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1.jpg]]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1359|사진 출처 : 교수신문 - 신라시대의 나지막한 들과 숲의 평온함 느껴지는 은항아리]] [목차] == 개요 == 은제도금조화문소호(銀製鍍金鳥花文小壺). 7세기~8세기 경 [[신라]]에서 만들어진 [[은]]제 항아리. [[경상북도]] [[경주시]]의 한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 내용 == 7세기 후반~8세기 초 [[통일신라]] 초기에 만들어진 은제 항아리로, 과거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시]] 지역의 한 통일신라 시대 고분에서 발견되었다. 은으로 만들어졌으며, 당시 신라의 귀부인이 사용했던 화장용기(化粧容器)로 추정되는데, 발굴 당시 항아리 속에 마노옥, [[수정]]구슬, [[유리]]구슬이 함께 들어 있었다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5.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0197&cid=58141&categoryId=58141|사진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박물관에선 볼 수 없는 문화재 - 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2.jpg|width=370]]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4.jpg|width=400]] ||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3.jpg|width=400]] || 항아리의 몸체와 뚜껑에는 은입사를 이용하여 부분 [[도금]]을 한 후 아름답게 어자문(魚子文)을 가득 채워넣었다. 이후 연판문을 둘러 새기고 그 위로 들에 노니는 [[벌(곤충)|벌]], [[꽃]], [[풀]], [[구름]], [[원앙]]과 날아가는 새 등 평화로움이 존재하는 자연의 풍광을 그려 넣었는데, 새의 깃털 하나하나까지 정교하게 조각 묘사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이 작품과 동일한 기법으로 만들어진 [[한국]]의 유물들이 지금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는 아래의 예를 들었다. 1.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은제 항아리들 - 신라(8세기)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8.jpg|width=250]]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7.jpg|width=320]]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6.jpg|width=300]] ||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대한민국의 국보) || 2. 경주 남산에서 출토된 후 일본으로 약탈되어 [[도쿄국립박물관]]에 전시 중인 은제 항아리들 - 신라(7세기)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11.jpg|width=250]]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10.jpg|width=140]]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9.jpg|width=170]]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12.jpg|width=250]] || |||||||| [[http://blog.daum.net/kinhj4801/15960353|일본에 있는 경주 남산출토 사리기들]] || 3. 현재 [[일본]] [[동대사]]에 소장 중이고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동대사 은제소호 - 일본(8~9세기)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13.jpg]] || || 일본 동대사 은제소호(일본의 국보) || 4. [[국립중앙박물관]] 이홍근 기증품인 [[청동 금은입사 소호]] - 신라(8~9세기) || [[파일:청동 금은입사 소호2.jpg]] || || [[청동 금은입사 소호]] || 5. [[북한]] [[개성시]] 출토 [[청동 금은입사 향로]] - 신라(8~9세기) || [[파일:청동 금은입사 향로.jpg]] || || [[청동 금은입사 향로]] || 6. [[황룡사]]지 출토 금은제 사리항아리 - 신라(7~8세기) || [[파일:은도금 꽃새무늬 작은항아리14.jpg]]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232300|황룡사지 출토 사리항아리]] || 지금으로부터 1,300여년 전에 만들어진 신라의 은제 항아리로, 당시 한국의 공예술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분류:신라의 은제유물]] [[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