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윤현진}}}'''[br]'''尹顯振'''}}}}}}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현진.jpg|width=100%]]}}} || || '''자''' ||명구(明九), 의백(義伯) || || '''호''' ||우산(右山), 석산(石山) || || '''본관''' ||[[파평 윤씨]](坡平) || ||<|2> '''출생''' ||[[1892년]]([[고종(대한제국)|고종]] 29) [[9월 20일]] || ||[[경상도]] [[양산시|양산군]] [[상북면(양산)|상북면]] 소노동[br](현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양산)|상북면]] 소토리) || ||<|2> '''사망''' ||[[1921년]] [[9월 16일]][* 음력 8월 15일.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8월 16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향년 28세[*A 29세 생일을 4일 앞두고 별세했다.]) || ||[[중화민국]] [[상하이시|상해현]] 보창로 보강리 54[br](현 [[중국]] [[상하이시]] 징안구 바오창로) || || '''학력''' ||[[구포초등학교|사립 구명학교]][* 현재 [[구포초등학교]].] {{{-2 (졸업)}}}[br][[메이지대학]] {{{-2 ([[법학]] / [[중퇴]])}}} || || '''경력'''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위원장[br][[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위원장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34호 || ||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2년 9월 20일 [[경상도]] [[양산군]] [[상북면(양산)|상북면]] 소노동(현 [[양산시]] [[상북면(양산)|상북면]] 소토리)의 만석꾼 집안에서 아버지 윤필은(尹弼殷, 1861 ~ 1903)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조부 윤홍석(尹洪錫, 1843 ~ 1902)[* 이명 윤홍(尹洪), 윤석홍(尹錫洪). 장남 윤필은의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886_014470|문과방목]]에는 尹洪'''{{{+1 奭}}}'''으로 등재되어 있다.]은 경상도 [[부산광역시|동래도호부]] 출신으로 1892년 8월 8일 사천현감(泗川縣監, 종6품)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9_08A_08A_00160_2003_154_XML|제수되어]] 1893년 3월 10일 신병을 이유로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0_03A_10A_00170_2003_157_XML|사직했다]]. 아버지 윤필은은 1886년([[고종(조선)|고종]] 23) 정시(庭試) [[문과]]에 병과 19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886_014470|급제하여]] 가주서(假注書)를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3_04A_02A_00050_2003_117_XML|시작으로]] 권지 [[성균관]]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4_09A_27A_00150_2003_125_XML|학유]](學諭, 종9품),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28_05A_27A_00210_2003_146_XML|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 [[중추원(대한제국)|중추원]] 참상(參上)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2_01A_13A_00040_2004_167_XML|원외랑]](員外郞), [[장례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4_03A_30A_00090_2004_172_XML|우장례]](右掌禮),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6_06A_03A_00170_2005_181_XML|비서원 승]](秘書院丞),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7_03A_04A_00080_2005_184_XML|시종원 분주사]](侍從院分主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7_04A_28A_00130_2005_184_XML|동래감리 겸 동래부윤]](東萊監理兼東萊府尹), 중추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7_08A_16A_00080_2005_185_XML|의관]](議官) 등을 역임했던 관료 출신이며, 첫째 작은아버지 윤명은(尹命殷) 또한 [[대한제국]] 때 [[중추원(대한제국)|중추원]]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4_02A_24A_00050_2004_172_XML|주사]](主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0_A34_05A_08A_00080_2004_173_XML|경상남도 관찰부 주사]](慶尙南道觀察府主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2_11A_10A_00040_2015_004_XML|고성군수]](固城郡守), [[http://db.itkc.or.kr/inLink?DCI=ITKC_ST_ZA_A04_03A_23A_00040_2015_006_XML|울산군수 겸 공립 울산보통학교장]] 등을 역임했던 관료였다. 아버지 윤필은 대까지는 경상도 동래도호부에 거주했으나, 윤필은이 바닷가에 살면 벼슬을 할 수 없다는 당시의 평판으로 인해 1886년 자신이 문과에 급제하자마자 그 길로 양산군 상북면 소노동으로 이주하여 새롭게 정착했다. 윤필은은 그곳에 대저택을 짓고 양산군에서 동래도호부 좌이면 구포리까지 매일 마부를 보내 장을 보게 하여 식사할 정도로 대단한 부자였기에, 윤현진은 이런 집안에서 유복하게 자랄 수 있었다. 그는 7살 되던 1899년 고향 소토리의 글방 만성재(晩惺齋)에 입학해 한문을 배웠고, 10세 때 [[사서삼경]]과 [[제자백가]]의 서적에 정통하게 되었다. 15세 되던 1907년에는 둘째 작은아버지 윤상은(尹相殷)과 셋째 작은아버지 윤영은(尹永殷) 등이 설립한 [[구포초등학교|사립 구명학교]](龜明學校)에 입학해 이듬해인 1908년 9월 1회로 졸업했다. 이후 작은아버지 윤상은과 함께 구포저축주식회사(龜浦貯蓄株式會社)를 설립했는데, 이 회사는 1912년 6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6623&docId=525047&categoryId=46623|구포은행]]으로 정식 출범했다. 1909년이 되자 중국으로 건너가 해외의 여러 인사들을 만나며 견문을 넓혔고, 1914년 봄 [[일본]] [[도쿄]]로 유학가 [[메이지대학]] [[법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해 1915년 봄 [[김철수(독립운동가)|김철수]](金錣洙), [[장덕수]],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358|김철수]](金喆壽), 전익지(全翼之), 김효석(金孝錫) 등과 함께 도쿄 인근의 다마가와(多摩川) 계곡에서 목욕을 하고 손가락을 베어 피를 돌려 마심으로써 열지동맹(裂指同盟)을 맺었다. 이들은 이 동맹을 통해 장차 [[상하이]], [[싱가포르]], [[만주]], [[시베리아]] 등지로 흩어져 서로 연락하면서 독립운동에 종사할 것을 결의했다. 그리고 1915년 10월부터 1916년 2월까지 제5기 조선유학생학우회 총무를 역임하면서 『학지광』 잡지 간행에 관여했다. 1916년 봄에는 열지동맹원들을 비롯해 조선인 유학생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604|김명식]](金明植)·[[김양수(1896)|김양수]](金良洙)·최익준(崔益俊)·하상연(河相衍)·정노식(鄭魯湜), 중국인 유학생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00031|황각]](黃覺)·나활(羅豁)·등결민(鄧潔民)·사부아(謝扶雅), 대만인 유학생 팽화영(彭華榮) 등 40여 명과 더불어 '[[아시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타도하고 새 아시아를 세우자'는 목적 아래 비밀결사 신아동맹당(新亞同盟黨)을 조직하고, 제국주의의 지배를 받고 있던 같은 처지의 인도 및 베트남 출신 유학생들을 가입시키고자 노력했다. 그리고 집회 연설, 각종 단체 조직, 독립운동 자금 모금 및 『한국통사』 등 반일서적 배포 등의 활동을 하며 [[반제국주의]] 운동을 전개했다. 1916년 대학을 중퇴한 그는 조선으로 돌아온 뒤 [[경상남도]]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한 대동청년단에 가담했으며, 백산 [[안희제]]가 세운 백산상회의 경영에도 참여했다. 또한 고향 양산군에 의춘학원(宜春學院)을 세워 후학을 양성하고 1919년 11월 백산 안희제 중심으로 전도유망한 조선 청년들의 해외 [[유학]]을 돕던 기미(己未)육영회의 발기인 명단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교육활동에도 힘썼다. 그 뒤 경남은행 마산지점장으로 근무하던 1919년 3월, [[3.1 운동]]이 일어나자 은행을 그만두고 같은 달 21일 [[중화민국]] [[상하이]]로 건너갔다. 상하이에 도착한 뒤 독립임시사무소 직원으로 활동하다가 그해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세워지자 내무위원이 되었고, 9월 18일에 열린 제6회 임시의정원 회의에 경상도 위원 자격으로 참여했다. ||[[파일:임시정부 국무원 - 신익희, 안창호, 현순 (앞줄), 김철, 윤현진, 최창식, 이춘숙 (뒷줄)1.jpg]]|| ||(사진 설명: 1919년 10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기념 사진, 앞줄 왼쪽부터 [[신익희]], [[안창호]], 현순. 뒷줄 [[김철(1886)|김철]], [[윤현진(독립운동가)|윤현진]], 최창식, [[이춘숙]])|| 이밖에도 그해 11월 23일 임시정부에서 대한적십자회 회원을 모집하자 31대 대원으로 입대했고, 1920년 1월 [[김구]]·[[손정도]]·[[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282|김철]](金澈) 등과 함께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비밀결사 의용단(義勇團)을 조직하는 데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또한 1920년 2월 임시정부 기관지 《[[독립신문#s-2]]》 발간에 필요한 재정 확보를 위해 독립신문사의 주식을 모집할 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상술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그는 주로 경제 쪽 일을 많이 보았다. 그래서 1919년 9월 11일 임시의정원에서 임시대통령 [[이승만]]을 공포하고 재무총장에 [[이시영(정치인)|이시영]]을 임명할 때 임시정부 초대 재무차장에 선임되어 1921년 2월 22일까지 역임하기도 했다. 이때 고향에 있던 재산들을[* 그는 망명 중이었으므로, 미국 선교사를 통해 재산들을 상하이로 옮겨왔다고 한다.] 임시정부에 기증하여 재정난에 허덕이던 임시정부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한편, 윤현진은 당시 임시정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을 좋게 보지 않았다. 그래서 1920년 5월 14일 [[대한민국 국무원|국무원]] 연석회의에서 비서장 [[김립(1880)|김립]]과 함께 이승만 대통령 불신임안을 제출하고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다른 차장들과 함께 모든 직책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그런 의지를 보여야 불신임안이 관철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노동국 총판으로 있던 [[안창호]]는 임시정부와 이승만의 관계를 생각하여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대신 차장내각책임제를 제안했다. 그러나 윤현진과 당시 내무차장 이규홍(李圭洪)을 비롯한 차장들은 이를 거절했고, 그해 6월 7일 국무회의에서 다시 이승만 대통령 불신임안 및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끝내 반려되었다. 그 뒤 1921년 2월 이후 [[국민대표회의]] 소집을 위해 개조파와 창조파가 대립하자, 안창호·[[여운형]]·[[김규식]] 등이 결성한 국민대표대회 상해기성회원으로서 임시정부를 개혁하자는 개조파에 속하여 활동했다. 그러나 1921년 9월 16일 중화민국 상하이시 보창로(寶昌路)[* 현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징안구(靜安區) 바오창로(寶昌路).] 보강리(寶康里) 54에서 [[과로]]로 별세했다. 향년 29세.[*A] == 사후 == 사후 1923년 1월 29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서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및 출판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중지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7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2021&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고]]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607&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9233&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공소불가 처분]]을 받은 기록이 남아 있다. [[8.15 광복]] 후 1962년에 [[대한민국 정부]]는 그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그의 유해는 당초 [[중화민국]] [[상하이]] 정안사로(靜安寺路) 외국인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5년 대한민국으로 봉환되었고, 그해 6월 23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이장되었다. 그로부터 수십 년이 흐른 2022년 1월, [[양산시]]에서 그의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딴 윤현진도서관을 개관[* 기존 양산도서관을 리모델링 한 뒤 명칭을 바꾸어 재개관한 것으로, 이후 양산도서관 명칭을 가진 도서관은 [[물금신도시]] 일대에 신축 개관했다.]했으며, 2023년 8월 15일 양산시립독립기념관을 개관해 입구부터 의자에 앉아있는 피규어를 만들어 두며 그를 기념하고 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양산시 출신 인물]][[분류:파평 윤씨]][[분류:1892년 출생]][[분류:1921년 사망]][[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과로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