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육사오(6/45)}}}''' (2022)[br]6/45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육사오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코미디]], [[밀리터리]], [[드라마]]|| || '''감독''' ||<|2>박규태[* [[날아라 허동구]]를 연출한 감독이다.]|| || '''각본''' || || '''제작''' ||김현철, 이한대, 박경원|| || '''기획''' ||김현철, [[류승수]], 이종호|| || '''주연''' ||[[고경표]], [[이이경]], [[음문석]], [[박세완]], [[곽동연]], [[이순원]], [[김민호(배우)|김민호]]|| || '''촬영''' ||이시연|| || '''편집''' ||김창주|| || '''음악''' ||박인영|| || '''조명''' ||홍명수|| || '''미술''' ||방길성|| || '''음향''' ||김석원|| || '''시각효과''' ||최진섭|| || '''촬영 기간''' ||[[2021년]] [[4월 20일]] ~ [[2021년]] [[6월 26일]]|| || '''제작사''' ||티피에스컴퍼니[br][[싸이더스|[[파일:싸이더스 로고.png|width=50&theme=light]][[파일:싸이더스 로고 화이트.png|width=50&theme=dark]]]]|| || '''배급사''' ||씨나몬(주)홈초이스[br][[싸이더스|[[파일:싸이더스 로고.png|width=50&theme=light]][[파일:싸이더스 로고 화이트.png|width=50&theme=dark]]]]||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8월 24일]][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2022년]] [[9월 23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22년]] [[9월 30일]]|| || '''화면비''' ||2.39:1|| || '''상영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width=20&theme=light]][[파일:영화 2D 로고 화이트.png|width=20&theme=dark]]]] ^^(디지털 | [[가치봄]])^^ || || '''상영 시간''' ||113분 (1시간 53분 17초)|| || '''제작비''' ||50억 원[* 손익분기점은 165만 명이다.]|| || '''월드 박스오피스''' ||'''$22,263,336''' ^^([[2022년]] [[11월 20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21800888/|기준]])^^||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980,769명''' (최종)|| ||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2023년 2월 8일 공개]|| ||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8월 24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645영화.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육사오 디즈니+ 포스터.png|width=100%]]}}} || || '''포스터''' || '''디즈니+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5sC5GoNTAQ)]}}} ||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sRH3rqC_-LQ)] }}} ||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바람을 타고 군사분계선을 넘어가버린 57억 1등 당첨 로또를 둘러싼 남북 군인들간의 코믹 접선극 >'''“45개 번호 중에 6개 맞히면 1등인 육사오라는 종이쪼가리, 내가 주웠지 말입니다”''' > >우연히 1등 당첨 로또를 주운 말년 병장 ‘천우’. 심장이 터질듯한 설렘도 잠시, 순간의 실수로 바람을 타고 군사분계선을 넘어간 로또. 바사삭 부서진 멘탈을 부여잡고…기필코 다시 찾아야 한다! > >우연히 남쪽에서 넘어온 1등 당첨 로또를 주운 북한 병사 ‘용호’. 이거이 남조선 인민의 고혈을 쥐어 짜내는 육사오라는 종이쪼가리란 말인가? 근데 무려 당첨금이 57억이라고?! > >당첨금을 눈앞에서 놓칠 위기에 처한 ‘천우’와 북에선 한낱 종이쪼가리일 뿐일 로또를 당첨금으로 바꿔야 하는 ‘용호’. 여기에 예상치 못한 멤버들(?)까지 합류하고 57억을 사수하기 위한 3:3팀이 결성되는데… > >'''주운 자 VS 또 주운 자''' >'''아슬아슬 선 넘는 지분 협상이 시작된다!''' == 등장인물 == * '''[[대한민국 육군]]''' * [[고경표]] - 박천우 병장 역[* [[대북방송]] 때에는 '''방귀남'''이라는 가명을 쓴다.] * [[음문석]][* [[파이프라인(영화)|파이프라인]]에서 접새 역할이었다.] - 강은표 대위 역 * [[곽동연]] - 김만철 상병 역 * [[류승수]] - 급수보급관(하사) 역[* 이 영화의 기획자이기도 하다.] * [[이준혁(1972)|이준혁]] - 대대장(대령) 역 * [[신원호#s-5]] - 신병 역 * [[서정우#s-3]] - 하 중사 역 * '''[[조선인민군 육군]]''' * [[이이경]] - 리용호 하사 역[* 리용호 역할을 맡았던 이이경은 이전에 [[공조 1|공조]]에서 음문석과 열연한 관계가 있다.] * [[박세완]] - 리연희 소위 역[* [[대남방송]] 때에는 '''[[아이유]]'''라는 가명을 쓴다.] * [[이순원]] - 최승일 대위 역[* 참고로 작중 나이는 29살이다. ~~강은표([[음문석]]): 출생신고를 너무 늦게한 거 아니야?~~] * [[김민호(배우)|김민호]] - 방철진 상병 역 * [[윤병희(배우)|윤병희]] - 김광철(보위부 군사) 역[* [[범죄도시 시리즈]]에서 휘발유 역할이다.] * [[남도윤(배우)|남도윤]] - 최영철 일병 역 * 우정출연 * [[정인기]][* [[범죄도시 시리즈]]에서 경찰서장 이상용 역할이다.] - 리용호의 아버지 역[* 리용호의 가족 사진에 등장.] * [[박희진]] - 여사장 역 * [[이현걸(배우)|이현걸]] - 로또 브로커 역 * 오현수 - 칼국수 가게주인 역 == [[/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사오(6/45)/줄거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 코드>, critic=<메타스코어 점수>, user=<유저스코어 점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 코드>, tomato=<토마토미터 퍼센티지>, popcorn=<오디언스 스코어 퍼센티지>)] [include(틀:평가/IMDb, code=tt21800888, user=6.9)]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6-45-2022,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 코드>, presse=<전문가 평점>, spectateurs=<관람객 평점>)]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395337, user=7.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06896, light=81.76, star=3.0)]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04525, user=4.1)]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441582, user=7.6)]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樂透大作戰-font-classhighlight645font-13998, user=4.4)]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B7NPP, user=3.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04640, expert=6.00, audience=8.04, user=8.56)]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42869, user=8.1)] [include(틀:평가/CGV, code=86059, egg=95)]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18862, user=9.3)]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2041400, user=8.7)]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 코드>, critic=<크리틱 평점>, user=<유저 평점>)] [include(틀:평가/TMDB, code=821153-6-45, user=69)]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스코어>)]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63777-6-45, user=8.2)] 시사회 평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이 많다. 이는 개봉 후에도 대체적으로 유지되었다. 한국 코미디 영화나 남북 관계와 관련된 영화면 흔히 등장하는 억지 신파를 최소화했다는 점이 스토리적으로도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단순하고 가벼운 코미디 영화를 목적으로 만들어서 그런지 전반적인 스토리 전개는 아쉬운 부분이 존재하며, 특히 결말 부분에서 지적이 많이 나온다. 이외의 옥에 티라면 [[멧돼지]] [[CG]]가 매우 어색하다는 것, [[조선인민군]] [[육군]] [[장교|군관]]들이 달고 있는 [[약장]]이 인민군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군]] 특히 육군에서 --[[군장점]]에서 사다 짬따라 가라로 마구 다는 용도로 --쓰는 기성품이라는 것 정도다. 현 대한민국 육군의 대다수 군부대 내 [[대대장]]의 계급은 [[중령]]인데, 여기선 [[대령]]이 대대장인 등 계급 체계상 [[고증오류]]라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감독의 인터뷰 전문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판타지를 다룰 때 리얼리티를 너무 무시하면 이야기의 몰입감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다. 그래서 리얼리티와 픽션의 경계를 넘나들고자 했다. 57억 로또 당첨금과 934회 당첨 번호는 리얼리티이지만 당첨은 픽션이다. 대개 군대에서 소초장은 [[중위]]가 맡지만 영화에선 [[대위]]다. 대대장도 대개 중령이지만 여기선 대령이다. 이와 같이 리얼리티와 판타지의 경계를 오가며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기에, 상상의 영역에서 관객들이 영화를 즐겨주셨으면 했다.” 언급하진 않았으나, [[보급관]] 직책을 [[하사]]가 맡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행보관 계급은 [[상사]]이며, 편제가 적은 부대에서나 간혹가다가 [[중사]]나 [[원사]]가 보급관을 하기 때문이다. 즉, 작중 인물들의 계급과 직책이 실제와 다른 것은 감독이 판타지를 위해 의도적으로 설정한 셈. == 흥행 == === [[대한민국]]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22년 34주차 ||<|2> → || '''2022년 35주차''' ||<|2> → || 2022년 36주차 || || [[헌트(2022)|헌트]] || {{{#ffffff '''육사오(6/45)'''}}} || [[공조2: 인터내셔날]]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14,913명 || 14,913명 || 미집계 || 133,845,000원 || 133,845,000원 || ||<|7> 1주차 ||2022-08-24. 1일차(수) || 59,736명 ||<|7> 570,317명 || 2위 || 591,126,790원 ||<|7> 5,886,111,398원 || ||2022-08-25. 2일차(목) || 48,835명 || 2위 || 485,332,811원 || ||2022-08-26. 3일차(금) || 65,628명 || 2위 || 689,721,933원 || ||2022-08-27. 4일차(토) || 148,601명 || 2위 || 1,567,142,461원 || ||2022-08-28. 5일차(일) || 141,569명 || '''1위''' || 1,484,717,286원 || ||2022-08-29. 6일차(월) || 49,654명 || '''1위''' || 504,756,996원 || ||2022-08-30. 7일차(화) || 56,294명 || '''1위''' || 563,313,121원 || ||<|7> 2주차 ||2022-08-31. 8일차(수) || 94,906명 ||<|7> 631,254명 || '''1위''' || 745,245,451원 ||<|7> 6,198,393,099원 || ||2022-09-01. 9일차(목) || 47,653명 || '''1위''' || 467,119,657원 || ||2022-09-02. 10일차(금) || 68,996명 || '''1위''' || 699,675,334원 || ||2022-09-03. 11일차(토) || 170,654명 || '''1위''' || 1,754,532,928원 || ||2022-09-04. 12일차(일) || 167,340명 || '''1위''' || 1,727,664,373원 || ||2022-09-05. 13일차(월) || 36,725명 || '''1위''' || 364,111,190원 || ||2022-09-06. 14일차(화) || 44,980명 || '''1위''' || 440,044,166원 || ||<|7> 3주차 ||2022-09-07. 15일차(수) || 17,032명 ||<|7> 470,570명 || 2위 || 164,228,269원 ||<|7> 4,797,512,667원 || ||2022-09-08. 16일차(목) || 29,965명 || 2위 || 285,806,296원 || ||2022-09-09. 17일차(금) || 76,875명 || 2위 || 780,644,827원 || ||2022-09-10. 18일차(토) || 109,135명 || 2위 || 1,144,747,063원 || ||2022-09-11. 19일차(일) || 118,806명 || 2위 || 1,228,282,410원 || ||2022-09-12. 20일차(월) || 99,485명 || 2위 || 1,007,299,064원 || ||2022-09-13. 21일차(화) || 19,272명 || 2위 || 186,504,738원 || ||<|7> 4주차 ||2022-09-14. 22일차(수) || 14,747명 ||<|7> 173,220명 || 2위 || 144,406,294원 ||<|7> 1,757,286,759원 || ||2022-09-15. 23일차(목) || 13,856명 || 2위 || 133,591,151원 || ||2022-09-16. 24일차(금) || 19,767명 || 2위 || 200,889,787원 || ||2022-09-17. 25일차(토) || 53,287명 || 2위 || 550,665,356원 || ||2022-09-18. 26일차(일) || 48,936명 || 2위 || 504,427,816원 || ||2022-09-19. 27일차(월) || 11,604명 || 2위 || 115,483,037원 || ||2022-09-20. 28일차(화) || 11,023명 || 2위 || 107,823,318원 || ||<|7> 5주차 ||2022-09-21. 29일차(수) || 9,360명 ||<|7> 83,158명 || 4위 || 78,751,710원 ||<|7> 711,305,483원 || ||2022-09-22. 30일차(목) || 9,414명 || 4위 || 79,352,602원 || ||2022-09-23. 31일차(금) || 12,652명 || 4위 || 103,673,800원 || ||2022-09-24. 32일차(토) || 20,078명 || 4위 || 177,684,128원 || ||2022-09-25. 33일차(일) || 17,665명 || 4위 || 156,191,654원 || ||2022-09-26. 34일차(월) || 6,694명 || 4위 || 55,948,101원 || ||2022-09-.27 35일차(화) || 7,295명 || 4위 || 59,703,488원 || ||<|7> 6주차 ||2022-09-28. 36일차(수) || 2,656명 ||<|7> 20,114명 || 8위 || 20,298,696원 ||<|7> 169,835,070원 || ||2022-09-29. 37일차(목) || 2,190명 || 9위 || 17,230,297원 || ||2022-09-30. 38일차(금) || 2,837명 || 8위 || 22,941,499원 || ||2022-10-01. 39일차(토) || 3,021명 || 9위 || 26,557,290원 || ||2022-10-02. 40일차(일) || 4,236명 || 8위 || 37,336,275원 || ||2022-10-03. 41일차(월) || 4,249명 || 8위 || 37,482,713원 || ||2022-10.04. 42일차(화) || 925명 || 9위 || 7,988,300원 || ||<|7> 7주차 ||2022-10-05. 43일차(수) || 502명 ||<|7> 7,876명 || 19위 || 4,237,400원 ||<|7> 65,778,004원 || ||2022-10-06. 44일차(목) || 1,041명 || 17위 || 8,481,397원 || ||2022-10-07. 45일차(금) || 1,520명 || 14위 || 12,481,398원 || ||2022-10-08. 46일차(토) || 985명 || 18위 || 8,435,398원 || ||2022-10-09. 47일차(일) || 1,685명 || 15위 || 14,588,915원 || ||2022-10-10. 48일차(월) || 1,282명 || 15위 || 10,908,796원 || ||2022-10.11. 49일차(화) || 861명 || 16위 || 6,644,700원 || ||<|7> 8주차 ||2022-10-12. 50일차(수) || 534명 ||<|7> 4,122명 || 20위 || 4,162,500원 ||<|7> 32,314,200원 || ||2022-10-13. 51일차(목) || 609명 || 21위 || 4,565,000원 || ||2022-10-14. 52일차(금) || 1,109명 || 12위 || 8,918,600원 || ||2022-10-15. 53일차(토) || 567명 || 24위 || 4,514,600원 || ||2022-10-16. 54일차(일) || 283명 || 28위 || 2,319,500원 || ||2022-10-17. 55일차(월) || 261명 || 21위 || 1,988,000원 || ||2022-10.18. 56일차(화) || 759명 || 19위 || 5,846,000원 || ||<|7> 9주차 ||2022-10-19. 57일차(수) || 546명 ||<|7> 1,309명 || 15위 || 4,045,000원 ||<|7> 9,209,000원 || ||2022-10-20. 58일차(목) || 52명 || 48위 || 271,000원 || ||2022-10-21. 59일차(금) || 405명 || 19위 || 2,794,000원 || ||2022-10-22. 60일차(토) || 48명 || 79위 || 432,000원 || ||2022-10-23. 61일차(일) || 66명 || 72위 || 472,000원 || ||2022-10-24. 62일차(월) || 8명 || 89위 || 73,000원 || ||2022-10.25. 63일차(화) || 184명 || 25위 || 1,122,000원 || ||<|7> 10주차 ||2022-10-26. 64일차(수) || 156명 ||<|7> 838명 || 28위 || 1,095,000원 ||<|7> 5,394,200원 || ||2022-10-27. 65일차(목) || 273명 || 23위 || 1,709,000원 || ||2022-10-28. 66일차(금) || 90명 || 52위 || 585,000원 || ||2022-10-29. 67일차(토) || 15명 || 109위 || 142,200원 || ||2022-10-30. 68일차(일) || 4명 || 123위 || 37,000원 || ||2022-10-31. 69일차(월) || 100명 || 41위 || 468,000원 || ||2022-11.01. 70일차(화) || 200명 || 19위 || 1,358,000원 || || '''합계''' ||<-6> '''누적 관객수 1,980,769명, 누적 매출액 19,791,166,880원''' [* [[2022년]] [[12월 13일]]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1일 차''' [[헌트(2022)|헌트]]에 이은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다. '''2일 차''' 관객수 '''10만명'''을 돌파했다. '''5일 차''' 입소문에 힘입어 [[헌트(2022)|헌트]]를 밀어내고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12일 차''' 1위를 7일 넘게 유지하며 '''1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15일 차''' [[공조2: 인터내셔날]]의 개봉으로 인해 1위자리를 내주었다. '''20일 차''' 관객수 '''165만명'''을 돌파하면서 '''손익분기점을 넘었다.''' '''[[2022년]] 최고 기대작 중 하나였던 [[최동훈]] 감독의 [[외계+인 1부]]도 넘어섰다. 또한 2022년 한국 영화중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범죄도시2]], [[한산: 용의 출현]], [[헤어질 결심]], [[헌트(2022)|헌트]], [[공조2: 인터내셔날]], [[올빼미(영화)|올빼미]]와 함께 손익분기점을 넘은 작품이다.'''[* 위 영화들과 비교해서 [[주연]]배우들의 네임밸류도 그렇고 많이 밀리는 듯 해 보였던 터라 정말 의외의 선전이다. 특히 포스터가 워낙 답 없이 만들어진 상태여서 손익분기점은 커녕 50만명도 안 보고 VOD가 풀릴 거라 생각하는 이들도 있었을 정도다.] '''22일 차''' 관객수 '''170만명'''을 돌파했다. '''26일 차''' 관객수 '''180만명'''을 돌파했다. '''32일 차''' 관객수 '''190만명'''을 돌파했다. '''43일 차''' [[듄(2021)|듄]]과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재개봉으로 10위권 밖으로 처음으로 밀려났다. VOD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개봉 당일만 하더라도 [[헌트(2022)|헌트]]와 결과적으로 흥행에 실패했던 [[불릿 트레인]]보다 좌석점유율이 낮은 상황이었다. 즉 메가박스, CGV, 롯데시네마 영화3사에서 굉장히 저평가를 받았던 영화였으나 점차 입소문을 타면서 5일차부터 [[헌트(2022)|헌트]]를 밀어내고 14일차까지 10일간 1위를 유지했으며 [[공조2: 인터내셔날]]의 [[스크린 독점]]으로 인해 [[공조2: 인터내셔날]]보다 좌석점유율이 두배이상 낮은 상황에서도 추석연휴동안 비등한 좌석판매율을 기록하며 추석연휴동안 손익분기점인 165만명을 넘고 166만명을 동원하였으며 30일차에는 [[헤어질 결심]]의 관객수를 넘겼고 9월 28일 [[정직한 후보 2]]와 [[인생은 아름다워(2022)|인생은 아름다워]] 같은 신작들이 개봉한 후에도 [[듄(2021)|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펀 버전이 개봉하기 전까지 10위권 안을 차지했다.[* 9월 21일에 개봉했던 [[늑대사냥]]은 청불제한과 혹평일색이다.] 결과적으로 대박 흥행은 하지 못했지만, 손익분기점을 넘겨 약간의 흑자를 보는 데에는 성공하여 소소한 흥행작으로 기록되었다. 2023년 1월 23일에 SBS 설날특선영화로 방영되었는데 웬만한 설날 특집 프로그램보다 더 나았다며 호평을 받았으며, 23일 일일 시청률 3위를 기록하였다. === [[베트남]] ===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으며 3일 연속으로 베트남에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10월 24일 기준으로 누적관객수 232만명을 기록하며 '''기존 기록이었던 [[반도]]의 최대 관객수를 뛰어 넘으며 베트남 기준 역대 한국 영화 관객수 1위에 올랐다.''' 매출액은 약 89억원으로, 이 역시 '''역대 베트남 한국 영화 개봉작 중 최고 수치'''이다. 예상치 못하게 해외에서 초대박을 낸 것. [[https://naver.me/FFibxkGq|#]]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3> [[2022년]] || 제9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 심사위원특별상 || 육사오(6/45) || || [[제58회 대종상]] || 뉴웨이브상 여우 ||<|3> [[박세완]] || || 제42회 [[황금촬영상]] || 여우조연상 || || [[2023년]] || [[제59회 백상예술대상]] || 여자 조연상 || == 기타 == * [[브레이브걸스]]의 [[롤린]]과 [[장기하와 얼굴들]]의 [[https://youtu.be/TcHKWUOMLpk|우리 지금 만나]]가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 [[대남방송]]에 등장한 노래는 전동운 작사, 한시준 작곡의 '그대는 내 사랑'[* [[북한 영화]] [[https://unibook.unikorea.go.kr/material/view?materialScope=TOT&keywords=%EC%A1%B0%EC%84%A0%EC%98%88%EC%88%A0&sortField=publishYear&sortDirection=DESCENDING&dataTypes=18&page=4&uid=CAT-00000000000074336|하랑과 진장군]]의 삽입곡.]이다. * 박찬욱 감독의 [[공동경비구역 JSA]]를 오마주한 부분이 많이 드러난다. 우선 포스터 문구에 공동로또구역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고, 남북관계에 있는 군인들이 우연히 엮여 점점 우정을 쌓는다는 큰 틀부터가 같다. 영화 안에서 공동급수구역 JSA(Joint Supply Area)로 접선구역을 설정한 것도 이런 평가를 뒷받침한다. 공동경비구역의 설정을 따와 로또라는 주제를 섞어 장르를 코미디로 바꾼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 휴전선의 중간지대에서 만나 정을 나눈 모습에서 [[꿈★은 이루어진다]]와도 비슷하다. * 제작비는 50억 원으로 저예산이지만 손익분기점은 165만 명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130억 원의 제작비에 손익분기점이 150만 명밖에 안 되었는데도 12,693,415명을 동원한 [[범죄도시 2]]와 대비되는 점. 다만 이후 개봉하는 한국영화가 줄줄이 흥행에서 참패한터라 재평가의 여지가 크다. * 2023년 1월 23일 오후 9시에 SBS에서 설 특선 영화로 방영되었다. * 극중 1등 당첨번호는 실제 [[로또 6/45]]의 2020년 10월 24일 방영분 번호로 그대로 나왔다.[* 1,3,30,33,36,39] * [[일본]]에서는 [[2023년]] [[12월 29일]] 공개 예정이며, 일본판 타이틀은 [[https://youtu.be/uUYldsuSDOg?si=eYCGm90EOXc0SmP|복권 불시착 1등 당첨 복권이 날아갔습니다(宝くじの不時着 1等当選くじが飛んでいきました)]]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22년)] [[분류:2022년 영화]][[분류:한국의 코미디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북한 배경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군대 영화]][[분류:가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