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유희왕 프랜차이즈/비디오 게임)] [include(틀:유희왕 ZEXAL)] ||||<:> '''{{{#white 유희왕 ZEXAL 격돌! 듀얼 카니발!}}}'''[br]'''{{{#white 遊☆戯☆王ゼアル 激突! デュエルカーニバル!}}} || ||||<:> [[파일:WDC.png|width=300]] || || '''개발/유통''' ||[[코나미|[[파일:코나미 로고.svg|height=16]]]]|| || '''플랫폼''' ||[[닌텐도 3DS|[[파일:닌텐도 3DS 로고.svg|width=100]]]][* [[New 닌텐도 3DS]] 대응]|| || '''출시일''' ||2013년 12월 5일|| || '''장르''' ||카드게임|| ||||<:>[[http://www.konami.jp/gs/game/yugioh_dc/|공식 홈페이지]]|| [목차] == 개요 == [youtube(KIajThRmQas,width=100%)] 2013년 7월에 V 점프 9월호에서 발표된 [[유희왕]] 시리즈의 게임 신작. 그 동안 팬들이 [[유희왕 ZEXAL]]에서 게임 안 나온다고 불평하던 것이 드디어 발표되었다. 다만 발매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유희왕 차기작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제알 시리즈의 처음이자 마지막 게임이다. 기종은 [[닌텐도 3DS]]. 총 5800종 이상의 카드를 수록했다. 범위는 OCG 기준 [[듀얼리스트 팩]] 카미시로 남매편까지. == 스토리 == [[월드 듀얼 카니발]] 편을 바탕으로 총 40명이 넘는 등장인물 중에서 자기가 선택한 캐릭터로 스토리를 진행한다. 주역 캐릭터의 경우 듀얼 중 풀 보이스. 또 플레이어블 캐릭터와 그 외의 캐릭터를 합치면 99명이다. == 시스템 == === 스토리 모드 === 작중 캐릭터를 선택하여, 그 캐릭터의 스토리를 즐길 수 있는 모드.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는 원작과 별개의 주인공을 조작하는 것과 달리, 격돌 듀얼 카니발에서는 플레이어가 선택한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게 된다. * 스토리 모드 중에는 해당 캐릭터의 고유 덱을 사용하게 되며, 가방에 수록된 카드 및 프레젠트 코드로 입수한 카드로 덱을 편집할 수 있다. 캐릭터마다 투입 가능한 카드는 고정되어 있어, 태그 포스의 파트너 덱 편집 시스템 마냥 캐릭터의 덱 컨셉을 크게 벗어나는 수준의 편집은 불가능하다.[* 일례로 [[미즈키 코토리]]의 경우 [[대행자(유희왕)|대행자]] 및 천사족 범용 카드들은 수록되어 있으나, 신비의 대행자 어스를 제외한 튜너나 싱크로 몬스터는 수록되어 있지 않아 실전성 있는 대행자 덱은 구축이 불가능하다. ]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처럼 초반에는 월드 맵에서 듀얼하고 싶은 상대를 선택하여 듀얼. 듀얼에서 승리해 하트 피스를 모으면 이벤트가 발생해 스토리 진행과 더불어 듀얼이 발생하며, 하트 피스를 3개 모으면 8인 토너먼트로 돌입해 3번 듀얼에서 승리하면 엔딩을 볼 수 있다. 토너먼트의 형식은 갖추고 있으나, 실제로 플레이어와 대전하게 되는 캐릭터는 정해져 있다. === 프리 듀얼 === 작중 캐릭터와 자유롭게 듀얼을 즐길 수 있는 모드. * 프리 듀얼에서 플레이어는 [[코나미군]]을 조작하게 되며, 어떠한 덱이든 사용할 수 있다. * 프리 듀얼에서는 수록된 모든 카드가 3장씩 투입되어 있어 처음부터 자유롭게 덱을 맞춰줄 수 있다. * 프리 듀얼에 돌입하면 우선 초기 LP 수치와 사용 BGM을 고르고, 그 후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해 듀얼한다. * 프리 듀얼에서 승리하면 해당 캐릭터와 관련된 프로텍터나 플레이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초기 LP 수치를 4000으로 맞추고 번 덱을 사용하면 쉽고 빠르게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 계산기 ===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도 내장되어 있던, 오프라인 듀얼에서 사용 가능한 계산기. === 갤러리 === 캐릭터들의 이미지와 설정들을 볼 수 있는 모드. 스토리 모드에서 엔딩을 본 캐릭터에게는 클리어 보이스, 듀얼 도중 출력되는 음성, 엔딩 컷신을 추가로 관람할 수 있게 된다. === 설정 === 듀얼 관련 설정을 하는 모드. 이지 모드를 설정하면 듀얼 중 용어 설명이 추가되고, CPU들의 수준이 낮아져 듀얼의 난이도가 낮아진다. == 평가 == 태그 포스 시리즈의 제작진들이 투입되었으나, 유희왕 팬들에게 사랑을 받은 태그 포스 시리즈와 비교하면 다운그레이드된 부분이 많다. 듀얼리스트 모델 및 소환 영상이 모두 삭제되고 2D 일러스트만으로 연출되며, 1군 듀얼리스트 이외의 캐릭터들은 음성조차 수록되어 있지 않다. [[찬 디레]], 후지와라 유키노 등등 태그 포스 시리즈의 인기 있는 오리지널 캐릭터들도 모두 새로 디자인된 오리지널 캐릭터로 대체되었고, 캐릭터들의 개별 스토리도 대부분 평탄하여 크게 어필하기 힘든 부분. 3DS의 스펙 덕분에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보다 훨씬 쾌적한 듀얼을 즐길 수 있고, 프리 듀얼에서는 처음부터 모든 카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듀얼 시뮬레이터의 측면에서는 평가가 괜찮은 편.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태그 포스 스페셜이 발매되면서 최신 룰로 즐길 수 있는 듀얼 시뮬레이터라는 장점도 퇴색된 감이 있다. 로컬 통신, 온라인 통신을 전혀 지원하지 않아 CPU 듀얼밖에 할 수 없다는 점 또한 평가를 깎아먹었다. 결국 이 게임의 의의는 현재로서 유일한, ZEXAL만을 다루는 유희왕 게임이라는 데 있다. 태그 포스 스페셜은 각 시리즈의 5명의 캐릭터[* 유마, 료가, 카이토, 코토리, 리오.]밖에 음성 및 스토리를 지원하지 않고 레거시 오브 더 듀얼리스트는 그런 것조차 없기 때문에, ZEXAL의 팬이면서 유희왕 게임을 찾는다면 격돌 듀얼 카니발밖에 선택지가 없다. ZEXAL의 캐릭터들을 좋아하고 단순한 연출에 불만이 없다면 가벼운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수준. == 등장인물 == [[파일:attachment/zexal_dk.png|width=600&align=center]] === 듀얼리스트 1 === * [[츠쿠모 유마]] (CV:[[하타나카 타스쿠]]) *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 (CV:[[이리노 미유]]) * [[제알]] (CV:[[하타나카 타스쿠]] & [[이리노 미유]]) * [[미즈키 코토리]] ((CV:[[코마츠 미카코]]) * [[타케다 테츠오]] (CV:시마다 마코토) * [[토도로키 타카시]] (CV:[[무라타 타이시]]) * [[오모테우라 토쿠노스케]] (CV:[[카나다 아키]]) * [[캐시(유희왕)|캐시]] (CV:[[코바야시 유우]]) * [[카미시로 료가]] (CV:[[마스다 토시키]]) * [[카미시로 리오]] (CV:[[한 메구미]]) * [[텐조 카이토]] (CV:[[우치야마 코우키]]) * [[오비탈 7]] (CV:[[마에노 토모아키]]) * [[고슈]] (CV:[[시노미야 고우]]) * [[드로와]] (CV:[[후카미즈 유미]]) * [[Dr. 페이커]] (CV:[[오가와 신지]]) * [[트론(유희왕)|트론]] (CV:[[코쿠류 사치]]) * [[III(유희왕)|III]] (CV:[[이케다 쿄스케]]) * [[IV(유희왕)|IV]] (CV:[[호소야 요시마사]]) * [[V(유희왕)|V]] (CV:[[야마모토 쇼마]]) * [[야미카와]] (CV:[[야마모토 쇼마]]) * [[코즈키 안나]] (CV:[[모치즈키 레이]]) * [[No.96 블랙 미스트]] (CV:[[이리노 미유]]) * [[도르베]] (CV:[[히라카와 다이스케]]) * [[미자엘]] (CV:[[오오카와 겐키]]) * [[기라그]] (CV:[[타카구치 코스케]]) * [[아리트]] (CV:[[히카미 타카히로]]) * [[벡터(유희왕)|벡터]][* 타 칠황이 인간 모습으로 참전한 것과 달리, 신게츠의 존재 때문에 벡터는 바리안 모습으로 참전했다.] (CV:[[히노 사토시]]) === 듀얼리스트 2 === * [[신게츠 레이]] * [[텐조 하루토]] * [[오쿠다이라 후야]] * [[쿠니타치 카케루]] * [[유아츠 쇼베]] * [[야사이 호사쿠]] * [[츠쿠모 아카리]] * [[찰리 매코이]] * [[하야미 슈타]] * [[도그]] * [[하나조에 아이카]] * [[하바라 우미미]] * 쵸노 사나기 === 듀얼리스트 3 === ==== 원작 등장인물 ==== * [[츠쿠모 하루]] * [[오보미]] * [[미사와 로쿠쥬로]] * [[키타노 우쿄]] * 세이 * 사치 * 후야의 어머니 * 쿠니타치 카즈 * 쿠니타치 히데 ==== 오리지널 등장인물 ==== * 키시가 아이 * 토타쿠 아키라 * 캐럿 안젤라 * 쿠로카도 안지 * 우레이자 반 * 히노모토 코로나 * 카도소로 에루 * 사쿠리 헤이즈 * 미카도노 코이치로 * 젠바 마이 * 신도 마키코 * 카와이 마키나 * 단자이 마사토 * 코엔 네네 * 아오미 린코 * [[리추어|이비 리추아]] * 키리사키 소피 * 쥬몬지 타케루 == 기타 == 정발 여부에 대해 문의를 넣은 유저에 의하면 한글화를 고려했으나 수익률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어 정식 발매는 보류되었다는 대원의 [[https://bbs.ruliweb.com/game/81500/read/7184921|공식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태그 포스 스페셜에서는 격돌 듀얼 카니발의 캐릭터 일러스트와 BGM이 재활용되었다. 해당 작품에서 3군 오리지널 캐릭터 중 일부는 [[팔레트 스왑]]하여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유희왕 듀얼링크스/일반 듀얼리스트/ZEXAL 월드|ZEXAL 월드 소속 일반 듀얼리스트]]로 등장한다. == 동봉 카드 == 카드 번호는 ZDC1('''Z'''EXAL '''D'''uel '''C'''arnival '''1'''). || 번호 || 이름 || 종류 || 사양 || ||ZDC1-JP001||[[열차(유희왕)|제설기관차 허슬 러셀]]||효과 몬스터||울트라 레어|| ||ZDC1-JP002||[[열차(유희왕)|심야급행기사 나이트 익스프레스 나이트]][* 발음이 [[나이트]]라는 점을 이용한 [[언어유희]]이다. 첫번째 나이트는 [[밤(시간)|Night]]이고 두번째 나이트는 [[기사|Knight]]이다.]||효과 몬스터||울트라 레어|| ||ZDC1-JP003||[[열차(유희왕)|임시 운행표]][* 본명은 '임시 다이야'이지만 국내 더빙에서는 '''임시 운행표''' 로 바뀌었다. '다이야(ダイヤ)'는 [[다이아몬드|Diamond]]의 준말이 아니라 Diagram의 준말이라서 이렇게 바꾼 듯.]||일반 마법||울트라 레어|| 애니메이션을 본 듀얼리스트라면 알겠지만 '''전부 [[코즈키 안나]]가 사용한 카드들이다'''. 한국에서는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처럼 대원이 동봉 카드를 기존에서 3~4장 추가할 수도 있었지만 대원 미디어와 닌텐도 코리아간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발매는 불발되었다. [[분류:유희왕 ZEXAL]][[분류:유희왕 비디오 게임]][[분류:2013년 닌텐도 3DS 게임]][[분류:닌텐도 3DS 전용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