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include(틀:은평구 소재 관공서)] ||<-3>
[[파일:은평구 CI_White.svg|width=20]][br] {{{+2 {{{#ffffff '''은평구청'''}}}}}}[br]{{{#ffffff 恩平區廳 | Eunpyeong-gu Offi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평구청 전경.jpg|width=10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은평구청, 너비=100%, 높이=100%)]}}} || || '''주소''' ||<-2>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로]] 195 || || '''국가''' ||<-2>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관할 구역''' ||<-2> [[서울특별시]] [[은평구]] || || '''직원 수''' ||<-2> 1,423명 || || '''예산''' ||<-2> 1조 870억 원 ([[2023년]]) || || '''구청장''' || [[김미경(1965)|김미경]] ,,(재선),,[* 민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부구청장''' ||<-2> 신종우 || || '''상급 기관''' ||<-2> [[대한민국 정부]] [[행정안전부]] [br] [[서울특별시청]] || || '''홈페이지''' ||<-2> [[http://www.ep.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SNS''' ||<-2> [[https://blog.naver.com/eunpyeonggu|[[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cD-yujwHszqVkznb38j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epworld|[[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은평구]]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자치단체 집행기관이 입주한 곳. 청사는 [[녹번동]]에 위치해 있으며, 은평구통합청사 형태로 [[은평구보건소]], 은평구의회, 녹번동주민센터와 같은 부지에 위치해 있다. == 역사 == 1980년에 준공한 청사를 2009년에 리모델링했다. 2000년대 말에 전국적으로 지자체들의 [[커튼 월]] 양식의 신청사 건설 광풍이 불었기 때문에[* 서울에서만 관악구, 금천구, 마포구, 성북구, 용산구가 이 시기에 커튼 월 양식의 신청사를 신축했다.] 2010년에 전국적으로 논란이 되어 신청사들이 [[유리궁전]], 호화청사라고 비판받았지만 중구와 은평구는 신청사 신축 대신 기존 청사의 리모델링을 선택했다. === 역대 구청장 === || 선출 구분 || 대 || 성명 || 재임 기간 || 당적 || ||<|12> '''관선''' || 초대 || 안기호 || [[1979년]] [[10월 1일]] ~ [[1980년]] [[7월 27일]] [br] (10개월) ||<|12> 관선 || || 2대 || 이문재 || [[1980년]] [[7월 28일]] ~ [[1980년]] [[11월 26일]] [br] (4개월) || || 3대 || 이충우 || [[1980년]] [[7월 28일]] ~ [[1981년]] [[11월 8일]] [br] (11개월) || || 4대 || 허재구 || [[1981년]] [[11월 9일]] ~ [[1982년]] [[12월 6일]] [br] (1년 1개월) || || 5대 || 김영중 || [[1982년]] [[12월 7일]] ~ [[1985년]] [[3월 13일]] [br] (2년 4개월) || || 6대 || 이영화 || [[1985년]] [[3월 14일]] ~ [[1988년]] [[3월 14일]] [br] (3년) || || 7대 || 김완종 || [[1988년]] [[3월 15일]] ~ [[1989년]] [[11월 7일]] [br] (1년 9개월) || || 8대 || 김치운 || [[1989년]] [[11월 8일]] ~ [[1992년]] [[4월 27일]] [br] (2년 6개월) || || 9대 || 김명주 || [[1992년]] [[4월 28일]] ~ [[1993년]] [[3월 18일]] [br] (11개월) || || 10대 || 류동주 || [[1993년]] [[3월 19일]] ~ [[1995년]] [[3월 19일]] [br] (2년) || || 11대 || 김병석 || [[1995년]] [[3월 20일]] ~ [[1995년]] [[5월 3일]] [br] (2개월) || || 12대 || 권오록 || [[1995년]] [[5월 4일]] ~ [[1995년]] [[6월 30일]] [br] (2개월) || ||<|9> '''민선'''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기]] (13대) ||<|2> [[이배영]]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br] (3년)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2기]] (14대) || [[1998년]] [[7월 1일]] ~ [[2001년]] [[2월 13일]] [br] (2년 7개월)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 [[2001년 재보궐선거|2기]] (15대) ||<|3> [[노재동]] || [[2001년]] [[4월 27일]] ~ [[2002년]] [[6월 30일]] [br] (1년 2개월)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기]] (16대)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br] (4년)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기]] (17대)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br] (4년) || [include(틀:한나라당)]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기]] (18대) ||<|2> [[김우영(1969)|김우영]]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br] (4년)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기]] (19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br] (4년)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기]] (20대) ||<|2> '''[[김미경(1965)|김미경]]'''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br] (4년)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21대)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조직 == 각 국장은 4급(서기관), 과장은 5급(사무관)이다. [[2020년]] 하반기 기준 '''6국 1소 1사무국 3담당관 34과 1지소 16동''' 체제로 운영 중이다. * [[구청장]] - 2급 선출직 * 비서실 * 정책특별보좌관 * [[부구청장]] - 3급 * 감사담당관 * 협치담당관 * 홍보담당관 * 행정안전국 * 행정지원과 * 기획예산과 * 자치안전과 * 스마트정보과 * 민원여권과 * 교육문화국 * 시민교육과 * 문화관광과 * 가족정책과 * 생활체육과 * 주민복지국 * 복지정책과 * 생활복지과 * 장애인복지과 * 보육지원과 * 어르신복지과 * 재정경제국 * 재무과 * 사회적경제과 * 일자리경제과 * 세무1과 * 세무2과 * 지적과 * 교통환경국 * 교통행정과 * 환경과 * 자원순환과 * 도시경관과 * 주차관리과 * 도시건설국 * 도시계획과 * 주거재생과 * 건축과 * 자원순환센터 건립추진단 * 도로과 * 치수과 * 공원녹지과 * 보건소 * 보건위생과 * 건강증진과 * 보건의료과 * 보건지소 * 불광분소 * 구산지소 * 응암지소 * 휘하 주민센터 * 녹번동 * 불광1동 * 불광2동 * 갈현1동 * 갈현2동 * 구산동 * 대조동 * 응암1동 * 응암2동 * 응암3동 * 역촌동 * 신사1동 * 신사2동 * 증산동 * 수색동 * 진관동 * 은평구의회 * 의회사무국 == 논란 및 사건사고 == === 공무원 폭언 사건 === ||[youtube(tNIRcCYfGrs)]|| ||[youtube(sX3dGFiLdvg)]|| 2021년 8월, 은평구로 이사를 계획하던 A씨가 불광1동 주민센터에 키르기스스탄 국적을 가진 아내[* [[JTBC]]의 취재 결과 A씨의 아내는 키르기스스탄 부총리와 사촌 관계인 것으로 알려졌다.]의 이전 등록 절차를 문의하다가 전화가 끊어진 줄 안 공무원이 민원인인 A씨에게 [[다문화 가정]]에 대한 혐오 정서를 드러내는 폭언을 한 사건이다. 이후 해당 공무원이 사과하기 위하여 A씨를 찾아왔으나 그 자리에서도 제대로 된 사과는 커녕 다문화 가정과 국제결혼에 대한 편견을 그대로 드러내 더 논란이 되고 있다. 결국 A씨는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였고, 해당 구청은 취재가 시작되자 그제서야 진상 파악에 나섰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2|{{{#ffffff 702A}}}]]'''}}}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2|{{{#ffffff 702B}}}]]'''}}}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52|{{{#ffffff 752}}}]]'''}}} || || {{{#ffffff 지선, 맞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9|{{{#ffffff 701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25|{{{#ffffff 702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19|{{{#ffffff 771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22|{{{#ffffff 772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0|{{{#ffffff 773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734|{{{#ffffff 773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771|{{{#ffffff 877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8773|{{{#ffffff 8773}}}]]'''}}} || || {{{#ffffff 광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701|{{{#ffffff 9701}}}]]'''}}} || || {{{#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은평05|{{{#ffffff 은평05}}}]]'''}}} ||}}} === [[도시철도]]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수도권 전철 3호선]] [[녹번역]] - 도보 10분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촌역]] - 도보 12분 [[분류: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분류:은평구]][[분류:은평구 소재 관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