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신화의 신들)] ----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gold '''유화부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삼국시대의 시조모)] ---- }}} || ---- ||<-2> '''{{{#FFD700 {{{+1 柳花[br]유화}}}}}}'''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유화 부인.jpg|width=100%]][br]{{{-2 유화부인 상상화}}}}}} || || '''{{{#FFD700 칭호}}}''' ||'''유화부인(柳花夫人)''' || || '''{{{#FFD700 별호}}}''' ||신모(神母)[* 《동국이상국집》 <동명왕편> 기록. [[이규보]]가 《[[구삼국사]]》 <동명왕본기>를 시로 각색했다.][br]동신성모(東神聖母)[* 《[[고려도경]]》 기록. 서긍이 고려 개경에 있는 동신사(東神祠)를 다녀온 뒤 [[신사(무교)]]의 신을 '고려시조 주몽을 낳은 부여의 처이자 하백의 딸'로 기록했다.][* 김부식은 북송인에게 들은 말을 통해 삼국사기에서 동신성모와 선도성모는 동일한 신을 가리킨다고 추측했다.] || || '''{{{#FFD700 생몰연도[br](음력)}}}''' ||? ~ [[기원전 24년]] [[8월]] || || '''{{{#FFD700 이름}}}''' ||유화(柳花)[* [[버들]]꽃을 뜻한다.]|| || '''{{{#FFD700 신체}}}''' ||[[입술|석 자(90.9cm)]][* 《[[구삼국사]]》에서 유화부인의 입술이 석 자로 쭉 늘려졌다는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004A_0050_010_0010|기록]]이 있다.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90.9cm 정도 된다.] || || '''{{{#FFD700 가족}}}''' ||남편: [[해모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시조 동명성왕' 기록.] / [[부여]][* 고려도경 기록. 부여왕 해모수를 뜻하는 것 같다.] / [[단군]][* 단군본기(단군기) 기록. 삼국유사, 제왕운기가 인용.][br]아들: [[추모성왕]][*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도경 기록.] / [[부루#s-1]](夫婁)[* 단군본기(단군기) 기록. 삼국유사, 제왕운기가 인용.][*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은 동명성왕과 부루를 배다른 형제로 봤다.][br]아버지: [[하백]][* 단군본기에 따르면 비서갑/서하의 신이다. 동명왕편에 따르면 청하(압록강)의 신이다.][br]자매: 훤화[* 원추리꽃을 뜻한다.], 위화[* 갈대꽃을 뜻한다.]|| || '''{{{#FFD700 종교}}}''' ||[[무속신앙]] || || '''{{{#FFD700 신사}}}''' ||동신사(東神祠)[*고려시대 《고려도경》에 기록된 개경 나성 선인문 안에 위치했던 [[신사(무교)]]로 본당의 이름은 '동신성모지당'이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구려]]의 시조인 [[추모성왕]]의 [[어머니]]이다. [[해모수]]와의 사이에서 추모성왕을 낳았다. 보통 '유화'라고 짧게 불리기도 하지만 그냥 음으로만 부르면 油畵와 헷갈리기 때문인지 '''유화부인(柳花夫人)'''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다. [[고려]]시대 민간에서는 신격(神格)으로서 동명성모(東明聖母)라고도 불렸다. 고구려의 건국 신화와 실제 사서의 기록에 동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추모성왕의 목숨이 위협받게 되자 [[부여]]에서 탈출시켰으며, 이후 추모성왕이 [[졸본]]에서 고구려를 건국한 이후로도 곡식의 [[씨앗]]을 전해주는 등 여러모로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끝내 아들이 세운 고구려에 가지 못하고 [[부여]] 땅에서 죽었다. 이후로 고구려인들에게 나라의 시조인 추모성왕과 함께 [[조상]]신으로 숭배받으며 수신(隧神)이자 농업신으로서 추앙받았다. [[농업]]신으로 추앙받은 이유는 고구려 건국 신화에서 유화부인이 주몽에게 곡식 낟알을 주었기 때문. == 생애 == === 초기 ===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나오는 줄거리와 [[이규보]]가 동명왕편을 쓰면서 인용한 [[구삼국사]]의 줄거리가 조금씩 다르다. 구삼국사는 현재 전하지 않지만 이규보가 동명왕편을 지으면서 저본으로 삼은 책으로 동명왕편 중간중간에 해설용으로 구삼국사의 내용을 끼워넣은 덕분에 고구려 동명성왕 신화의 오래된 유형 한 가지를 더 알 수 있게 되었다. 고구려 건국 신화에 의하면 유화는 본래 [[강]]의 신 [[하백]]의 딸이었다. 하루는 유화(버들꽃이란 뜻)가 [[자매]]들인 훤화(萱花 원추리꽃), 위화(葦花 갈대꽃) 등과 함께 강에서 놀던 중에 천제의 아들 해모수를 만났다. 그리고 유화는 해모수와 [[압록강]] 가의 집에서 [[동거]]하고 [[성관계|정을 통한다]]. 구삼국사에 따르면 해모수가 하늘에서 내려와 놀다가 강가에서 놀고 있는 유화 자매를 보고 [[구리(원소)|구리]]로 된 집을 만들어 그 안에 술상을 차려놓았고 자매는 그 집에 들어가서 술 마시고 노느라 정신없는 틈을 타서 해모수는 갑자기 나타나 문을 막고 자매들을 잡으려 했는데 두 동생은 운좋게 달아나고 유화 한 사람만 해모수한테 잡혔다. 그러나 해모수는 유화를 버려둔채 혼자 하늘로 올라갔고 유화의 아버지 하백은 유화가 부모의 허락도 없이 외간 [[남자]]와 놀아났다면서 크게 노하여 유화의 입술을 석 자로 쭉 늘려서 [[추녀]]로 만든 뒤 [[백두산]] 근처의 우발수로 [[유배]]를 보내버렸다. 이 부분이 구삼국사에는 좀 다르다. 해모수가 자기 큰딸을 납치하고 감금했다는 말에 하백이 해모수에게 사람을 보내 꾸짖자 해모수는 유화를 돌려보내려고 했는데 유화가 그새 [[스톡홀름 증후군|해모수에게 정이 들어서]] 안 돌아가려고 했다고 되어 있다. 이를 계기로 해모수는 정식으로 하백에게 [[혼인]]을 요청했고 하백은 해모수와 술법 겨루기를 한 뒤에 세 번을 해모수가 이기고 나서 그를 [[사위]]로 인정한다 그러면서도 혹시나 자기 딸을 버리고 혼자 하늘로 돌아가지나 않을까 싶어서 7일은 지나야 깨는 [[술]]을 먹여서 취한 사이에 유화와 함께 가죽 자루에 넣어서 해모수의 [[오룡거]]에 실어 하늘로 올려보낸다. 하지만 하백의 생각과는 달리 해모수는 하늘에 도착하기도 전에 술에서 깼고 유화의 [[비녀]]로 가죽 자루를 찢은 다음 혼자서 오룡거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이에 하백이 "네가 저딴 놈을 [[사랑]]한 바람에 내가 이런 수치스러운 짓까지 했는데 이게 뭐냐, 결국 다 말아먹었다"면서 딸 유화를 내쫓은 것으로 나온다. 유화는 이후로 우발수에서 지내다가 그 곳에 [[사냥]]을 나온 [[동부여]]의 [[금와왕]]과 만나게 되었다. 이 부분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는 우발수 강가에서 만났다고만 되어 있는데 구삼국사는 더 자세하다. 우발수 강가에서 고기를 잡던 강력부추(强力扶鄒)라는 [[어부]]가 "요새는 물고기 잡으려고 강에 쳐둔 그물이 이상하게 자주 찢어진다"고 금와왕에게 호소했다. 그래서 금와왕이 쇠로 된 그물을 쳐 두게 했더니 입술이 석 자나 되는 여자가 물고기를 먹다 말고 그물에 걸려서 허우적거리고 있었다. 늘어진 입술 때문에 무슨 질문에도 대답을 제대로 못하자 입술을 세 번 칼로 잘라내고 나니 그제서야 말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유화의 사연을 들은 금와왕은 유화를 거두어들여서 [[부여]]의 궁궐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훗날 유화부인이 죽자 금와왕이 왕후의 예로 장사지내 주었다는 기록으로 보건데 유화부인을 아내로 삼았을 가능성도 있다. === 주몽을 낳다 === 그런데 부여의 궁궐에서 태양빛이 유화를 계속 쫓아와 비춘 뒤 임신하였고 후에 '''왼쪽 [[겨드랑이]]로''' 크기가 5[[되]] 정도의 [[알]]을 낳았다.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etId=47&totalCount=47&itemId=sg&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position=6&levelId=sg_013r_0020_001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25EB%258F%2599%25EB%25AA%2585%25EC%2584%25B1%25EC%2599%2595&searchKeywordConjunction=AND|참조.]]) 이를 괴이하게 여긴 금와왕이 알을 몇번이고 내다버렸지만 [[동물]]들과 [[새]]들이 와서 알을 감싸주며 보호하는 것을 보고는 알을 다시 유화에게 돌려주었다. 이후 유화가 알을 포대기에 싸서 따뜻한 곳에 고이 놓아뒀더니 알을 깨고 한 아이가 나왔다. 이 아이가 바로 [[주몽]]으로, 훗날 고구려를 건국한 [[동명성왕]]이었다. 이후 주몽을 잘 키우다가 유화는 금와왕의 아들이었던 [[대소왕|대소]] 왕자와 그 형제들이 주몽을 시기하여 죽이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아들인 주몽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아들을 부여 밖으로 도주하게 만들 계획을 세웠다. 어느날 [[채찍]]을 들고와서 왕의 [[말(동물)|말]]들을 내리쳐서 가장 멀리 뛴 말을 골라 추모에게 그 말의 [[혀]]에 [[가시]]를 놓아두게 했다. 그 말은 제대로 먹이를 먹지 못해 비실해졌고, 금와왕은 주몽에게 그 말을 주었다. 그리하여 주몽은 [[득템|명마를 얻게 되었다.]] 이후 결국 대소가 주몽을 죽이려 하자 유화는 주몽을 부여에서 떠나게 한다. 주몽은 이후로 갖은 고생 끝에 홀본에 도착했는데, 생이별하는 마음이 간절하여 유화가 준 오곡의 종자 중 보리 씨앗을 잃고 말았다. 그 사실을 어찌 알았는지 유화는 비둘기 한쌍에게 오곡의 종자를 가지고 주몽에게 가게 하였다. 동부여를 벗어난 주몽이 나무 밑에서 쉬고 있는데 비둘기 한쌍이 날아오자 신모가 보리종자를 보낸 것이라며 활을 쏘아 떨어뜨린다. 주몽은 종자를 얻고 물을 뿜어 비둘기를 다시 살려보낸다. 이후 기원전 37년에 추모가 졸본에 [[고구려]]를 건국하였으니, 그가 바로 [[동명성왕]]이었다. === 죽음 === 기원전 24년 8월 ([[추모성왕]] 14년), [[부여]]에 남아있던 유화는 아들인 추모성왕이 건국한 [[고구려]]에 가지 못하고 결국 부여에서 숨을 거두고 말았다. 이에 금와왕은 태후의 예로써 유화의 장례를 치르고는 신묘를 지어 주었다. 이후 [[고구려]]에서는 유화를 시조인 추모와 더불어 시조신으로 섬기며 해마다 제사를 지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기록을 보면 [[태조대왕]][* 태조대왕 본인의 어머니 [[부여태후]]도 부여 출신이고, [[대무신왕]]에게 시집온 [[차비 해씨]]도 부여 출신인 등 고구려 초기에는 부여 왕실과의 통혼이 이루어지기도 했던 듯.] 때에 왕이 부여에 행차하여 유화부인의 묘에 제사지냈다고도 한다. 이로 미루어보아 이후로도 고구려는 시조신들에 대한 제사를 거르지 않았거니와, 그 묘도 그대로 부여 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 해석 == 신화적으로 봤을 때 상당히 여러가지 이미지의 신들이 유화의 이야기에 겹쳐있는데 하백의 딸이라는 점에서는 물과 관련된 신, 주몽이 명마를 득템하도록 한 이야기에서 봤을 때는 유목민족의 신, [[비둘기]]에게 오곡의 종자를 가지고 주몽에게 가서 전달하게 한 이야기에서 봤을 때는 농경의 신의 이미지가 겹쳐져 있다. 이는 고구려의 환경과 연관이 깊은 걸로 보여진다. 또한 [[만주]] 지역의 [[버드나무]] 숭배도 그녀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물과 생명을 상징하는 만주 지역의 버드나무 숭배는 그녀에게서 기원한 것일지도 모른다. '유화(柳花)'라는 이름부터가 버들꽃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한 설에 의하면 '花'의 뜻이 '꽃'이고 예전에는 '곶'이라고 불렸다는 점에 착안하여 유화의 '화'는 꽃이라는 뜻이 아니라, 아내나 여자를 뜻하는 옛말인 '갓'을 음차한 것이라고 한다. 이 '갓'이라는 말은 [[고구려어]]와 비슷하다고 여겨지는 [[백제어]]에서도 확인된다. 일본서기에 백제에서는 부인(夫人)을 ハシカシ라고 불렀다고 나오는데, ハシカシ의 'カシ'가 이 '갓'을 나타낸 발음이라고 한다. 이 설에 따르면 유화는 버들꽃이 아니라 버들여자라는 뜻이다. 어떻게 보면 버들꽃보다 더 자연스러운 이름이다. 한편 고대 일본어 연구자인 존 벤틀리(John R. Bentley)는 이 ハシカシ의 'ハシ'를 친구를 뜻하는 '벗'으로 보았는데[* 고대 일본어에서 ハ는 'pa' 발음이었다.] '버들'과 '벗'의 발음이 유사하다는 것을 감안하면 유화라는 이름이 아예 이 ハシカシ, 곧 그냥 부인을 뜻하는 말일 가능성도 있다.[* 흔히 주몽의 어머니를 그냥 '유화'라고 하지 않고 '유화부인'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곧 [[겹말]]이 되는 셈이다.][* 그녀의 동생들의 이름인 훤화(萱花), 위화(葦花)도 단순히 ~여자를 뜻하는 말일 가능성이 높다.] 북방에서 자주 발견되는 천손강림(or 빛으로 잉태)코드와 남방에서 자주 발견되는 알에서 태어난 영웅이라는 코드가 결합된 특이 케이스로 꼽기도 한다. == 그 외에 == [[조선시대]] 말기까지 [[평양시|평양]] 지역에서는 고구려가 멸망할 때, 초대 왕의 어머니(즉, 유화부인)의 목상이 피눈물을 흘렸다는 전설이 남아 있었다. 또한 유화부인을 모시는 사당도 남아 있었는데, 목상을 조각하여 모셨으나 휘장을 드려서 잡인이 함부로 보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고려도경]]에 따르면 개경 선인문(宣仁門) 안에 나무로 만든 동신성모상(東神聖母像)을 모셔둔 동신사(東神祠)라는 사당이 있으며, 동신성모는 곧 주몽의 어머니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고구려의 멸망에도 불구하고 유화에 대한 숭배는 [[고려시대]]까지도 이어지고 있었다. >동신사는 선인문(宣仁門)[* 개경의 나성 성문이다.] 안에 있다. 땅이 좀 편평하고 넓은데, 정전의 집이 낮고 누추하며 행랑과 월랑 30칸은 황량하게 수리하지 않은 채로 있다. 정전에는 ‘동신성모지당(東神聖母之堂)’이란 방이 붙어 있고 장막으로 가려 사람들이 신상(神像)을 보지 못하게 만들었는데, 이는 나무를 깎아 여인의 형상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그것이 부여(夫餘)의 처인 하신(河神)의 딸이라고 한다. 그녀가 주몽(朱蒙)을 낳아 고려의 시조가 되었기 때문에 제사를 모시는 것이다. 전부터 사자(使者)가 이르면 관원을 보내어 전제(奠祭)를 마련하는데 그 생뢰(牲牢 제물로 바치는 희생)와 작헌(酌獻 잔을 드림)은 숭산신[* [[송악산]]신이다. 이 신을 모신 숭신사가 따로 있었다.]에 대한 법식과 같다. >---- >[[고려도경]] 그런데 [[삼국사기]] 신라본기 [[경순왕]]조의 마지막 기사에 첨부된 사론에는 동신사에 대해서 [[김부식]] 자신이 [[북송]]에 갔을 때 들은 이야기라며 별도의 기록을 첨부해 두었다. 그 내용은 북송의 우신관이라는 도관에서 모시던 한 여신의 상에 대해 관반학사 왕보가 "이는 당신네 나라의 신임. 중국 제실의 딸이 해동의 진한에 도착해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이 해동에서 첫 번째 왕이 되었고 그 어머니는 지선으로 오랫동안 선도산에 머물렀으므로 이를 기리기 위해 중국에서 사당을 세운 것임."이라고 전해준 내용을 기록했다. 이어 북송 사신 왕양이 동신성모에게 제사지내면서 바친 제문에서 "어진 이가 처음으로 나라를 세우셨다"라고 한 기록을 인용하면서 동신사에서 모셔진 제신은 [[선도성모]]라고 지목하고 있다. [[삼국유사]]에서도 해당 제문의 내용을 선도성모에 관한 기록에 인용했는데, 이는 처음 세워질 당시에는 고구려 계승의식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던 고려 왕조가 후기로 갈수록 신라 계승 의식이 강해지게 되었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는 듯 하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국모라는 입장에 있는 유화부인-동신성모와 선도성모라는 두 신격(神格)이 시대가 흐름에 따라 일치화되었을 수도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볼 수 있듯이 신격의 일치화는 역사상 흔히 일어났던 일이다. 반론으로는 두 기록이 고려의 초기와 후기의 차이를 반영한다기엔 고려도경이 쓰여졌던 때는 김부식 또한 멀쩡히 생존해 있던 동시대이다. 그래서 고려도경에는 김부식의 외모와 가문에 대한 기록도 있다. 오히려 우신관의 선도성모에 대한 내용이 [[당나라]]에 방문했던 신라인들의 구전을 전하고 있을 가능성이 커 고려 건국보다 연대상으로도 훨씬 빨랐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위 내용은 북송인들과 김부식이 이전에 신라인들이 전했던 선도성모 설화와 당대 고려에 내려오던 유화부인 설화를 혼동한 것이 된다. [[일본서기]]에는 668년 고구려가 멸망할 때의 기록에서 등장한다. 아들인 추모가 처음 나라를 세우면서 자신의 나라를 천 년 동안 유지하게 하려고 했는데 모부인(유화부인)이 "나라는 아무리 잘 다스려 봐야 천 년은 무리야. 7백 년만 해."라고 해서(...) 고구려가 700년 만에 멸망하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당연하겠지만 끼워맞추기다. 사례로 "고려가 천년을 갈 수 있었는데 북한산에 기가 막혀 5백년만 가게 되었다"고 [[도선]]대사가 예언을 했다는 야사가 있는데, 실제로 고려는 474년만에 망했다. 그러나 이것은 구왕조를 무너뜨린 신왕조의 프로파간다일 가능성이 높다.자기 아들에게 빈말로나마 "천년이고 만년이고 영원해라" 라고 하지 "천년유지? 걍 적당히 해" 라고 말할 부모는 없으니. == 창작물에서의 유화부인 == 1970년대에 방영된 KBS 인형극 [[동명성왕]]에서는 버들아기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스토리는 삼국사기에 나오는 그대로였다. [[주몽(드라마)|드라마 주몽]]의 등장인물. [[오연수]]가 연기한다. 여담으로 아들 주몽역은 [[송일국]]이었는데, 두 사람은 1971년생으로 동갑이다. 심지어 어머니 역인 오연수의 생일이 더 늦다. 그럼에도 미스 캐스팅으로 비춰지지 않고 위화감 없이 명연기를 선보였다.[* 오연수가 젊은 시절부터 나이든 연기까지 잘 소화한 덕택도 있었지만 송일국이 동안인 면도 한몫했다. 2021년 현재 50이 넘은 나이에도 그때와 큰 차이가 안느끼는 걸 봤을 때 타고난 듯.] [[바람의 나라(드라마)]]에서도 '하백신모'로 언급된다. 무휼이 유화의 묘소 참배를 위한 부여로 가는 사신을 명목으로 간 것인데, 부여왕 [[대소왕|대소]]는 이를 보고 고구려에서는 옛 부여왕(금와왕)의 한낱 첩이었던 계집을 그리 부르냐며 비꼰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고구려 왕실)] [[분류:고구려의 인물]][[분류:부여의 인물]][[분류:기원전 24년 사망]][[분류:한국 신화/신]][[분류:인물신]][[분류:강의 신]][[분류:농경의 신]][[분류:호국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