내버스영업 양도•양수인가를 받아 일반도시형 차량 중 3대는 대경교통, 1대는 금강여객, 1대는 남부여객, 2대는 유성여객이 양수한다.[* 이때 양도된 각 회사로 이직한 승무원들이 해고를 인정해 달라며 유성여객 측에 소송을 걸었으나 패소하였다([[http://www.law.go.kr/%ED%8C%90%EB%A1%80/(95%EB%8B%A433238)|당시의 법원 판례]]).] 얼마 안 가 9월 27일자로 좌석버스 3대를 제외한 감천여객의 차량과 시설, 노선면허를 모두 유성여객으로 넘기면서 청산절차를 거쳐 1994년 3월 31일자로 폐업하고 만다.[* 참고로 감천여객의 대표이사는 유성여객의 이사직으로 들어갔다] 참고로 좌석버스 3대는 1993년 11월 5일 부산여객으로 넘어갔다. 하지만 무리하게 감천여객을 인수한 탓에 유성여객 또한 경영 상태가 그다지 좋지 못하게 된다. 결국 1996년 8월에 [[신한여객]]에 인수되어 현재의 유한여객으로 개명하고 계열관계가 되었다. 감천여객이 보유하고 있던 노선은 60번과 60-1번이 있었다. 합병 후 유성여객에서 운행하였으며 유한여객으로 바뀐 이후에도 계속해서 보유하다가 60-1번은 1997년경 마지막으로 바뀌고 난 뒤로는 파행운행을 하다 이듬해 1998년 7월 폐선되었으며, 60번마저도 계속해서 감차되다 최후에는 무냉방버스 단 2대로만 운행하였다. 결국 2001년 4월 감천영업소 폐쇄와 동시에 폐선되면서 감천여객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졌다. 지금은 [[부산 버스 사하1|사하1번 마을버스]]가 노선의 일부를 대체하고 있다. == 여담 == 계열사 [[신한여객]]과 달리 이 회사는 NEW BS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뽑은 대우신차는 2011년 말에 333번 개통을 위해 출고한 로얄미디 F/L(소위 말하는 크롬미디)이다. 대우차에 대한 평이 좋지 않아 현대로 전향한 듯 하다. 부산에서 마지막으로 크롬이 달려있지 않은 초록봉 팬더 BS090을 보유 중인 회사였으며, 현재는 개선형 그린시티로 전부 대차되었다.[* 부산에서 마지막으로 크롬이 달려있지 않은 초록봉 팬더 BS106을 보유 중인 회사는 [[일신여객]]이었으며, 현재는 전부 대차되었다.] 또한 부산에서 마지막으로 크롬이 달려있는 노란봉 BS090을 보유 중인 회사였으나, 2021년 12월 말에 개선형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 부산에서 마지막으로 크롬이 달려있는 노란봉 BS106을 보유 중인 회사는 [[일신여객]]이다.] 2019년 10월, 부산 시내버스에서 3년만에 중형 신차, 4년만에 그린시티 신차가 출고되면서 최초 중형 신도색이자 그린시티 개선형이 출고되었다. 그린시티는 스펀지 시트가 기본사양이니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에 이어 두 번째로 개선형에 스펀지 시트를 장착한 업체가 되었다. 해당 차량은 중형 차량만 운행하는 [[부산 버스 88-1|88-1번]]에서 운행 중이다. 현재 본사 차고지에는 전기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버스]]는 [[신한여객]]처럼 [[우진산전 아폴로|우진산전 아폴로 1100]]을 도입한다. 현재 85번에 투입되었다. 영도에 있는 버스 회사 중 신한여객에 이어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전기버스 출고하였고, 8월 20일에 [[남부여객]]에서도 아폴로 900을 도입해 영도 3사 모두 우진산전 전기버스를 보유하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유한여객 모든 노선들이 부산역에서 만난다. 영도구 소재 업체이지만 [[신한여객]]과 [[남부여객]]과는 다르게 특이하게도 자갈치역을 지나는 노선이 단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 차고지 == * 본사 사옥: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서로]] 37 ([[청학동(부산)|청학동]])[* 유성여객 시절에는 이곳이 차고지였다. 지금도 막차 운행이 종료되거나 85번 일부 차량이 이곳에 주차한다.] * 본사차고지: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부산)|청학동]] 270-92[* 1997년 5월 뒤쪽에 있는 산을 깎아내서 조성하였다. 그 전에는 길도 없었다(…). 차고지가 조성되면서 [[청학서로]]가 지금과 같은 형태로 이어졌다.] - [[부산 버스 85|85번]] 시종착/[[부산 버스 82|82번]], [[부산 버스 88-1|88-1번]], [[부산 버스 190|190번]] 주박 * 청학영업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부산)|청학동]] 155-2[* 2004년 82-1번 신설과 동시에 포부대 부지의 일부를 매입해 조성되었다.] - [[부산 버스 82|82번]] 시종착 * 전포회차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진남로 384-1 ([[전포동]]): [[부산 버스 82|82번]] 회차지로 사용되나 유한여객이 소유한 자가 차고지이다. === 주차는 하지만 차고지는 아닌 곳 === * 동삼그린힐 나상가: [[부산광역시]] [[영도구]] [[상리로]] 1 - [[부산 버스 88-1|88-1번]] 시종착[* 승무원 휴게소가 있고 기점에 차량 3~4대가 주차하기는 하지만 별도의 차고지는 없고 그냥 노상주차한다. 운행이 끝나면 본사 차고지로 회송한다.] * 한국해양대학교 구본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부산)|태종로]] 727 - [[부산 버스 190|190번]] 시종착[* [[한국해양대학교]] 내부에 위치해있으며 주차장 4면과 기사휴게실이 있다.] ===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 구.감천영업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옥천로(부산)|옥천로]] 33 ([[감천동]]) - 구 감천여객 본사이기도 했다. 지금은 마트가 위치하고있으며 바로 위에 영신여객 17번 감천영업소가 위치해있다. * 82번 구.종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강로(부산)|금강로]] 449 ([[구서동]]) - 1990년 82번 노선이 변경되면서 종점으로 쓰이지는 않았지만 본사 차고지가 매우 협소한 관계로 82번과 85번의 일부 차량이 이곳에 주차했다. 하지만 공차거리가 엄청나게 늘어나는 문제 때문에[* 82번의 경우 전포아파트까지 공차회송을 위해 [[번영로(부산)|도시고속도로]]를 이용해야 했다. 85번의 경우 모라주공까지 공차회송하기 위해서는 만덕2터널을 이용해야 했는데, 지금도 교통체증으로 악명이 높지만 산성터널 등 대체도로가 건설되기 전이라 더욱 심각했다.] 본사 뒤편의 임야를 깎아내서 차고지를 확장함과 동시에 1997년 5월 폐쇄되었다. 현재 숯불갈비 음식점이 들어섰다.[* [[https://www.google.co.jp/search?biw=1536&bih=750&ei=fQZNX9WsEeSNr7wPtsC92A4&q=%22%EC%98%A4%EC%8B%9C%EA%B2%8C%EC%8B%9C%EC%9E%A5%22+%22%EA%B5%AC%EC%84%9C%EB%8F%99%22+%22%EC%A0%84%EC%9B%90%EC%88%AF%EB%B6%88%22&oq=%22%EC%98%A4%EC%8B%9C%EA%B2%8C%EC%8B%9C%EC%9E%A5%22+%22%EA%B5%AC%EC%84%9C%EB%8F%99%22+%22%EC%A0%84%EC%9B%90%EC%88%AF%EB%B6%88%22&gs_lcp=CgZwc3ktYWIQA1DoIViLKGDcKmgAcAB4AIABswGIAfIIkgEDMC44mAEAoAEBqgEHZ3dzLXdpesABAQ&sclient=psy-ab&ved=0ahUKEwiV35SC0cXrAhXkxosBHTZgD-sQ4dUDCAw&uact=5|참조]]] == 면허체계 == * 부산 70 자 '''4301''' ~ '''4366'''호 * 유한여객의 주 면허. * 부산 70 자 3622, 3625, 3628 ~ 3629, 3635, 3649, 3670, 3692, 3704, 3707, 3724, 3731호 * [[신한여객]] 출신 면허로, 신한여객과 계열 관계가 되면서 일부 면허를 공유한다. * --부산 '''71''' 자 '''29##'''호 전반부--[* 2900호 단위 후반부는 원래 일광여객에서 사용했으며 현재는 산성교통이 사용하고 있다.] * 구 번호판: 부산 '''5''' 자 '''91##'''호, '''22##'''호(감천여객) == 차량운용대수 == * 시내버스 * 82번: 20대 * 85번: 12대 * 88-1번: 10대 * 190번: 8대 * 예비차: 3대 * 도합: 53대 == 운행 노선 == === 청학고개 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85|{{{#3399ff 85}}}]]''' || 청학고개 || 영도배수지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시장 - [[영도대교]] - [[부산역]] - [[부산진역]] - 신암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전포동 || [[전포역]] || 13~15 || || '''[[부산 버스 88-1|{{{#3399ff 88-1}}}]]''' || 동삼그린힐 || 영도구청 - HJ중공업 - 홈플러스영도점 - [[부산대교]] || [[부산역]] || 7 ~9 || || '''[[부산 버스 190|{{{#3399ff 190}}}]]'''[*공동배차 [[신한여객]] 공동배차] || [[한국해양대학교]] || 동삼시장 - 동삼삼거리 - HJ중공업 - 해동병원 - [[영도대교]] - [[부산역]] - [[부산고등학교|부산고교]] - (← 부산서중학교 ←) - 영주삼거리 - 중앙공원.민주공원입구 - 보수아파트 - (← [[동아대학교병원]] ←) - [[구덕운동장]] - 서대시장.[[동대신역]] - [[부산대학교병원]].[[토성역]] - 초장동 || 남부민동 || 15 ~18 || === 청학2동 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82|{{{#3399ff 82}}}]]''' || 청학2동 || 청학고개 - 영도배수지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시장 - [[영도대교]] - [[부산역]] - [[부산진역]] - [[부산진시장]] - [[범내골역]] - 전포고개 || 전포화신아파트 || 7~8 || == 폐선·철수한 노선 == * [[부산 버스 60]] (감천2동 ↔ 전포화신아파트) * [[부산 버스 60-1]] (감천2동 ↔ 청학고개) * [[부산 버스 82|부산 버스 82-1(1기)]] (청학고개 ↔ 구서동) * [[부산 버스 82|부산 버스 82-1(2기)]] (청학고개 ↔ 거제시장[* [[거제천로]]까지 운행했다.]) * [[부산 버스 82|부산 버스 82-1(3기)]] (청학2동 ↔ 전포화신아파트)[* 폐선 직후 현 82번이 청학2동까지 연장되었다.] * [[부산 버스 85|부산 버스 85(구)]] (청학고개 ↔ 구포현대아파트) * [[부산 버스 113]] (동삼중리 ↔ 대티고개 ↔ 신평공단) ※ 신한여객과 공동배차[* 2013년 10월 26일 부로 철수했다.] * [[부산 버스 333|부산 버스 333]] (부산역 → 민주공원 → 부산역) ※ 남부여객, 신한여객과 공동배차 * [[부산 버스 507]] (고신대학교 ↔ 부산대교 ↔ 부산역)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우진산전]] === * [[우진산전 아폴로|우진산전 아폴로 1100 전기버스]][* [[일신여객]]에 이어 두 번째로 23년식 [[아폴로 1100]]을 보유하고 있다.] == 과거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F|새한 / 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타운|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1기 구도색 중문폴딩형 차량이었으며 88-1번을 [[신한여객]]에서 넘겨받아서 운행했다.] * [[현대 R버스|현대 R182 디젤]] * [[현대 R버스|현대 R192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70 디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관련 문서 == * [[신한여객]]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7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