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 나라의 육상방위를 책임지는 군종, '''육군'''을 상징하는 [[군가]]로, 육군에 소속된 장병들의 동질감을 고취시켜 사기를 고양하기 위해 부른다. 여기서는 대한민국의 육군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 [[대한민국 육군]]의 육군가 == [include(틀:국군 대표군가)] || [YouTube(2ogo-rd6vj4)] || || 1965년 녹음된 원가사 육군가 || || [youtube(bMdzX2jcbwQ)] || || 반주 || [[북한]]의 불법적인 기습남침으로 발발한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장병의 사기진작 및 전의고취를 위한 군가 가창이 활발하던 때에 "육군을 대표하는 군가를 제작하여 부르게 하자"는 의견을 수렴하여 당시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훈]]국 전문위원이었던 최달희가 지은 가사에, 대국민 공모를 통해 당선된 종군작가단 [[김동진(작곡가)|김동진]]의 곡을 붙여 탄생했다. 여타 각 군의 대표곡들이 그렇듯 [[기초군사훈련]]을 [[육군훈련소]]에서 받았을 시 아침조회[* 육훈소가와 육군가 중 랜덤으로 정한다.] 또는 수료식 날 부르는데, 각 사단 [[신병교육대]] 출신 장병들은 전역때까지 한 번도 안 부르는 사람도 많다는듯. 또, 행군 중에 절대 부르지 않는 [[해군가]]와는 다르게 행군중에도 부른다. === 가사 === ||
[youtube(fLUHGMRxeuM)] || || '''1절''' '''[[백두산]] 정기 뻗은 [[삼천리]] 강산''' '''[[무궁화]] 대한은 온누리[*가사개정1 2014년 1월까진 [[아세아]]였다. 온누리라는 단어는 순수 한국어로 '전세계' (全(온)世界(누리)) 를 뜻하는 순수 우리말이다.]의 빛''' '''[[화랑]]의 핏줄타고 자라난 우리'''[*가사개정2 2014년 1월까진 '남아'. [[여군]]을 고려해 개사한 듯.] '''그 이름 용감하다 [[대한민국 육군|대한 육군]]''' '''2절''' '''높은 산 거친 골짝 깊은 강물도''' '''우리 용사 앞에는 거칠 것 없네''' '''대한 육군 진격에 적이 있느냐''' '''백천만 대군도 초로[* 草露 = 백만천만명이나 되는 적의 대군도 대한육군의 공세 앞에서는 풀에 맺힌 이슬 같다는 의미이다.] 같도다''' '''3절''' '''자유 평화 정의는 우리의 정신''' '''[[조선인민군|불의]]를 [[북진통일|무찌르자 온 땅 끝까지]]''' '''무쇠같이 튼튼한 넋과 사지는''' '''대지를 뒤집고도 힘이 남는다''' '''후렴''' '''앞으로 앞으로 용진 또 용진'''[* 勇進, 용감하게 나아감.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는 영원한 [[대한민국|조국]]의 [[대한민국 국군|방패]]'''[*가사개정3 옛 가사는 우리는 삼천만 민족의 방패. 다문화 사회화 및 인구 변화에 맞춰 개사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앞으로 용진 또 용진''' '''우리는 영원한 조국의 방패!'''[*가사개정3] [[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width=70]] || === 작곡가 관련 논란 === 육군가를 작곡한 김동진은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공식 등재된 대표적인 '친일음악가'이다. 1940년과 50년대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을 위한 연주활동을 하고, 일제의 제국주의적 침략전쟁을 옹호하는 곡을 만들며 부역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때문에 이 김동진이 작곡한 육군가가 병영에 울려퍼지는 것이 독립군과 광복군을 계승한다는 국군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것인지 논란이 인 바가 있다. 하지만 작곡가가 친일파라는 것이 육군가의 가치를 폄하할 이유는 되지 않는다. 작곡가가 친일파일 뿐, 나라와 민족을 지키기 위해 싸웠던 [[6.25 전쟁]] 참전용사들이 행군하며 부르던 '''순국선열들의 군가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독립군]]이 부르던 군가인 [[용진가]]는 일본 유행가에 가사만 붙인 것이라 자신들을 탄압하던 일제 의 노래를 부른 셈이 된다. 요컨대 작곡가의 성향만이 육군가라는 노래의 정체성을 규정한다고 볼 수는 없으며 육군가가, 수십년간 불렸던 맥락과 정신 역시 육군가의 정체성의 일부를 형성한다. 음악을 작곡하는 것은 작곡가이지만 그 음악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로 통용될지가 오로지 작곡가에 의해 결정되지는 않는 것이다. === 개정판 === ||
[youtube(9FuNFppAtds, start=4220)] || || 해당 영상 1시간 10분 20초부터 || 육군 공식 사이트 설명에 따르면 [[2014년]] 국격상승 및 양성평등 등의 시대변화를 반영하여 가사를 부분적으로 개정하였다. 그러나 [[2020년]] [[6.25 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열린 행사에선 현재 불리는 신 가사로 불렀지만 정부방송인 [[국민방송|KTV]]를 비롯하여 [[MBC]], [[SBS]]에서 [[방송사고|구 가사 자막이 송출]]되었다. 2021년 4월 22일. 중독성 주의라며 자신만만하게 내놓은 새 육군가 [[육군, 우리 육군]]이 국방부 공식 채널로 공개되었다. 그러나 노래 자체가 정말 괴상하다 못해 맹독성 가득하다는 평가가 많아 싫어요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결국 반발의 여파 끝에 비공개 처리되며 흑역사화되어 국군의 날 행사에서도 육군가가 잘만 제창되었다. == 해외의 육군가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 육군]] - [[The Army Goes Rolling Along]] * [[파일:대만 육군기.svg|width=20]] [[대만 육군|중화민국 육군]] - [[육군군가|육군군가(陸軍軍歌)]] * [[파일:육상자위대기.svg|width=20]] [[육상자위대]] - [[https://youtu.be/Vh5zTnIJ8Ik|영광의 깃발 아래에서]] * [[파일:러시아 육군기.svg|width=20]] [[러시아 육군]] - [[우리는 인민의 군대]] [[분류:대한민국의 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