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러시 듀얼]][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희왕 러시 듀얼/룰)]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소환과 관련된 룰을 서술한 문서. [[유희왕 OCG]]의 소환법과 공통점이 있지만, 러시 듀얼만의 특징이 존재한다. == 종류 == === 통상소환 === [[파일:러시통상소환.png]] 통상 소환은 앞면 공격 표시(앞면 세로)로 소환하는 '''일반 소환'''과, 뒷면 수비 표시(뒷면 가로)로 내는 '''세트''' 두 종류가 있다. 패에 있는 몬스터라면 한 턴에 몇 장이든 통상 소환할 수 있다. 그러나, 필드에 3장 이상의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카드는 소환 할 수 없다. 이전 턴에서부터 필드에 있었던 몬스터는 한 턴에 1번 씩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있는데, 뒷면 표시의 몬스터가 앞면 표시가 되는 것을 "리버스"라고 한다.[* OCG에 있던 반전 소환이라는 개념은 리버스에 통합되었다.] ==== 어드밴스 소환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의 소환법)] 자신 필드에 있는 몬스터를 필요한 수 만큼 릴리즈 하여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통상 소환하는 행위. 통상 소환이므로, 일반 소환과 세트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릴리즈에 필요한 필드 위의 몬스터의 수는 레벨 5, 6 몬스터를 소환 할 때는 1장, 레벨 7 이상부터는 2장이다. OCG와 달리 일반소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어드밴스 소환 역시 소재만 있다면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맥시멈 소환]] 같은 특수 소환이 그렇게 많이 없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이든 현실이든 고레벨의 몬스터를 소환하는 데에 어드밴스 소환이 주로 사용된다. === 특수 소환 === 통상 소환 이외의 방법으로 몬스터를 필드에 소환하는 것을 이른다. === [[맥시멈 소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맥시멈 소환)] === [[퓨전 소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퓨전 소환)] == 관련 문서 == * [[유희왕/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