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윤보선)] ||<-2> '''{{{+1 윤치소}}}[br]尹致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Yun_Bo-seon's_parents-01.png|width=100%]]}}}|| ||<|2> '''출생''' ||[[1871년]] [[8월 25일]] || ||[[충청남도]] [[아산]] || ||<|2> '''사망''' ||[[1944년]] [[2월 20일]] (향년 72세) || ||사망지 불명 || || '''부모''' ||아버지 [[윤영렬]], 어머니 한진숙 || || '''배우자''' ||아내 이범숙(李範淑) || || '''자녀''' ||아들 [[윤보선]] || || '''본관''' ||[[해평 윤씨]]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말기, [[일제강점기 조선]] 시기의 관료로 [[윤영렬]]의 아들, [[대한민국]]의 4대 대통령 [[윤보선]]의 부친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등재된 인물이다.[*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71_1_0027188|출처]].] [[창씨개명]] 이후 이름은 이토 치쇼(伊東致昭)이고 자는 자경(子敬), 호는 동야(東野)이다. == 생애 == 이재룡의 딸 이범숙(李範淑)과 결혼하여 1897년 윤보선을 낳았다. 1898년 [[윤치호]], 정해원(鄭海源)과 함께 [[경성신문]]을 창간하였고 정해원이 사무원을, 윤치소 본인은 사장을 맡았다. 이후 신문의 이름을 대한황성신문으로 바꾸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농사개량을 주도하던 농담회(農談會) 참여 및 주식회사 경성직뉴(京城織紐)의 사업가를 지냈고 1915년엔 경성협찬회(京城協贊會) 정회원의 자격으로 일본 제국의 조선통치 5주년을 기념하는 [[박람회]]인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를 지원하였다. 1917년, 서울 안동교회의 장로가 되었다. 1920년, 조선교육회(朝鮮敎育會)의 [[이사(직위)|이사]]를 지냈다. 이 외에 교육계에서의 행적으론 경성학교 비평 의회의 평의원을 지냈으며 1924년부터 1927년까지 3년 동안 [[조선총독부]] [[중추원(일제강점기)|중추원]] 참의로 재직해 연수당 600원을 받았고 퇴임 당시 정7위에 임명되었다. 1941년, [[제2차 세계대전]]을 진행 중인 [[일본 제국]] 지원을 위해 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1941년 서울에서 조직된 친일 단체로 전시상황인 일본에 물자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에 참여했고 투자 권유 및 비행기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 참고 항목 == *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71_1_0027188|윤치소(尹致昭)]] * 1938년 5월 8일자 매일신보 * 윤치호 일기(김상태 편역) * 조선관리회보(朝鮮監理會報) - 1938년 6월 1일자 * 조선총독부관보 - 1924년 5월 3일자 [[분류:일제강점기의 인물]][[분류:1871년 출생]][[분류:1944년 사망]][[분류:해평 윤씨]][[분류:대한민국 대통령 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