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체신부장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4, #ed1c24 20%, #ed1c24 80%, #ed1c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fff 대한민국 초대 체신부 장관}}}]][br]{{{#fff {{{+1 윤석구}}}[br]尹錫龜 | Yoon Seok-g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윤석구.jpg|width=100%]]}}} || ||<|2> '''출생''' ||[[1892년]][*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81_1_0021733|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인물사전]]에는 1881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3월 15일]] || ||[[충청도]] [[서천군|한산군]] 남하면 기포리[br](現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서천)|화양면]] 완포리 334번지) || || '''사망''' ||[[1950년]] [[9월]] (향년 58세) || || '''본관''' ||[[파평 윤씨]][*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81_1_0021733|#]]][* 상호공파, [[윤신달|시조]] 35세손 석(錫)◯ 항렬로 추정된다.] || ||<|2> '''재임기간''' ||초대 체신부 장관 || ||[[1948년]] [[8월 4일]] ~ [[1949년]] [[6월 1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한영학교 {{{-2 (졸업)}}}[br][[황포군관학교]] {{{-2 (졸업 / 2기)}}}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 || '''경력''' ||한영학교 교사[br]건국준비위원회 군산지부장[br]대한독립촉성국민회 군산지부장[br]제헌 국회의원 (전라북도 군산부)[br]초대 체신부 장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초대 체신부 장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 == 생애 == 1892년 3월 15일 [[충청도]] [[서천군|한산군]] 남하면 기포리(現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서천)|화양면]] 완포리) 334번지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상경해 [[영국인]] [[선교사]]가 세운 한영학교를 수석 졸업했고, 졸업 후 한영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13년 [[중화민국]]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가담했다. [[독립군/한국|독립군]]으로 활동하던 그는 [[황포군관학교]]를 2기로 졸업했고, [[김구]]의 명령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삼수군]]지국 서기에 임명되었다. 1922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내 자금책에 임명되면서 귀국해 [[전라북도]] [[군산시|군산부]]에 있던 [[군산영광여자고등학교|멜본딘여학교]] 교사로 부임했고, 이 길로 군산부에 정착했다. 그는 교사로 근무하면서 꾸준히 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송금했고, 임시정부 귀국 준비위원에 임명되어 군산부에 '영신환'이라는 한약방을 운영하며 김구의 귀국을 추진하다가 [[8.15 광복]]을 맞이했다. [[8.15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정계에 입문,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군산지부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군산지부장, 비상국민회 전라북도 대표의원 등으로 활동하다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북도 [[군산시|군산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이승만]]의 요청으로 1948년 8월부터 1949년 6월까지 초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체신부 장관]]을 지냈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가족들과 함께 [[군산시]]를 떠나 고향 충청남도 서천군으로 피신했으며, 홀로 군산시로 가서 반공강연을 했다. 그 뒤 [[조선인민군]]이 군산시에 도착할 즈음 [[일본]]으로 건너갈 배를 기다리다가 마침 군산시에 입성한 조선인민군에 체포되었고, 전주형무소로 옮겨진 뒤 초대 체신부 장관에 임명돼 재직한 것이 밝혀져 1950년 9월 [[인천 상륙작전]]으로 후퇴하는 조선인민군에 총살되었다. == [[제헌 국회]] 황동 == 1948년 6월 1일 제1회 2차 본회의 당시 전라북도를 대표하여 전형위원으로 뽑혔다. 1948년 6월 2일 제1회 3차 본회의 당시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30인 으로 뽑혔다.[* [[류성갑]],[[김옥주]],[[김준연]], [[오석주(독립운동가)|오석주]],[[윤석구]],[[신현돈(정치인)|신현돈]],[[백관수]],[[오용국]],[[최규옥]],김명인,[[이종린(1883)|이종린]],[[이훈구(1896)|이훈구]],[[류홍렬]],[[연병호]],[[서상일]],[[조헌영]],[[김익기]],[[정도영]],[[김상덕(1892)|김상덕]],[[이강우(독립운동가)|이강우]],[[허정]],[[구중회]],[[박해극]],[[김효석(1894)|김효석]],[[김병회]],[[홍익표(1910)|홍익표]],[[서성달]],[[조봉암]],[[이윤영]],[[이청천]]. ] 1948년 6월 26일 제1회 18차 본회의 당시 '전북지방 수해조사'의 관한 건을 발의하였고 문교후생위원회에 넘겨 조사하기로 가결되었다. 1948년 8월 5일 제1회 40차 본회의 당시 체신부장관으로서 인사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전라북도)]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임시정부 계열 독립운동가]][[분류:서천군 출신 인물]][[분류:1892년 출생]][[분류:1950년 사망]][[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6.25 전쟁/사망자]][[분류:체신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인사]][[분류:파평 윤씨]][[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총기에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