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듀얼리스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듀얼 월드별 세부 정보)]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의 듀얼 월드)] [목차] == 개요 == [youtube(MQ7JSv5j0ks,width=480,height=270)]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듀얼 월드(DM)에 출현하는 전설의 듀얼리스트들을 분리하여 적어둔 문서. 캐릭터 이름은 한국판을 따른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듀얼 월드#듀얼 월드 (DM)|듀얼 월드 (DM)]] == '''※ 새 캐릭터가 추가되면 [[템플릿:유희왕 듀얼링크스의 전설의 듀얼리스트]]을 참고하여 새 문서를 생성해주세요''' 이 게임의 창시자인 카이바가 속한 월드라 그런지 캐릭터 수도 가장 많고 스테이지 수도 월드 중 가장 많다. 캐릭터 수가 부족한 다른 월드들과 달리 온갖 캐릭터들이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나오는데, 원작의 배틀 시티편에서 활약한 판도라, 에스퍼 로바가 등장하고 출연 분량도 얼마없는 미궁형제와 해골수스(해골술사)까지 듀얼리스트로 사용 가능하다. 이에 대해 캐릭터가 많은 건 좋은데, 나머지 엑스트라 넣을 자리에 GX, 5D's에서 활약한 조연을 넣는게 더 낫지 않냐는 의견이 많다. 더군다나 [[마리크 이슈타르|마리크]]나 [[무토우 스고로쿠|유희의 할아버지]]같은 몇몇 주연은 정작 안 나왔다는게 특징.[* 이 중 마리크는 듀얼리스트 연대기에서 제대로 된 캐릭터 일러스트를 가지고 등장은 한다. 그리고 유희의 할아버지도 결국 나왔다.] 또한, DM 애니 오리지널 에피소드[* 노아, 도마, KC 그랑프리편 등]에서 나온 캐릭터들은 등장은커녕 언급도 안 됐다는 점이 특징. 그래도 이를 통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DM의 엑스트라들을 재조명하는 효과도 있다. 파밍의 대가로 떠오르게 된 미궁형제나, 예전보단 스토리적으로 취급이 훨씬 나아진 해골수스가 대표적인 예. 성우들은 대체로 대원판을 따르는데, 미궁 형제와 에스퍼 로바, 레어 헌터들, 밴디트 키스는 구 SBS판을 따르는 점에서 성우 보정이나 추억 보정을 꽤나 많이 받는 유저들이 많다.[* 미궁 형제의 경우 DM/GX에 나왔어도 실질적인 첫 등장과 활약은 DM이었기에 구 SBS판을 따르며, 밴디트 키스와 레어 헌터들의 경우 대원판이라 할 수 있는 3기 이후로는 나온 적이 없기에 SBS판으로 간 듯 싶다. 그러나 회상에서만 등장한 에스퍼 로바는 SBS판을 따랐는데, 마해룡은 대원판 성우진을 유지한 것이 차이점.] 2017년 6월 19일 16시 15분부터 캐릭터 레벨 상한선이 35→40으로 증가되었다. 2018년 4월 26일 15시 20분부터 캐릭터 레벨 상한선이 40→45으로 증가되었다. == 월드 시작 캐릭터 == 어둠의 유희와 카이바 중 1명을 고르게 된다. 주로 초반 스킬의 범용성이 더 좋은 어둠의 유희가 선호되는 편. 안 고른 쪽의 캐릭터는 이후 듀얼 월드 (DM) 스테이지 16 달성 시 획득 가능하다. === [[어둠의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어둠의 유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둠의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 ===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 == 스테이지 해금 캐릭터 == 일정 스테이지 레벨에 도달한 후에 해금 미션을 진행할 수 있는 캐릭터. === [[조이(유희왕 듀얼링크스)|조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이(유희왕 듀얼링크스))] === [[안수진(유희왕 듀얼링크스)|안수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수진(유희왕 듀얼링크스))] === '''[[메이 발렌타인(유희왕 듀얼링크스)|메이 발렌타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이 발렌타인(유희왕 듀얼링크스))] === '''[[다이나소 용만(유희왕 듀얼링크스)|다이나소 용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다이나소 용만(유희왕 듀얼링크스))] === '''[[페가수스 J. 크로포드(유희왕 듀얼링크스)|페가수스 J. 크로포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페가수스 J. 크로포드(유희왕 듀얼링크스))] === '''[[미궁형제(유희왕 듀얼링크스)|미궁형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궁형제(유희왕 듀얼링크스))] === '''[[어둠의 바크라(유희왕 듀얼링크스)|어둠의 바크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둠의 바크라(유희왕 듀얼링크스))] === '''[[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유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희(유희왕 듀얼링크스))] === [[해골수스(유희왕 듀얼링크스)|해골수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골수스(유희왕 듀얼링크스))] === [[판도라(유희왕 듀얼링크스)|판도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판도라(유희왕 듀얼링크스))] === '''[[어둠의 마리크(유희왕 듀얼링크스)|어둠의 마리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둠의 마리크(유희왕 듀얼링크스))] === [[에스퍼 로바(유희왕 듀얼링크스)|에스퍼 로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에스퍼 로바(유희왕 듀얼링크스))] === [[전우혁(유희왕 듀얼링크스)|전우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우혁(유희왕 듀얼링크스))] === [[빛과 어둠의 가면(유희왕 듀얼링크스)|빛과 어둠의 가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빛과 어둠의 가면(유희왕 듀얼링크스))] === [[듀크(유희왕 듀얼링크스)|듀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듀크(유희왕 듀얼링크스))]   == 조건부 해금 캐릭터 == 해금 조건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해금 미션을 진행할 수 있는 캐릭터. === '''[[사마준(유희왕 듀얼링크스)|사마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마준(유희왕 듀얼링크스))] === '''[[마해룡(유희왕 듀얼링크스)|마해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해룡(유희왕 듀얼링크스))] === '''[[키스 하워드(유희왕 듀얼링크스)|키스 하워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키스 하워드(유희왕 듀얼링크스))] === '''[[이시즈 이슈타르(유희왕 듀얼링크스)|이시즈 이슈타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시즈 이슈타르(유희왕 듀얼링크스))] === '''[[리시드(유희왕 듀얼링크스)|리시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시드(유희왕 듀얼링크스))] === [[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 == 이벤트 한정 해금 캐릭터 == 특정 이벤트 기간에만 해금 가능한 캐릭터. 주로 전용 게이트에서 상대하게 되기 때문에 '게이트 이벤트'라고 불린다. === [[유별난(유희왕 듀얼링크스)|유별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별난(유희왕 듀얼링크스))] == [[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이벤트 캐릭터#듀얼 월드 (DM)|이벤트 한정 듀얼 캐릭터(D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이벤트 캐릭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 듀얼리스트, version=643,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