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월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497년 사망]] [include(틀:역대 월 군주)] |||||| '''{{{#ece5b6 월(越)나라 33대 국군[br] 초대 왕[br]{{{+1 월왕 윤상}}}[br]越王 允常}}}''' |||||||||| |||| '''[[성씨|{{{#ece5b6 성}}}]]''' |||| 미(羋) || |||| '''[[휘|{{{#ece5b6 휘}}}]]''' |||| 윤상(允常) || |||| '''{{{#ece5b6 아버지}}}''' |||| [[부담|월자 부담]](越子 夫譚)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497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537년 ~ 기원전 497년 || 중국 [[춘추시대]] [[월나라]]의 제34대 군주이자, 초대 국왕. [[부담|미부담]]의 아들이자, [[구천|미구천]]의 아버지이다. 월나라가 미윤상때부터 칭왕하기 시작했다. 오왕 [[합려|고발합려]]와의 싸움에서 패하였다. 그의 아들 미구천은 [[합려|고발합려]]와의 싸움에서 승리하였으나 다시 [[부차|고발부차]]에게 패배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구천]] 항목 참조. 이 당시부터 월나라가 강성해지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정복 전쟁에 나서기 시작했고, 칭왕을 시작해, [[오(춘추시대)|오(吳)나라]]와 본격적으로 사활을 건 전쟁을 시작했다. 그리하여 월나라와의 관계는 최악으로 치닫게 된다.[* 그 둘이 군주와 지배층의 민족만 다를 뿐 백성들은 같은 민족이었다.] 고발합려가 월나라를 두들기면서 충돌이 본격화되었고 미윤상이 죽은 뒤 고발합려가 월나라를 치고 대패해 그 부상으로 인해 죽게 되어 고발부차가 월나라에게 복수하려는 원인이 되었다.[* 이것을 '와신', 훗날 미구천이 고발부차에게 당한 치욕을 갚는 것을 '상담'이라 한다. 그리고 이것을 합쳐 [[와신상담]]이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와신상담 문서를 참조할 것.]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윤상,version=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