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화 이글스/간략(투수))] ||
'''{{{#fff 윤대경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4번}}}''' || || 노승현[br](2012) || {{{+1 →}}} || '''윤대경[br](2013)''' || {{{+1 →}}} || [[이수민(야구선수)|이수민]][br](2014)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05번}}}''' || || [[정두산]][br](2012~2013) || {{{+1 →}}} || '''윤대경[br](2014)''' || {{{+1 →}}} || [[윤영수]][br](2015~2015.6.)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2번}}}''' || || [[김희석]][br](2014) || {{{+1 →}}} || '''윤대경[br](2015)''' || {{{+1 →}}} || [[김승현(1992)|김승현]][br](2016)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0번}}}''' || || [[김건필]][br](2015) || {{{+1 →}}} || '''윤대경[br](2016)''' || {{{+1 →}}} || [[김승현(1992)|김승현]][br](2017~2019)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24번}}}''' || || [[김성표]][br](2016) || {{{+1 →}}} || '''윤대경[br](2017)''' || {{{+1 →}}} || [[김재형(야구선수)|김재형]][br](2024~)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92번}}}''' || || [[김종민(야구선수)|김종민]][br](2019~2019.4.30.) || {{{+1 →}}} || '''{{{#fff 윤대경[br](2019.7.13.~2019)}}}''' || {{{+1 →}}} || [[최원호]][br](2020~2024)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번}}}''' || || [[김민기(1999)|김민기]][br](2019) || {{{+1 →}}} || '''{{{#fff 윤대경[br](2020~)}}}'''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4_윤대경.pn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No.5''' || ||<-2> '''{{{+2 윤대경}}}[br]尹臺卿 | Yun Daekyung''' || ||<|2> '''출생''' ||[[1994년]] [[4월 9일]] ([age(1994-04-09)]세) || ||[[인천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인천서림초 - [[동인천중학교|동인천중]] -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 || '''신체''' ||180cm, 77kg || || '''포지션''' ||[[내야수]] →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 드래프트#s-3|2013년 7라운드]] (전체 65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3~2018) [br] [[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2019)[* 일본의 [[독립야구]]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소속 팀이었으나 2024시즌부터 일본프로야구 2군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br]'''[[한화 이글스]] (2019~)''' || || '''병역''' ||[[제50보병사단]] (2017~2018) || || '''연봉''' ||2024 / 1억 1,000만원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000,#fff 22.2%↑}}}}}}}}} || || '''등장곡''' ||The Phantoms - 《Made For This》|| || '''MBTI''' ||[[ESTJ]] || || '''SNS''' ||[[https://instagram.com/yundk_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투수. == [[윤대경/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ffffff 윤대경의 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윤대경/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윤대경/선수 경력#s-2.1|'''{{{#ffffff 2013년}}}''']] || [[윤대경/선수 경력#s-2.2|'''{{{#ffffff 2014년}}}''']] || [[윤대경/선수 경력#s-2.3|'''{{{#ffffff 2015년}}}''']] || [[윤대경/선수 경력#s-2.4|'''{{{#ffffff 2016년}}}''']] || || [[윤대경/선수 경력#s-2.5|'''{{{#ffffff 2017년}}}''']] || [[윤대경/선수 경력#s-3.1|'''{{{#ffffff 2019년}}}''']] || [[윤대경/선수 경력/2020년|'''{{{#ffffff 2020년}}}''']] || [[윤대경/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 [[윤대경/선수 경력#s-3.4|'''{{{#ffffff 2022년}}}''']] || [[윤대경/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윤대경/선수 경력/2024년|'''{{{#ffffff 2024년}}}''']]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대경직구.gif|width=100%]]}}} || || 윤대경의 포심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대경체인지업.gif|width=100%]]}}} || || 체인지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대경커브.gif|width=100%]]}}} || || 커브 || 컨디션에 따라 139~145km/h를 왔다갔다 하나, 시즌 전체로 볼 때 평균 구속은 142km/h 정도의 평범한 수준의 구속을 가지고 있다. 포심 비중이 50%에 체인지업이 22% 정도로 이 두 구질을 주로 활용하며 이 두 구종의 구종가치가 유의미하게 양수를 기록하고 있어 사실상 이 두 구질을 활용하는 투피치 투수에 가깝다. 이 체인지업은 한화에 입단한 뒤 [[송진우(야구)|송진우]] 투수코치에게 전수 받은 것인데, 시즌이 진행되면서 체인지업의 숙련도가 올라감에 따라 성적이 향상되고 있다. 그 외에 커브와 스플리터를 10퍼센트씩 정도로 가끔씩 던지며 두 구종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체인지업을 주 무기로 활용하는 투수들이 흔히 그렇듯이 우투수임에도 좌타자 상태 타율이 0.188로 좌타자에게 굉장히 강한 면모를 가지고 있어, 좌투 계투 부족에 시달리는 한화에서 매우 가치있는 선수이다. 땅볼과 뜬 공의 비율이 37:64 (0.58)인 극단적인 [[뜬공 투수]]이며 뜬공 투수답게 불펜 투수에게 필요한 9이닝당 삼진 값이 7.41로 리그 평균인 6.94을 상회한다. 다만 9이닝당 볼넷 허용은 리그 평균인 3.74보다 심각하게 낮은 값인 4.41을 가지고 있어 제구력이 좋은 유형은 아니다. 20시즌에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가장 핵심 능력은 리그 평균보다도 많은 공을 외야로 보냈음에도 외야로 간 공의 리그 평균 타율(0.579)보다 크게 낮은 타율(0.455)을 보였으며, 뜬공 투수의 숙명과도 같은 피홈런이 리그 평균 HR/9값인 0.96과 비교하여 0.53으로 유난히 적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피안타율이 낮은 것은 야수출신 투수의 특징인 디셉션으로 인한것으로 보인다. 투구폼을 보면 백스윙은 짧은데 팔스윙이 빠른 불펜스러운 스타일이고, 실제로 기사를 보면 구위가 특출나진 않은데 이상하게 치기 어렵다는 언급이 있다. 2022 시즌부터 선발로 전환한 후 주무기인 체인지업 뿐만 아니라 커브, 슬라이더의 비중을 더 늘려서 던지고 있다. 그러나 부족한 체력 문제와 기복으로 인해 선발진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며, 결국 불펜으로 다시 내려갔다. 신체 사이즈도 그렇고 불펜이 맞는 옷인 듯하다. 결국 23 시즌 들어 불펜으로 고정되었고, 본인 또한 선발 체질은 아닌 것 같다며 인정하였다. 그래도 롱릴리프, 동점 상황 등 상황을 가리지 않고 호투하며 팀 투수진 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연도별 기록 == ||<-17>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윤대경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팀 || 출장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13 ||<|6> [[삼성 라이온즈|삼성]] ||<-15><|5> 1군 기록 없음 || || 2014 || || 2015 || || 2016 || || 2017 || || 2018 ||<-15> 군 복무 || || 연도 || 팀 || 출장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19 ||<|5> [[한화 이글스|한화]] ||<-15> 1군 기록 없음 || || 2020 || 55 || 5 || 0 || 0 || 7 || 51 || 1.59 || 48 || 3 || 25 || 3 || 42 || 1.43 || 299.1 || 2.17 || || 2021 || 43 || 2 || 5 || 0 || 7 || 77⅔ || 3.94 || 73 || 8 || 34 || 6 || 54 || 1.38 || 111.2 || 1.50 || || 2022 || 25 || 4 || 9 || 0 || 0 || 75⅓ || 7.41 || 106 || 6 || 17 || 7 || 51 || 1.63 || 54.6 || -1.37 || || 2023 || 47 || 5 || 1 || 0 || 2 || 47⅔ || 2.45 || 36 || 4 || 19 || 6 || 28 || 1.15 || 169.2 || 1.11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170 || 16 || 15 || 0 || 16 || 251⅔ || 4.26 || 263 || 21 || 95 || 22 || 175 || 1.42 || 102.5 || 3.44 || == 여담 == * [[동인천중학교]] 시절 [[상인천중학교]]를 상대로 [[퍼펙트 게임(야구)|퍼펙트 게임]]을 달성한 이력이 있다. * 2013년 3월 TBC에서 방영한 삼성 2군 다큐에서 얼굴을 비춘 적이 있다. * 위로 2명의 누나가 있다. * ‘감자’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다. * 2020년 동안 등번호가 한 자리인 투수들 중[* 1군에 한 번이라도 올라와서 등판한 선수]에서 [[이창재(야구선수)|이창재]]와 함께 1시즌 패전이 없는 유이한 선수이다.[* 다만, 이창재는 2021년부터 21번으로 교체했다. 그리고 윤대경은 2021년 선발 전환 이후로 패전 횟수가 좀 늘었다.] * KBO 명단에 등번호 5번을 사용하는 투수로 첫 등록된 사례이다.[* [[https://naver.me/xs8FP5pS|등번호 5번을 달았던 배경]]이 있었다고 한다. 남는 등번호가 4번, 5번, 66번~69번이었는데 60번대는 뭔가 안 끌렸고, 4번은 맘에 들지 않았다고 해서 남은 번호 중 가장 괜찮다고 생각했던 5번을 달았는데 잘 풀리고 정도 가서 5번을 달았다고 한다.] * [[제50보병사단]]으로 현역으로 군대를 다녀왔는데, [[https://youtu.be/pEcEi36Q2eE|해당 영상]]에서 자신은 특등사수라고 자랑했다. 그러나 당시 대대장 윤석창[* 당시 중령. 현재는 보직 변경으로 작전사령부에 부임.]이 직접 댓글에 따르면, '윤대경 선수의 사격은 손으로 던지는게 오히려 더 정확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윤대경은 아마 대대장이 봤던건 야간 사격이었을 거라며, 항상 못 쐈던 건 아니었다고 반박했다. 또한 본인은 분대장 출신이었는데, 자고로 분대장이라면 총을 못 쏘면 안되므로 사격할 때는 늘 집중해서 임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전역 이후에도 대대장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호투한 날엔 먼저 축하연락을 주기도 하고, 윤대경이 새해 인사를 전하거나 안부를 묻기도 한다고 밝혔다. * 비교적 준수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 [[2021년 KBO 리그 코로나19 확산 사태]] === 외부인을 만나 방역 수칙을 어긴 한화 선수 2명 중 한 명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키움 선수들과 동선이 겹친 6분으로 인해 방역 수칙 위반으로 징계를 받았지만, 사전에 모임을 인지하지 못한 점과 모임을 회피하려고 한 노력이 참작[* 기사에 의하면 은퇴한 선배 선수의 권유에 어쩔 수 없이 갔고, 여성들이 동석한 사실조차 몰랐으며 은퇴선수의 술권유에도 불구하고 윤대경은 술은 한모금도 마시지 않은채 고작 14분만 머무른 뒤 나갔다. 스포츠계의 군기를 감안하면 선배들에게 대항할 만한 경력자가 안 되는 윤대경, [[주현상]]이 모임을 거절하긴 힘들었을 것이다.]되어 10경기 출장정지, 제재금 200만원을 부여받았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KBO 리그 코로나19 확산 사태)]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한화 이글스]] [각주] [[분류:윤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