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육경합부.jpg]] [목차] == 개요 == 六經合部.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불경 요약서. 현재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965호,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7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5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1호 등에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책으로 [[금강경]],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대불정수능엄신주, [[아미타경]], 법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관세음보살예문]] 등 6종의 불교 경전 내용을 1책으로 축약한 불경 요약서이다. [[세종대왕|세종]] 22년(1440)에 목판으로 처음 판각하였다고 하며, 현재 남아 있는 중요 인쇄본은 다음과 같다. * [[세조(조선)|세조]] 6년(1460)에 왕의 명에 따라 간경도감에서 인쇄한 책. * [[성종(조선)|성종]] 3년(1472)에 [[인수대비]]가 돌아가신 세조, [[예종(조선)|예종]]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인쇄한 책. == 보물 제965-1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9650100,33&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육경합부 (六經合部)]] >이 책은 조선 전기에 널리 유통되었던 금강경, 보현행원품, 대불정수능엄신주, 아미타경, 법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관세음보살예문 등 6가지 경전을 한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 >나무에 새겨서 닥종이에 찍은 것으로, 크기는 세로 29㎝, 가로 17.4㎝이다. 금강경 끝의 기록에 의하면, 이『육경합부』는 세종 22년(1440)에 화악산 영제암에서 새긴 목판을 가지고 찍어낸 것이다. > >김수온의 발문(跋文:책의 내용이나 간행 경위에 관하여 간략하게 적은 글)을 통해 성종 3년(1472) 인수대비가 세조·의경왕(懿敬王)·예종 및 인성대왕의 명복을 빌고, 대왕대비와 왕 및 왕비의 장수를 빌기 위하여 각 사찰에 있는 목판에서 찍어낸 29종의 책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복장유물(보물 제793호)에 포함된『육경합부』와 동일한 판본이다. == 보물 제965-2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9650200,38&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육경합부 (六經合部)]] >이 책은 세종 22년(1440)에 영제암(永濟庵)에서 판각한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을 비롯하여,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대불정수릉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등 6개경(個經)을 한데모아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발원으로 성종 3년(1472)에 찍어낸 것이다. 권말에 갑인소자로 찍은 김수온(金守溫)의 발문(跋文)이 붙어 있어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가 기존의 경판에서 대대적으로 인출한 불서 가운데 하나임을 알 수 있다. > >이 육경합부는 인쇄상태가 양호하고, 인출경위(印出經緯)를 분명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불교사와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7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370000,25&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육경합부 (六經合部)]] >1440년(세종 22)에 가평 화악산(華岳山) 영제암(永濟菴)에서 판각한 경판에서 1472년(성종 3)에 후인(後印)한 불경임. > >조선 초기에 널리 독송되었던『金剛般若波羅蜜經』,『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大佛頂首楞嚴神呪』,『佛說阿彌陀經』,『觀世音菩薩禮文』,『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등 6종의 경전을 한 책으로 모아 ‘육경합부(六經合部)’라는 이름으로 간행한 불경. > >인출경위(印出經緯)를 분명히 알 수 있다는 점과 불교사와 서지학 및 조선 초기 왕실의 불교신앙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5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750000,22&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대구 금성사 육경합부 (大邱 錦城寺 六經合部)]] >이 책은 조선 초기에 유행하여 널리 독송되던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의 여섯 경전을 하나로 모아서 1책으로 합본한 것이다. > >조선 초기 왕실에서 주관하여 판각한 불경으로, 표지는 비록 개장(改裝)되었으나 내용은 낙장이 없는 97장의 완본이며, 세조 6년(1460)에 초간할 당시의 인쇄본으로 추정되는 귀중한 책이다.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1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1510000,21&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자비암 육경합부 (慈悲庵 六經合部)]] >자비암 육경합부(慈悲庵 六經合部)는 닥종이로 목판을 인출한 인경본 6권 1책으로, 구마라집 한역의 "금강반야바라밀경", 반야 한역의 "대방광불화엄경"의 「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 "묘법연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 구마라집 한역의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등 6권의 불교경전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였으며, 마지막 장에는 인경 발원문이 묵서(墨書)되어 있다. 자비암 육경합부 인경본의 전체 수량은 98장이며, 1460년(세조 6) 선종(禪宗都會所 興天寺)에서 조성한 목판본을 원판으로 삼아 인출한 기록유산이다. > >일부의 장은 훼손되어 있으나, 광곽(匡廓)이나 본문 내용이 뚜렷하고, 인경 상태와 인경 발원문의 내용 등을 통해 볼 때 인경 시기는 목판의 조성 초기인 조선 성종 때 인경된 것으로 추정된다.때문에 자비암 육경합부는 세조 및 성종 때 목판본이나 인경본의 조성 체계와 목적, 불교계의 사상적 경향, 선종도회소 흥천사의 단월(檀越) 성분, 당대 활동 인물 등과 같은 다양한 기초 정보를 담고 있어, 15세기의 역사․문화적 실체를 밝혀주는 원천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시의 닥종이와 먹(墨)의 재질, 형태서지학, 서체 등도 밝힐 수 있는 원천 정보와 일정 정도의 인출 정보도 포함하고 있어 역사․문화적 가치는 물론, 서지학적 가치도 높다.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01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010000,36&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보림사사천왕상복장육경합부 (寶林寺四天王像腹藏六經合部)]] >보림사는 전라남도 장흥군 가지산에 있는 절로, 860년 신라의 승려 체징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 책은 보림사 사천왕상의 배안에 넣어서 보관하던 유물 가운데 하나이다. > >『육경합부』는 조선 전기에 널리 유행하던 ‘금강반야바라밀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대불정수능엄신주’, ‘불설아미타경’, ‘관세음보살예문’,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등 여섯가지 경전을 모아 한 책으로 엮은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가장 오래된 것은 세종 6년(1424)에 전라도 고산 안심사에서 만든 판본이며, 이 밖에도 현재까지 알려진 판본은 20여종 이상이 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이 임진왜란 이전인 15세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 >보림사에서 발견된 것은 모두 5종 6책으로, 이 역시 대부분 1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중 간행 연도가 확실한 것으로는 세종 31년(1449)의 금사사본, 세조 3년(1457)의 전라북도 전주 원암사본, 세조 6년(1460)의 선종개판본, 성종 19년(1488)의 전라도 고산 화암사본 등이 있다. 이 유물들은 현재까지 매우 희귀하게 전래되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9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2590000,31&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고양시 길상사 육경합부 (六經合部)]]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05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050000,31&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양주 송암사 육경합부 (楊州 松巖寺 六經合部)]]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35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5350000,38&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양산 광천사 소장 육경합부 (梁山 光天寺 所藏 六經合部)]]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80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1800000,31&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 고양 대성암 육경합부]] [[분류:대한민국의 보물]] [[분류:대한민국의 시도유형문화재]] [[분류:조선의 불경]] [[분류:경기도의 문화재자료]] [[분류:대전광역시의 문화재]] [[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 [[분류:부산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