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은하영웅전설]][[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은하영웅전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8년부터 방영하는 은하영웅전설 애니메이션, rd1=은하영웅전설 Die Neue These)] [include(틀:은하영웅전설)] ||<-2>
{{{#ffffff,#dddddd '''{{{+1 은하영웅전설}}}''' (1988~2000)[br]銀河英雄伝説[br]Heldensagen vom Kosmosins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은항영웅전셀.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dddddd 장르}}}''' ||[[스페이스 오페라]] || || '''{{{#ffffff,#dddddd 원작}}}''' ||[[다나카 요시키]], 미치하라 카츠미[* 극장판 황금의 날개 한정] || || '''{{{#ffffff,#dddddd 캐릭터 원안}}}''' ||미치하라 카츠미,[* 극장판 황금의 날개] 오쿠다 마츠리(奥田万つ里)[* 극장판 새로운 싸움의 서곡, 본편 1기] || || '''{{{#ffffff,#dddddd 총감독}}}''' ||[[이시구로 노보루]] || || '''{{{#ffffff,#dddddd 감독}}}''' ||[[이시구로 노보루]],[* 본편 1~4기, 외전 1~2기, 극장판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 시미즈 게이조(清水恵蔵)[* 극장판 황금의 날개, 새로운 싸움의 서곡] || || '''{{{#ffffff,#dddddd 각본}}}''' ||[[슈도 타케시]],[* 극장판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 카와나카 시마오(河中志摩夫),[* 본편 1~4기, 외전 1~2기, 극장판 새로운 싸움의 서곡] 코이데 카즈미(小出一巳)[* 극장판 황금의 날개] || || '''{{{#ffffff,#dddddd 시리즈 디렉터}}}''' ||타하라 마사토시(田原正利)[* 본편 4기] || || '''{{{#ffffff,#dddddd 시리즈 구성}}}''' ||카와나카 시마오(河中志摩夫) || || '''{{{#ffffff,#dddddd 캐릭터 디자인}}}''' ||모토키 히테토시(本木久年),[* 본편 1~6화, 8~26화] 시미즈 게이조(清水恵蔵),[* 본편 7, 15, 23, 25, 26화, 본편 3~4기, 외전 1~2기] 쿠메 카츠나리(久米一成),[* 본편 2기] [[이마이즈미 켄이치]][* 외전 1기 <오명>] || || '''{{{#ffffff,#dddddd 메카 디자인}}}''' ||[[카토 나오유키]],[* 극장판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 [[스튜디오 누에]],[* 극장판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 타나카 세이비(田中精美)[* 본편 2~4기, 외전 1기 <백은계곡>, <오명>, <천억의 별, 천억의 빛>, 외전 2기] || || '''{{{#ffffff,#dddddd 미술 감독}}}''' ||카네코 히테토시(金子英俊),[* 본편 1, 17화] 치바 야스유키(千葉康之),[* 본편 2화] 와키 타케시(脇威志),[* 본편 4, 11, 19화] 시모카와 타다미(下川忠海),[* 본편 5화] 타카토 카즈시게(高遠和茂),[* 본편 6, 7, 10, 16, 21화] 나가오 히토시(長尾仁),[* 본편 7, 15, 23, 25, 26화, 본편 3~4기, 외전 1기 <백은계곡,>, <천억의 별, 천억의 빛>, <아침의 꿈, 밤의 노래>, 외전 2기] 이케다 유지(池田祐二),[* 본편 8화] 타카다 시게노리(高田茂祝),[* 본편 15화] 야마모토 요시토(山元健生),[* 본편 15화] 타하라 유코(田原優子),[* 본편 18화] 사누키 토시카즈(佐貫利勝),[* 본편 20화] 카츠이 카츠코(勝井和子)[* 본편 22, 24~26화] || || '''{{{#ffffff,#dddddd 색채 설계}}}''' ||아라이 마리(新井マリー),[* 본편 1기] 이토 히로코(伊藤弘子)[* 본편 7, 15, 23, 25, 26화] || || '''{{{#ffffff,#dddddd 촬영 감독}}}''' ||이시와라 킨이치(石川欣一),[* 본편 1기] 오카자카 히데오(岡崎英夫),[* 본편 7, 15, 23, 25, 26화, 본편 2~3기] 후지타 마사아키(藤田正明)[* 본편 4기, 외전 1기 <백은계곡>] || || '''{{{#ffffff,#dddddd 음향 감독}}}''' ||아케다카와 스스무(明田川進) || || '''{{{#ffffff,#dddddd 음악}}}''' ||카와부 신(川辺真),[* 본편 1~4기, 외전 1~2기] VEB Deutsche Schallplatten,[* [[동독]]의 음반사. 현 Deutsche Schallplatten GmbH Berlin(DSB). 본편 1~4기, 외전 1~2기] 하세가와 토모키(長谷川智樹)[* 극장판 황금의 날개] || || '''{{{#ffffff,#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키티 필름,[*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 새로운 싸움의 서곡, 본편 1~3기.] 매직 버스,[* 극장판 황금의 날개] K-팩토리[* 본편 4기, 외전 1~2기] || || '''{{{#ffffff,#dddddd 국내 정식발매}}}''' ||[[대원동화]] || || '''{{{#ffffff,#dddddd 편당 러닝타임}}}''' ||25분 || || '''{{{#ffffff,#dddddd 화수}}}''' ||OVA 162화[* 본편 110화, 외전 52화]+극장판 3편 || || '''{{{#ffffff,#dddddd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ffffff,#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ginei.jp/index.ht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ALOTGH1004874980.jpg|width=100%]] || [[밀리터리 SF]] 소설 [[은하영웅전설]]의 애니메이션이다. [[1988년]]부터 [[2000년]]까지 [[이시구로 노보루]] 감독의 주도하에 제작되었고 그 분량은 무려 '''[[OVA]] 정전 110편, 9개의 외전 52편, 극장편 3편'''에 달한다. 덕분에 역대 일본 OVA 작품 중에서 최장편이란 타이틀을 달았다. == PV == [youtube(Ou37P25tjJY)] == 제작에 대하여 == [[1988년]] 첫 극장판인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을 시작으로 [[1997년]]까지 소설의 정전에 해당하는 애니메이션이 OVA로 110화가 제작되었으며 이후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외전도 52화로 제작되었다. 처음 공개된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외전인 [[제3차 티아마트 회전]]까지 제작기간만 생각해보면 만 12년이 넘는다. 거기에 [[DVD]] 발매시에 1, 2기 중 부분적으로 작화를 수정한 에피소드가 몇몇 있으므로 제작기간은 15년 가까이 된다. 이중 극장판과 본편은 셀 애니메이션이다. 외전으로 가면서 시대 변화에 맞추어 디지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 성우진은 당대의 유명 [[성우]]들이 기용되었으며, 동원된 사람 수만 해도 '''1기만 해도 130여 명, 4기에 걸쳐 모두 330명이 넘는다!'''[* 대사가 '체크메이트' 하나밖에 없는 [[에른스트 폰 아이제나흐]]에게도 개별 성우가 붙었다.] 거기에 극장판 및 OVA 오리지널 등장인물까지 다 합치면 '''420명이 넘는 등''' 참여한 성우들의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으며, 그들 중 복수배역을 맡은 사람도 매우 적다. 당대 최고의 성우들에서부터 상대적으로 신인들은 오늘날에는 거성들이 된 사람들뿐. 그래서인지 일본에서는 "은하'''성우'''전설"라고도 부르는 듯하다. 성우진이 워낙 많다보니 [[기동전사 건담]]이나 [[드래곤볼]], [[북두의 권]] 같은 유명 애니메이션과도 겹치는 성우가 대단히 많다.[* 이렇게 기용된 성우들이 많다보니 20년 뒤에 제작된 [[은하영웅전설 DNT]]에서 다른 배역으로 재출연한 성우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당장 DNT에서 [[양 웬리]]를 맡은 [[스즈무라 켄이치]]는 신인시절 양이 주인공인 외전 나선미궁에서 엑스트라로 출연했다가 해당 외전 주인공으로 대출세한 케이스다.] 그러나 화려한 성우진과 달리 OVA 자체는 흥행이 보장 안 된 상태였기 때문에 최대한 예산을 아껴가며 제작되었다. >"비디오 시장의 구조를 아시지 못하면 이해하실 수 없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원래 비디오는 유통 비용이 비쌉니다. 당시 제작 인세의 시세가 15% 정도였습니다. 즉 시판 가격 10,000엔의 비디오가 있었다면, 그 안에서 제작비로 회수되는 것이 1,500엔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머지 8,500엔은 제조비와 유통 비용인 것입니다. 이걸로는 1만 개 팔려도 1,500만 엔밖에 되지 않습니다.(거기에 여러 가지 공제가 있으므로 실제로는 1,200만 엔 정도인가) 당시 TV 시리즈 1화의 제작비가 (비싼 것으로) 900만 엔 정도였으므로, 그것보다 약간 추가해 1화 1,000만 엔의 예산을 세웠습니다." >---- > 타하라 마사토시, 1999년의 회고록 中 이 때문에 OVA임에도 실제 제작/발매 스케줄은 [[TVA]]과 큰 차이가 없었고 더군다나 예산의 압박 때문인지 [[하청]]을 남발[* [[북한]]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에서 동화하청을 맡았다.]하여 [[작화]]는 전반적으로 질이 낮다. 그래도 본편 후반으로 갈수록 1기에 비해 훨씬 나은 작화를 보여준다. 사실 일본에서도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이라기보단 라디오 드라마라는 이야기도 종종 나온다. 틀어놓고 듣기만 하는 팬들도 꽤 있다. 21세기가 되고서 [[작화 붕괴|작붕]]을 모조리 새로 그려 화질 리마스터링까지 거친 DVD 박스셋과 [[블루레이]] 박스셋이 발매되어 팬들이 환호했으나 군데군데 끼어들어간 수정작화는 모조리 디지털로 매우 깔끔하게 그려져 있어 기존의 것과 위화감이 크다는 게 단점. 게다가 화수가 화수다 보니 전체 가격이 몹시 비싸다. 특히 블루레이는 박스 4개에 전편을 수록해서 한번에 사기엔 더욱 살인적인 가격. 2010년 9월 17일자로 전편 출시가 완료되었는데, 정가 기준으로 18만 엔이 넘는다. 사용한 음악에서는 [[클래식(음악)|클래식]]을 적절하게 사용해서 매우 우아한 느낌을 살렸는데, 이는 은영전의 소설 판권을 갖고 있던 도쿠마 쇼텐의 계열사인 도쿠마 저팬이 당시 어찌어찌 제법 싼 가격에 사두었던 동독의 클래식 레코드 회사의 음원 사용을 제안받았고, 클래식 음원은 대체로 저작권이 없었기 때문에 제작비를 절감 할 수 있었다.[[https://anime.eiga.com/news/column/aketagawa_oto/106514/|#]] 배경음악이 클래식이 된 건 첫 극장판의 각본가인 [[슈도 타케시]]가 전투신을 무도회처럼 그려내고 싶다면서 배경음악을 클래식으로 지정했던 게 후속 시리즈에도 이어지면서 그렇게 되었다. 슈도 타케시는 극장판의 뒷 부분에 아예 [[라벨]]의 [[볼레로]]가 풀버전으로 흐르는 걸 상정하고 음악 흐름에 맞춰서 각본을 쓰기도 했다. 그런데 처음 극장판에서 볼레로를 쓸 때는 볼레로의 일본 내 저작권이 만료되지 않은 시점이었고, 그래서 저작권 관계상 기존 음원을 쓸 수가 없게 되었다. 그럼에도 슈도 타케시는 볼레로가 아니면 안 된다고 고집을 부렸는데, 이게 높으신 분들에게 받아들여지면서 [[오케스트라]]를 섭외해 극장판용으로 따로 볼레로를 녹음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https://lightnovel.kr/youmin/445840|자세한 내용은 이 글을 참조하자.]] 몇몇 장면에선 대하드라마 같은 느낌을 살리기 위해 기록화 풍의 그림을 넣기도 했다. [[자크 루이 다비드]]의 작품 『[[테니스 코트의 맹세|테니스 코트의 선서]]』를 패러디한 [[립슈타트 귀족연합|립슈타트 맹약]] 체결 장면이 대표적인 예. 그 외엔 OVA라는 매체의 장점도 살릴 겸, 고어성을 가감없이 연출하려는 야심이 있었던 듯 백병전 씬이나 '전투' 씬을 거의 고어 수준으로 묘사해 놓은 것도 있었다.([[http://kalnaf.egloos.com/998883|#]]) 그래서 [[베스트애니메]]에서 13세 등급이라고 분류하자 전투 도중의 고어스러운 잔혹함과 폭력적이고 선정성에 이걸 본 시청자들은 이게 무슨 13세 이상 등급이냐? 17세 이상 등급 정도 되겠다라고 말하는 일도 있었다. 단순히 전투에서의 씬만 수위가 높은게 아니라서 40화의 은하계사 개략에서 사람들이 성적 방종을 드러내는 장면에서 '''누드 여성들'''이 나오며 루돌프가 반대파를 탄압하는 장면에서는 루돌프의 폭정으로 죽은 사람들의 시신이 그득히 쌓여있는 모습. 사회질서유지국의 만행으로 인해 폐인이 되어버린 사람들, 고문을 당하는 듯한 사람들 등 온갖 잔인한 대우를 당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나오며 그중에서는 누드 차림도 있다. 버밀리온 성역 회전에서는 아얘 몸이 절단난 채 힘겹게 살고자 몸부림 치는 병사, 지구교 오딘 지부 토벌에서는 뇌수가 흘러나오는 지구교도 등도 나오니 수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 순서 === ||공개일||작품||범위|| ||1988. 02. 06.||극장판 1: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레그니처 상공 조우전]]부터 [[제4차 티아마트 회전]] 까지|| ||1988. 12.||원전 1기(001~026화)||[[아스타테 회전]]에서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의 죽음까지|| ||1991. 06.||원전 2기(027~054화)||[[회랑의 조우전]]부터 라인하르트의 황제 즉위까지|| ||1992. 12. 12.||극장판 2: 황금의 날개[* OVA로 발매한 뒤 12월에 극장 개봉]||[[제5차 이제르론 공방전]]과 [[라인하르트 폰 뮈젤 3차 암살미수사건]]|| ||1993. 12. 18.||극장판 3: 새로운 싸움의 서곡||[[아스타테 회전]]|| ||1994. 07.||원전 3기(055~086화)||[[로엔그람 왕조]]의 성립으로부터 [[이제르론 공화정부]]의 수립까지|| ||1996. 09.||원전 4기(087~110화)||[[노이에란트 전역]]에서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의 죽음까지|| ||1998. 02.||외전 1기||백은계곡(4화) / 아침의 꿈, 밤의 노래(4화) / 오명(4화) / 천억의 별, 천억의 빛(12화)|| ||1999. 12.||외전 2기||나선미궁(14화) / 반란자(4화) / 결투자(4화) / 탈환자(4화) / 제3차 티아마트 회전(2화)|| ---- 시간 순서에 따라 다시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적혀 있는 이름은 각 편의 주인공이다. ||나선미궁(외전 2기 1부: 14화): 양 중위→대위[* 재임기간은 6시간(...).]→소령 → 백은계곡(외전 1기 1부: 4화): 뮈젤 소위[* 원래 유년학교 졸업자는 준위로 임관하지만 특별대우로 소위로 임관.] → 반란자(외전 2기 2부: 4화): 뮈젤 중위 → 결투자(외전 2기 3부: 4화): 뮈젤 대위 → 황금의 날개(극장판 2기)([[제5차 이제르론 공방전]]): 뮈젤 소령 → 탈환자(외전 2기 4부: 4화): 뮈젤 중령 → 아침의 꿈, 밤의 노래(외전 1기 2부: 4화)[* 줄여서 '조몽야가(朝夢夜歌)'로 부르기도 한다.]: 뮈젤 대령 → 천억의 별, 천억의 빛(외전 1기 4부: 12화): 뮈젤 준장→소장→중장 → 제3차 티아마트 회전(외전 2기 5부: 2화): 뮈젤 중장→뮈젤 대장 →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극장판 1기)[* 극장판. LD판에선 좌우를 자르더니, DVD판에선 상하를 잘랐다.](제4차 티아마트 회전): 뮈젤 대장 → 오명(외전 1기 3부: 4화): 키르히아이스 중령 → 새로운 싸움의 서곡([[아스타테 회전]]): 로엔그람 상급대장 ⊂ 원전 1기(001~026화): 아스타테 회전에서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의 죽음까지 → 원전 2기(027~054화): [[율리안 민츠]]의 첫 출전에서 라인하르트의 황제 즉위까지 → 원전 3기(055~086화): 은하제국 로엔그람 왕조의 성립과 [[양 웬리]]의 결혼부터 그의 죽음 및 [[이제르론 공화정부]]의 수립까지 → 원전 4기(087~110화): [[노이에란트 전역]]에서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의 죽음까지.|| ---- 외전의 제작 순서는 백은계곡-아침의 꿈, 밤의 노래-오명-천억의 별, 천억의 빛-나선미궁-반란자-결투자-탈환자-제3차 티아마트 회전 순.[* 이 가운데 반란자-결투자-탈환자 3부작은 OVA 오리지널 작품이다.] 각 에피소드를 구성하는 편 수도 나선미궁 14편, 백은의 계곡 4편, 반란자 4편, 결투자 4편, 탈환자 4편, 아침의 꿈, 밤의 노래 4편, 천억의 별 천억의 빛 12편, 제3차 티아마트 회전 2편, 오명 4편으로 다 제각각이다. 게다가 모든 에피소드를 각각 별개의 작품으로 생각하고 관람해도 스토리에 '''위화감'''이 거의 없다. 어느 정도냐면 위의 순서대로 봐도 '''설정의 빈틈이 거의 없다.''' 역시 원작반영을 잘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예이다. 한마디로 글자 읽기 싫은 사람은 그냥 이거 보면 된다는 얘기. ~~덤으로 라인하르트와 키르히아이스의 '''폭풍진급'''에 경악할 수 있다~~ 외전에 등장하는 본편 캐릭터들 찾는 것도 또 다른 재미. [[파울 폰 오베르슈타인]]이라든가 [[알프레트 폰 란즈베르크]] 등이 살짝 지나간다. === 상세 === * [[은하영웅전설/역사]]에 있는 사건을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전술/전략 단위의 사건은 진한 연두색으로, 그 외의 사건은 연한 연두색으로, 배경 설명 부분은 무색으로 처리합니다. ||||<#DCDCDC> 중심 사건 ||||<#DCDCDC> 애니메이션 || ||||<#cdfbb5>[[엘 파실 전투]]||<|2><#fbc4c4>외전 2기||<|2><#fbe3e3>1부 나선미궁|| ||||<#cdfbb5>[[에코니아 포로수용소 사건]]|| ||||<#aaf782>[[B-III 공방전]]||<|2><#fbc4c4>외전 1기||<|2><#fbe3e3>1부 백은계곡|| ||||<#cdfbb5>[[라인하르트 폰 뮈젤 1차 암살미수사건]]|| ||||<#cdfbb5>[[하멜른 2호 조난사건]]||<|2><#fbc4c4>외전 2기||<#fbe3e3>2부 반란자|| ||||<#cdfbb5>[[라인하르트 폰 뮈젤 2차 암살미수사건]]||<#fbe3e3>3부 결투자|| ||||<#aaf782>[[제5차 이제르론 공방전]]||<|2><#fbc4c4>극장판||<|2><#fbe3e3>황금의 날개|| ||||<#cdfbb5>[[라인하르트 폰 뮈젤 3차 암살미수사건]]|| ||||<#cdfbb5>[[지향성 제플입자 발생기 탈환 작전]]||<#fbc4c4>외전 2기||<#fbe3e3>4부 탈환자|| ||||<#cdfbb5>[[은하제국 유년학교 살인사건]]||<|3><#fbc4c4>외전 1기||<#fbe3e3>2부 아침의 꿈, 밤의 노래|| ||||<#aaf782>[[반플리트 성역 회전]]||<|2><#fbe3e3>4부 천억의 별, 천억의 빛|| ||||<#aaf782>[[제6차 이제르론 공방전]]|| ||||<#aaf782>[[제3차 티아마트 회전]]||<#fbc4c4>외전 2기||<#fbe3e3>5부 제3차 티아마트 회전|| ||||<#aaf782>[[레그니처 상공 조우전]]||<|2><#fbc4c4>극장판||<|2><#fbe3e3>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 ||||<#aaf782>[[제4차 티아마트 회전]]|| ||||<#cdfbb5>[[사이옥신 마약 사건]]||<#fbc4c4>외전 1기||<#fbe3e3>3부 오명|| ||||<|2><#aaf782>[[아스타테 회전]]||<#fbc4c4>극장판||<#fbe3e3>새로운 싸움의 서곡|| ||<|21><#fbc4c4>원전 1기||<#fbe3e3>1~2화|| ||||<#aaf782>[[카스트로프 동란]]||<#fbe3e3>5화|| ||||<#aaf782>[[제7차 이제르론 공방전]]||<#fbe3e3>6~7화|| ||||<#cdfbb5>[[클롭슈톡 사건]]||<#fbe3e3>9화|| ||||<#cdfbb5>[[베네뮌데 후작부인 사건]]||<#fbe3e3>11화|| ||<|2><#aaf782>[[제국령 침공작전]]|| ||<#fbe3e3>12~14화|| ||<#aaf782>[[암릿처 회전]]||<#fbe3e3>15~16화|| ||||<#cdfbb5>[[동맹&제국 포로교환]]||<#fbe3e3>17화|| ||<|8><#aaf782>[[립슈타트 전역]]|| ||<#fbe3e3>18화|| ||<#aaf782>[[알테너 회전]]||<|2><#fbe3e3>20화|| ||<#aaf782>[[렌텐베르크 요새 공방전]]|| ||<#aaf782>[[키포이저 성역 회전]]||<|2><#fbe3e3>22화|| ||<#aaf782>[[제1차 가이에스부르크 요새 공방전]]|| ||<#cdfbb5>[[베스터란트 학살사건]]||<|2><#fbe3e3>23화|| ||<#aaf782>[[제2차 가이에스부르크 요새 공방전]]|| ||<#cdfbb5>[[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 1차 암살미수사건]]||<#fbe3e3>25~26화|| ||<|5><#aaf782>[[구국군사회의 쿠데타]]||<#cdfbb5>[[쿠브르슬리 대장 암살미수사건]]||<#fbe3e3>19화|| ||<#aaf782>[[행성 샴풀 해방전]]||<|3><#fbe3e3>21화|| ||<#aaf782>[[도리아 성역 회전]]|| ||<#cdfbb5>[[스타디움 학살 사건]]|| ||<#aaf782>[[하이네센 공방전]]||<#fbe3e3>24화|| ||||<#aaf782>[[회랑의 조우전]]||<|16><#fbc4c4>원전 2기||<#fbe3e3>27화|| ||||<#cdfbb5>[[사문회(은하영웅전설)|사문회]]||<#fbe3e3>31화|| ||||<#aaf782>[[제8차 이제르론 공방전]]||<#fbe3e3>32~34화|| ||||<#cdfbb5>[[황제 납치 사건]]||<#fbe3e3>37화|| ||||'''은하계사 개략'''[* [[은하연방]]의 성립과 몰락에서 [[페잔 자치령]]의 성립까지]||<#fbe3e3>40화|| ||<|11><#aaf782>[[제1차 라그나뢰크 작전]]|| ||<|2><#aaf782>[[제9차 이제르론 공방전]]||<#fbe3e3>41~43화|| ||<#fbe3e3>46화|| ||<#aaf782>[[페잔 점령 작전]]||<#fbe3e3>44화|| ||<#cdfbb5>[[율리안 민츠의 페잔 탈출]]||<#fbe3e3>47화|| ||<#aaf782>[[제1차 란테마리오 성역 회전]]||<#fbe3e3>48화|| ||<#aaf782>[[수송선단 습격전]]||<|3><#fbe3e3>50화|| ||<#aaf782>[[라이가르 성역 회전]]|| ||<#aaf782>[[타실리 성역 회전]]|| ||<#aaf782>[[버밀리온 성역 회전]]||<#fbe3e3>51~53화|| ||<#cdfbb5>[[바라트 화약]]||<#fbe3e3>54화|| ||||'''지구쇠망의 기록'''[* [[13일 전쟁]]부터 [[은하연방]]의 성립까지]||<|14><#fbc4c4>원전 3기||<#fbe3e3>56화|| ||||<#cdfbb5>[[큄멜 사건]]||<#fbe3e3>57화|| ||||'''골덴바움조 비사'''[* [[루돌프 폰 골덴바움]]의 사망부터 [[율리우스(은하영웅전설)|율리우스]] 황제 독살사건까지]||<#fbe3e3>59화|| ||||<#cdfbb5>[[양 웬리 원수 모살미수사건]]||<#fbe3e3>60~62화|| ||||<#aaf782>[[지구교 본거지 토벌 작전]]||<#fbe3e3>63화|| ||<|9><#aaf782>[[제2차 라그나뢰크 작전]]|| ||<#fbe3e3>67화|| ||<#aaf782>[[제10차 이제르론 공방전]]||<#fbe3e3>70화|| ||<#aaf782>[[마르 아데타 성역 회전]]||<#fbe3e3>71~72화|| ||<#cdfbb5>[[겨울장미원의 칙령]]||<#fbe3e3>73화|| ||<#cdfbb5>[[로이엔탈 원수 탄핵사건]]||<#fbe3e3>75~76화|| ||<#cdfbb5>[[하이네센 대화재]]||<#fbe3e3>76화|| ||<#cdfbb5>[[페잔 폭탄테러사건]]||<#fbe3e3>77화|| ||<#aaf782>[[회랑 전투]]||<#fbe3e3>79~81화|| ||<#cdfbb5>[[양 웬리 암살사건]]||<#fbe3e3>82화|| ||||<#cdfbb5>[[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 2차 암살미수사건]]||<|14><#fbc4c4>원전 4기||<#fbe3e3>89화|| ||||<#cdfbb5>[[응웬 킴 호아 광장 사건]]||<#fbe3e3>90화|| ||<|3><#aaf782>[[노이에란트 전역]]||<#cdfbb5>[[우르바시 사건]]||<#fbe3e3>92화|| ||<#aaf782>[[제2차 란테마리오 회전]]||<#fbe3e3>96~97화|| || ||<#fbe3e3>98화|| ||||<#cdfbb5>[[하이네센 동란]]||<#fbe3e3>101화|| ||||<#aaf782>[[제11차 이제르론 공방전]]||<#fbe3e3>102화|| ||||<#cdfbb5>[[오베르슈타인의 풀베기]]||<#fbe3e3>103화|| ||||<#cdfbb5>[[라그풀 교도소 폭동사건]]||<#fbe3e3>105화|| ||||<#cdfbb5>[[호랑가시나무관 습격사건]]||<#fbe3e3>106화|| ||||<#aaf782>[[시바 성역 회전]]||<#fbe3e3>107~108화|| ||||<#cdfbb5>[[루빈스키의 불 축제]]||<#fbe3e3>109화|| ||||<#cdfbb5>[[벨제데 임시 황궁 습격사건]]||<#fbe3e3>110화|| == 주제가 == ===# 오프닝 #=== * Skies of Love(1기) - 작사/작곡/노래: 아키요시 미치루(秋吉満ちる) >'''SKIES OF LOVE''' >'''スカイズ・オブ・ラブ''' >'''스카이즈 오브 러브''' >---- >I look above the stars are bright >Yet I'm blinded by the light >Heaven seems so far away >Come back to me someday >The sky seems so blue >They load me to you >Somewhere ther's a place in my heart >In the skies of love >I pray upon a star tonight >For the Gods to shine a light >There's a place that's far away >I'll meet you there one day >My faith lies with you >Protect all you do >There's always a place in my heart >In the skies of love >I look above the stars are bright >Yet I'm blinded by the light >Heaven seems so far away >Come back to me someday >The sky seems so blue >They load me to you >Somewhere there's a place in my heart >In the skies of love ||
[youtube(Wzj-f1XeiPc)] || [youtube(fPeLIXWLaiw)]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I am waiting for You(2기) - 작사/작곡/노래: 아키요시 미치루(秋吉満ちる) ||
[youtube(xHb5GOgPMuE)] || [youtube(RLhK2WQ5-XM)]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Sea of the Stars(3기) - 작사/노래: LISA, 작곡: 카와베 신(川辺真) ||
[youtube(CUf-8aXt9Hw)] || [youtube(qH8G-lBTUDY)]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Must Be Something(4기) - 노래: 콘노 히토미(こんのひとみ), 작사/작곡: 히메노 신야(姫野 真也) ||
[youtube(IE3BTOtcwcY)] || [youtube(9U8vI0hSRiM)]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Kid(외전 1기) - 노래: AKEMI, 작사/작곡: 히메노 신야(姫野 真也, David Himeno) ||
[youtube(jeARzaiZZTo)] || [youtube(DKK5vL5hfL0)]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Story of Time(외전 2기) - 노래: AKEMI, 작사/작곡: 히메노 신야(姫野 真也, David Himeno) ||
[youtube(DZp_NE3Tq48)] || [youtube(e6r4cHeu5fE)]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엔딩 #=== 엔딩은 모두 오구라 케이(小椋佳)가 작사와 노래를 맡았다. 단, 극장판 2기 엔딩곡은 마츠다 히로유키(松田博幸)가 작사와 노래를 맡았다. * 빛의 다리를 넘어서(光の橋を越えて, 1기, 84화) >'''Crossing the Bridge of Light''' >'''光の橋を越えて''' >'''빛의 다리를 넘어''' >---- >素晴らしく熱い涙を >人は心に溜めている >君が行く道をさえぎる >重くむなしい戦さ続こうと >夢を殺すな夢を追うんだ >はるか銀河の輝きを >映す涙でほほをぬらして歓べる日を >光の橋をこえて心を裸にして >光の橋をこえて涙と愛を解き放して >素晴らしく大きな愛を >人は心に抱いてる >君が行く道は宇宙の >無限の闇に遠く続こうと >夢を殺すな夢を追うんだ >いつか銀河の輝きに >負けない愛でちりばめられる歓びの日を >光の橋をこえて心を裸にして >光の橋をこえて涙と愛を解き放して >光の橋をこえて心を裸にして >光の橋を越えて涙と愛を解き放して ||
[youtube(T8YmVSrOESQ)] || [youtube(IJSebZl8Wew)]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여행의 서곡(旅立ちの序曲, 2기) ||
[youtube(DJQjU7GKFAM)] || [youtube(6wWkZ9GnQ8U)]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환송의 노래(歓送の歌, 3기) ||
[youtube(XFfV6sN2IC4)] || [youtube(SmPJFv9KA9Y)]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우주의 사다리(宇宙の掛け橋, 4기) ||
[youtube(RqwdSy5RxBg)] || [youtube(AvPoWrTtPOs)]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설명(説明, 외전 1기 백은계곡) ||
[youtube(a03wJjl26Yk)] || || 애니메이션 버전 || * 오랜 교제(永い付き合い, 외전 1기 아침의 꿈, 밤의 노래) ||
[youtube(R1Vm03vj4fY)] || || 애니메이션 버전 || * 갈 때, 축하할 때(逝くとき、祝うとき, 외전 1기 오명) ||
[youtube(DqrjHuSsMaU)] || [youtube(xkUZxiKXY5A)]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오로라의 아다지오(オーロラのアダージョ, 외전 2기 천억의 별, 천억의 빛) ||
[youtube(BbZIAKIzBNE)] || [youtube(oE5ZwsfTCQM)]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우리들의 항적(僕たちの航跡, 외전 2기 나선미궁) ||
[youtube(xz0MNI68bCI)] || [youtube(xkUZxiKXY5A)] || || 애니메이션 버전 || 풀 버전 || * 약속된 미래(約束された未来, 외전 2기 반란자, 탈환자, 결투자, 제3차 티아마트 회전) ||
[youtube(qC7-1c21ALw)] || || 애니메이션 버전 || * 함께 꾸었던 꿈 ~TWO OF US~(ふたり見た夢 ~TWO OF US~, 극장판 2기 황금의 날개) ||
[youtube(v85WMLl0U-I)] || || 풀 버전 || === 삽입곡 === 삽입곡 중 유명한 곡으로는 [[자유행성동맹]]의 [[자유행성동맹#s-2.1|국가(國歌)]]인 '자유의 깃발 자유의 겨레 Revolution of the heart', 은하제국의 군악 '발퀴레는 그대의 용기를 찬양하노라'가 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유행성동맹, 문단=3.1)]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골덴바움 왕조, 문단=4.1)] == 원작 소설과의 설정상 차이점 == *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이 [[아스타테 회전]]이 시작하기 전부터 [[양 웬리]]를 알고 있다. 이는 극장판 1기 「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라인하르트는 [[제4차 티아마트 회전]] 중, 기함 [[브륀힐트(은하영웅전설)|브륀힐트]]의 무언의 위협을 가해 전멸직전인 동맹군 함대를 무사히 후퇴시킨 양의 활약의 의해 양 웬리의 존재를 알게 된다. 원래 소설에서는 아스타테 회전 중간에 함대 독려를 하는 양의 통신을 통해 양 웬리의 존재를 알게 된다. * [[제4차 티아마트 회전]] 이전의 [[클롭슈톡 사건]]과 [[베네뮌데 후작부인 사건]]이 [[아스타테 회전]] 이후로 변경되었고 내용도 각 사건당 한 에피소드 분량으로 압축되었다. 그 때문에 미터마이어가 왜 군 교도소에 갇혔는지 몹시 불분명해졌다.(...) * [[아스타테 회전]]에서 [[라오(은하영웅전설)|라오]] 대신 [[더스티 아텐보로]]가 [[양 웬리]]를 돕는다. * [[이제르론 요새]], [[가이에스부르크 요새]]의 형태가 원작에 비해 크게 달라졌다. 원작에서의 형태는 극장판 황금의 날개에 묘사된 것과 유사하다. 또한 원작에서는 이제르론 요새는 액체 금속에 덮여있었다는 설정이 없었다. * [[우국기사단]]의 [[제시카 에드워즈]] 린치 미수, 야당 선거후보 폭탄테러는 OVA 오리지널 에피소드. * [[제7차 이제르론 공방전]] 당시 거의 무저항으로 함락당한 원작과 달리 요새측에서도 어느 정도 반항했다.[* 물론, 거의 무저항이라는 점은 동일하다. 제국군 장교 하나가 요새 기능을 마비시키는 바람에 로젠리터가 요새 중앙 컴퓨터를 점령하는 부분만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이 과정에서 요새수비대 50명과의 전투가 있긴 했지만 고작 로젠리터 대원 세명에게 털릴대로 털리고 만다.] * 원작에서는 묘사하지 않았던 제국, 동맹의 장갑복 디자인을 묘사했다. * 원작에선 [[카스트로프 동란]]에서 [[폴커 악셀 폰 부로]]와 [[한스 에두아르트 베르겐그륀]]이 안 나온다. * 원작에선 [[막시밀리안 폰 카스트로프]]가 의외로 군사적인 재능이 있어(...) 제국함대를 격퇴했고[* 그것도 한번도 아닌 두번이나.] 마린도르프 백작령을 ''정ㅋ벜ㅋ''하러 가다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에게 본진털리고 박살난 것으로 나오지만, OVA에선 [[페잔(은하영웅전설)|페잔]]에서 구입한 [[아르테미스의 목걸이]]로 제국함대를 박살내며, 키르히아이스가 [[지향성 제플 입자]]로 아르테미스의 목걸이를 박살낸 직후에 징징대다가 자신이 갈궜던 가신들에게 칼침 맞고 죽는다. 덤으로 OVA에서 묘사된 카스트로프 측의 복장은 [[로마 제국]] 스타일. * 원작에서 생략하고 넘어갔던 [[제국령 침공작전]] 당시 제국령 행성 거주 민간인들의 상황을 1화 동안 자세히 묘사한다. * [[볼프강 미터마이어]]의 기묘한 취미가[* 질풍 볼프라는 별명답게 미터마이어는 기동전에 너무 능한 나머지 후퇴하는 적들을 추월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런데 미터마이어는 아예 이걸 취미로 삼았다. 제국측 인물들은 이걸 변태적인 취미 수준으로 여긴다나.] [[암릿처 성역 회전]] 당시에 벌어졌던 것으로 밝혀진다. * OVA 본편의 [[암릿처 회전]]에서 양이 '이전에 로엔그람 백작에게 진 빚을 약간 어레인지해서 돌려주겠다'고 하는데, 그 빚이 [[레그니처 상공 조우전]]이다. 원래 소설에서는 레그니처 상공에서 동맹 2함대와 라인하르트가 조우했을 때, 라인하르트가 수소폭탄을 이용해서 2함대를 공격하는데, 양은 같은 방법을 자기만 생각할 수 있는 기책이라고 생각하고 실행에 옮길 생각은 하지 못했다. 암릿처에서는 양이 항성 암릿처에 수소 폭탄을 투하해, 그 항성풍을 이용하여 급상승하여 미터마이어 함대를 공격한다. * 원작의 [[프리츠 요제프 비텐펠트]]는 얼굴은 갸름한데 체격은 좋아서 부조화스러운 외모로 묘사되나 OVA에선 그냥 성격이 불같은 떡대. ~~[[칼 구스타프 켐프]] 비하면 말랐음~~ * 요새 형태의 변화로 인해 [[제8차 이제르론 공방전]]의 전개방식도 약간 변했다. * [[율리안 민츠]]의 [[페잔(은하영웅전설)|페잔]] 생활이 원작에 비해 자세히 나온다. * [[마리네스크]]가 원작에 비해 소심해졌다. * [[페잔(은하영웅전설)|페잔]]에 함선용 [[궤도 엘리베이터]]가 있다. ~~물론 비중은 별로 없었다.~~ * 아텐보로의 비중이 몹시 증가했다. 그 대신 [[라오(은하영웅전설)|라오]]의 비중이 아텐보로의 비중이 늘어난만큼 줄어들었다. * [[율리시스(은하영웅전설)|율리시스]]의 무장설명이 씹혔다. === OVA의 오리지널 캐릭터들 === * [[율리안 민츠]]가 [[양 웬리]]를 찾아올 때 데려온 애완고양이 [[원수(은하영웅전설)|원수]]가 추가되었다. * 동맹의 [[제국령 침공작전]]에 맞서 [[청야전술]]을 실시하던 [[울리히 케슬러]]가 옛 애인인 피에르 폰 클라인겔트 부인을 만난다. * 원작에서는 [[드와이트 그린힐]]의 입으로 잠시 설명하고 넘어갔던 [[제시카 에드워즈]]의 보궐선거가 1편을 들여 세세하게 묘사하면서 [[레이먼드 톨리아티]]와 [[제임스 손다이크]] 등 다른 후보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제시카가 본래는 제임스의 선거 운동원이었다가 제임스가 죽자 대타로 출마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 [[제국령 침공작전]]에서는 [[프란츠 발리먼트]] 소위가 등장한다. 7함대 사령관 [[호우드]] [[중장]]의 명에 의해 점령지에 파견되어 제국 민간인들과 진심으로 잘 지내려 하지만 오베르슈타인의 [[청야전술]] 때문에 비극을 보게 된다. * [[안톤 페르너]]의 부관으로 [[야콥 하우프트만]]이 등장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96633, user=9.1)] [include(틀: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애니메이션))] 서양권에서 상당히 팬이 많은 작품이다. 대체로 창작물 역사에 남을 걸작으로 여겨진다. == 국내 출시 == [[http://nestofpnix.egloos.com/5587808|슈타인호프가 소장한 한국어판 비디오 표지들]] 전체 110편의 본편 OVA 중 1기에 해당되는 1~26편을 1992년 [[대원동화]]에서 대여비디오 형식(총 9장)으로 [[더빙]]하여 들여왔다. 하지만 애들이 재밌게 볼만한 애니메이션도 아니고, 이런 저런 이유로 저게 은영전 OVA의 처음이자 마지막 정식 유통이었다.[* 비공식적으로는 나우은클 등 은영전 팬클럽 회원들이 정모에서 자체적으로 상영한 사례가 있다.] 그 많은 등장인물의 더빙을 성우 13명[* [[백순철]], [[장세준]], [[문지현]], [[이정구]], [[김환진]], [[오세홍]], [[설영범]], [[이윤선]], [[이봉준]], [[임은정(성우)|임은정]], [[박상일]], [[박은숙]], [[송연희]]. 참고로 13명 모두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이다.]이 했다. 하지만 13명 성우가 적은 건 아니다. 1980년대만 해도 겨우 서너명 가지고 맡는 경우도 흔했고, 심지어 성우 1명이 무성영화 변사로 하듯이 모두 맡는 일까지 있었다([[퓨처워 198X년]] - 1990년대 명절 특선으로 가공스런 미래전쟁으로 방영한 - 대영비디오가 그런 경우). 그런데 1기 일본판 성우가 130명이 넘는데 비디오 성우는 13명이라서 1인 10역은 맡아야 했다. 즉 [[환장]]의 [[중복 캐스팅]]. 1990년대 [[지상파]] 방송으로 광고하기도 했는데, 정작 비디오판에서 더빙을 맡지 않은 [[송도영]] 성우가 광고 내레이션을 맡았다.[* 비슷한 시기에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베르사이유의 장미]] 대원판 비디오도 지상파로 예고가 나온 바 있다.] 그래도, 위에 언급한 것처럼 전설적인 성우진들로 구성된 원판 성우진처럼 국내 더빙판도 13명뿐이긴 하나, [[장세준]], [[백순철]], [[김환진]], [[이정구]], [[설영범]] 등, 한국 성우계를 대표하는 전설적인 성우진인 데다가, 전설적인 만큼 실력도 준수하여 중복 더빙이라는 약점을 나름대로의 연기력으로 커버하는 저력을 보여준 바 있다. 사실 우리말 더빙은 더빙이야 그렇다쳐도 [[번역]]이 너무 조악했다. 이를테면 양 웬리가 "로엔그람 후작은 제2의 루돌프가 되려는 건 아닐까?"라는 원작 대사를 "로엔그람 후작은 제2의 [[히틀러]]가 되려는 건 아닐까?"로 엉뚱하게 왜곡, 오역했으며 [[토르 하머]] 포격에 1000척 이상 함이 피해를 입었다는 대사를 4척이 피해를 입었다고 터무니없이 줄인다든지~~(혹시 千을 4로 잘못 읽었나?)~~ 로컬라이징도 아니고 "B부인이 G부인을 노리니 조심하라"는 말을 "'''ㅂ부인이 ㄱ부인을 노리니 조심하라'''"는 대사를 하여 보는 이를 웃게 만든다. 위에 서술한 대로 국내 애니 채널에서 더빙 방영은 불가능하다고 봐야겠다. 참고로 국내 더빙 애니 역사상 가장 많은 성우진을 기록한 애니가 [[투니버스]] 창사 10주년을 기념하여 더빙한 [[몬스터(만화)/애니메이션|몬스터]]인데, 여기서 147명이라는 성우진을 동원하였던 걸 보면 은영전은 시리즈 전체로 볼때 420여명, 여기서 본편을 따로 제외해도 330명이 넘는 성우진을 써야하니 1인 다역을 맡아도 무리일 듯.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e0006522_595a4be240acf.jpg]] 1993년~1994년 게임챔프 지에서 극장판 줄거리를 컬러 장면과 같이 상세하게 소개하기도 했다. 물론 지금 보자면 저작권 무시. 물론 [[어둠의 루트]]로 구하는 방법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떠돌고 있는 [[자막]]이 많은 경우 "책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서 적은" 것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일본어를 알고있는 사람(60% 정도는 알아듣는데 100%가 아니라 자막이 없으면 불편한... --보다보면 '내가 해도 이것보단 낫겠다'는 생각이 든다--)이 보기엔 화딱지가 날 수도 있다.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만의 호흡과 연출이 있어서 원작 대사를 그대로 쓰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바뀐 대사도 많은데 책 내용 그대로 자막을 만들었다면 상황에 안 맞을 수 밖에 없다. 어떤것은 아예 대놓고 자기 멋대로 써놓았거나 영문 자막을 [[중역]]하기도 하고 그나마조차 번역기를 돌려서 옮겨놓은 경우도 있다. 자막 제작자인 에드윈 피셔가 제작하고 베르커드가 일부 협력한 전편 자막이 그나마 개념 취급을 받았지만 베르커드 담당부분은 생략이 많고 에드윈 피셔 담당부분은 오역이 상당하다. 예를 들어, [[제8차 이제르론 공방전]](요새 대 요새 전투) 종료 후 샤프트의 책임 추궁 과정에서 라인하르트가 케슬러를 찾으면서 헌병총감이라 호칭하는데, 자막 제작자는 이를 못 알아듣고 들리는대로 '''캠페소관'''이라 오역했다. 외전 자막은 문장 단위 오역이 상당한데, 자막 제작자가 자유롭게 쓰랬으니 마음껏 뜯어고치자. 극장판 자막으로는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작위)|공작]](고쿠사쿠)을 [[왕자]](오지)라고 번역한 황당한 오역 자막도 있는데 영문판의 prince를 [[중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역으로 보인다. 유럽대륙쪽 국가들에서는 공작, 혹은 [[대공(작위)|대공]]들을 prince로 적는데(예를 들면 [[오토 폰 비스마르크|Prince Bismark]]), 이걸 그대로 영국식으로 왕자라고 번역한 것이다. 자세한 것은 [[프린스]] 문서 참고. == 회차 목록 == === 정전 === ==== 1기 ==== ||
'''회차''' || '''제목'''[*A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은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이타카 정발본을 기준으로 임의로 서술되었다.] || '''원작 권수''' || ||<-3> '''1기''' || || 제1화 || 永遠の夜の中で[br]영원한 밤 속에서 ||<|16> 1권 『여명편』 || || 제2화 || アスターテ会戦[br]아스타테 회전 || || 제3화 || 第十三艦隊誕生[br]13함대 탄생 || || 제4화 || 帝国の残照[br]제국의 낙조 || || 제5화 || カストロプ動乱[br]카스트로프 동란 || || 제6화 || 薔薇の騎士[br]장미기사 || || 제7화 || イゼルローン攻略![br]이제르론 공략! || || 제8화 || 冷徹なる義眼[br]냉철한 의안 || || 제9화 || クロプシュトック事件[br]클롭슈톡 사건 || || 제10화 || ジェシカの戦い[br]제시카의 싸움 || || 제11화 || 女優退場[br]여배우 퇴장 || || 제12화 || 帝国領進攻[br]제국령 침공 || || 제13화 || 愁雨来たりなば…[br]슬픈 비가 내릴 때... || || 제14화 || 辺境の解放[br]변경 해방 || || 제15화 || アムリッツァ星域会戦[br]암릿처 성역 회전 || || 제16화 || 新たなる潮流[br]새로운 조류 || || 제17화 || 嵐の前[br]폭풍전야 ||<|10> 2권 『야망편』 || || 제18화 || リップシュタットの密約[br]립슈타트 밀약 || || 제19화 || ヤン艦隊出動[br]양 함대 출동 || || 제20화 || 流血の[ruby(宇宙, ruby=そら)][br]유혈의 우주 || || 제21화 || ドーリア星域会戦、そして…[br]도리아 성역 회전, 그리고... || || 제22화 || 勇気と忠誠[br]용기와 충성 || || 제23화 || [ruby(黄金樹, ruby=ゴールデンバウム)]は倒れた[br]황금수는 쓰러졌다 || || 제24화 || 誰がための勝利[br]누구를 위한 승리인가 || || 제25화 || 運命の前日[br]운명의 전날 || || 제26화 || さらば、遠き日[br]안녕, 옛날이여 || ==== 2기 ==== ||
'''회차''' || '''제목'''[*A] || '''원작 권수''' || ||<-3> '''2기''' || || 제27화 || 初陣[br]첫 출전 ||<|9> 3권 『자복편』 || || 제28화 || 肖像[br]초상 || || 제29화 || 細い一本の糸[br]가느다란 한 줄기 실 || || 제30화 || 失われたもの[br]잃어버린 것 || || 제31화 || 査問会[br]사문회 || || 제32화 || 武器なき戦い[br]무기 없는 전쟁 || || 제33화 || 要塞対要塞[br]요새 대 요새 || || 제34화 || 帰還[br]귀환 || || 제35화 || 決意と野心と[br]결의와 야심 || || 제36화 || 雷鳴[br]천둥소리 ||<|4> 4권 『책모편』 || || 제37화 || 幼帝誘拐[br] 황제 납치 || || 제38화 || 矢は放たれた[br]시위를 떠난 화살 || || 제39화 || ひとつの旅立ち[br]하나의 출발 || || 제40화 || ユリアンの旅・人類の旅[br]율리안의 여행, 인류의 여행 || 1권 『여명편』 || || 제41화 || 作戦名『[ruby(神々の黄昏, ruby=ラグナロック)]』[br]작전명 『라그나뢰크』 ||<|4> 4권 『책모편』 || || 제42화 || [ruby(鎮魂曲, ruby=レクイエム)]への招待[br]진혼곡의 초대장 || || 제43화 || ギャラルホルンは鳴った[br]걀라르호른은 울렸다 || || 제44화 || フェザーン占領[br]페잔 점령 || || 제45화 || 寒波到る[br]한파가 몰아치다 ||<|10> 5권 『풍운편』 || || 제46화 || ヤン提督の箱舟隊[br]양 제독의 방주함대 || || 제47화 || 自由の[ruby(宇宙, ruby=そら)]を求めて[br]자유의 우주를 찾아서 || || 제48화 || 双頭の蛇 ~ランテマリオの決戦~[br]쌍두사 ~란테마리오 결전~ || || 제49화 || 闇が深くなるのは…[br]어둠이 깊어지는 것은... || || 제50화 || 連戦[br]연전 || || 제51화 || バーミリオンの死闘(前編)[br]버밀리온의 사투(전편) || || 제52화 || バーミリオンの死闘(後編)[br]버밀리온의 사투(후편) || || 제53화 || 急転[br]급전 || || 제54화 || [ruby(皇帝ばんざい, ruby=ジーク・カイザー)]![br]지크 카이저! || ==== 3기 ==== ||
'''회차''' || '''제목'''[*A] || '''원작 권수''' || ||<-3> '''3기''' || || 제55화 || 儀式から再び幕は上がり…[br]의식에서 다시 막은 오르고... ||<|10> 6권 『비상편』 || || 제56화 || 地球へ[br]지구로 || || 제57화 || キュンメル事件[br]큄멜 사건 || || 제58화 || 訪問者[br]방문자 || || 제59화 || 過去と現在と未来と[br]과거, 현재, 미래 || || 제60화 || 魔術師捕らわる[br]마술사 붙잡히다 || || 제61화 || [ruby(歌劇, ruby=オペラ)]への招待[br]오페라에서의 초대 || || 제62화 || 血の[ruby(流水階段, ruby=カスケード)][br]피 흐르는 계단 || || 제63화 || 聖地[br]성지 || || 제64화 || 休暇は終わりぬ[br]휴가는 끝나지 않고 || || 제65화 || すべての旗に背いて[br]모든 깃발에 등을 돌리고 ||<|12> 7권 『노도편』 || || 제66화 || [ruby(黄金獅子旗, ruby=ゴールデンルーヴェ)]の下に[br]황금사자기 아래에서 || || 제67화 || 『[ruby(神々の黄昏, ruby=ラグナロック)]』ふたたび[br]제2차 『라그나뢰크』 || || 제68화 || エル・ファシルへ[br]엘 파실 || || 제69화 || イゼルローン再奪取作戦[br]이제르론 재탈취 작전 || || 제70화 || 蕩児たちの帰宅[br]탕아들의 귀가 || || 제71화 || マル・アデッタ星域の会戦(前編)[br]마르 아데타 성역 회전(전편) || || 제72화 || マル・アデッタ星域の会戦(後編)[br]마르 아데타 성역 회전(후편) || || 제73화 || 冬バラ園の勅令[br]겨울장미원의 칙령 || || 제74화 || 前途遼遠[br]전도요원 || || 제75화 || 雷動[br]뇌동 || || 제76화 || 祭りの前[br]축제 전야 || || 제77화 || 風は回廊へ[br]바람은 회랑으로 ||<|10> 8권 『난리편』 || || 제78화 || 春の嵐[br]봄의 폭풍우 || || 제79화 || 回廊の戦い(前編) ~常勝と不敗と~[br]회랑 전투(전편) ~상승과 불패~ || || 제80화 || 回廊の戦い(中編) ~[ruby(万華鏡, ruby=カレイドスコープ)]~[br]회랑 전투(중편) ~만화경~ || || 제81화 || 回廊の戦い(後編) ~大親征の終幕~[br]회랑 전투(후편) ~대친정의 종막~ || || 제82화 || 魔術師、還らず[br]마술사는 돌아오지 않고 || || 제83화 || 祭りの後[br]축제가 끝난 후 || || 제84화 || 失意の凱旋[br]실의에 찬 개선 || || 제85화 || 遷都令[br]천도령 || || 제86화 || [ruby(八月の新政府, ruby=ニュー・ガバメント・イン・オーガスタ)][br]8월의 신정부 || ==== 4기 ==== ||
'''회차''' || '''제목'''[*A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은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이타카 정발본을 기준으로 임의로 서술되었다.] || '''원작 권수''' || ||<-3> '''4기''' || || 제87화 || 嵐の予感[br]폭풍의 예감 ||<|13> 9권 『회천편』 || || 제88화 || 辺境にて[br]변경에서 || || 제89화 || 夏の終わりのバラ[br]여름의 끝을 알리는 장미 || || 제90화 || 鳴動[br]명동 || || 제91화 || 発芽[br]발아 || || 제92화 || ウルヴァシー事件[br]우르바시 사건 || || 제93화 || 矜持にかけて[br]긍지를 걸고 || || 제94화 || 叛逆は英雄の特権[br]반역은 영웅의 특권 || || 제95화 || 双璧相撃つ![br]쌍벽쟁패! || || 제96화 || 剣に生き…[br]검으로 흥하고... || || 제97화 || 剣に斃れ[br]검으로 쓰러지다 || || 제98화 || 終わりなき[ruby(鎮魂曲, ruby=レクイエム)][br]끝나지 않는 진혼가 || || 제99화 || 未来への助走[br]미래로의 도움닫기 || || 제100화 || [ruby(皇妃ばんざい, ruby=ホーフ・カイザーリン)]![br]호프 카이저린! ||<|11> 10권 『낙일편』 || || 제101화 || 動乱への誘い[br]동란의 유혹 || || 제102화 || 敢えて武器を手に[br]감히 무기를 손에 들고 || || 제103화 || コズミック・モザイク[br]코스믹 모자이크 || || 제104화 || 平和へ、流血経由[br]평화로, 유혈을 거쳐 || || 제105화 || 昏迷の惑星[br]혼미의 행성 || || 제106화 || [ruby(柊館, ruby=シュテッヒパルム・シュロス)]炎上[br]호랑가시나무관 습격사건 || || 제107화 || [ruby(深紅の星路, ruby=クリムゾン・スターロード)][br]진홍의 성로 || || 제108화 || [ruby(美姫, ruby=ブリュンヒルト)]は血を欲す[br]브륀힐트는 피를 탐한다 || || 제109화 || [ruby(黄金獅子旗, ruby=ゴールデンルーヴェ)]に光なし[br]빛을 잃은 황금사자기 || || 제110화 || 夢、見果てたり[br]꿈은 못다 이루고 || === 외전 === ==== 1기 ==== ||
'''회차''' || '''제목'''[*A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은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이타카 정발본을 기준으로 임의로 서술되었다.] || '''원작 권수''' || ||<-3> '''1기''' || ||<-3> '''백은계곡''' || || 제1화 ||<|4> - ||<|4> 외전 1권 『황금의 날개』 || || 제2화 || || 제3화 || || 제4화 || ||<-3> '''아침의 꿈, 밤의 노래''' || || 제1화 ||<|4> - ||<|4> 외전 1권 『황금의 날개』 || || 제2화 || || 제3화 || || 제4화 || ||<-3> '''오명''' || || 제1화 ||<|4> - ||<|4> 외전 1권 『황금의 날개』 || || 제2화 || || 제3화 || || 제4화 || ||<-3> '''천억의 별, 천억의 빛''' || || 제1화 || ヴァンフリート星域の会戦[br]반플리트 성역 회전 ||<|12> 외전 4권 『천억의 별, 천억의 빛』 || || 제2화 || [ruby(三つの赤, ruby=ドライ・ロット)][br]드라이로트 || || 제3화 || 亡命者たち[br]망명자들 || || 제4화 || 染血の四月[br]피에 물든 4월 || || 제5화 || 危険な男[br]위험한 남자 || || 제6화 || 混戦始末記[br]혼전의 기록 || || 제7화 || 初夏、風強し[br]초여름, 바람은 거세고 || || 제8화 || 伯爵家後継候補[br]백작가 계승후보 || || 제9화 || パーティーの夜[br]파티의 밤 || || 제10화 || 真実は時の娘[br]진실은 시간의 딸 || || 제11화 || 第六次イゼルローン攻防戦[br]제6차 이제르론 공방전 || || 제12화 || 千億の星、ひとつの野心[br]천억의 별, 하나의 야심 || ==== 2기 ==== ||
'''회차''' || '''제목'''[*A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은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이타카 정발본을 기준으로 임의로 서술되었다.] || '''원작 권수''' || ||<-3> '''2기''' || ||<-3> '''나선미궁''' || || 제1화 || エル・ファシルの英雄[br]엘 파실의 영웅 ||<|14> 외전 5권 『나선미궁』 || || 제2화 || 英雄の新しい仕事[br]영웅의 새로운 업무 || || 제3화 || 英雄たちの[ruby(横顔, ruby=プロフィール)][br]영웅들의 프로필 || || 제4화 || 過去へのささやかな旅[br]과거로 떠나는 작은 여행 || || 제5화 || 時の女神に愛された男 ~第二次ティアマト会戦記I~[br]시간의 여신에게 사랑받은 남자 ~제2차 티아마트 회전기 I~ || || 제6화 || 英雄の死 ~第二次ティアマト会戦記II~[br]영웅의 죽음 ~제2차 티아마트 회전기 II~ || || 제7화 || 喪服と軍服の間[br]상복과 군복 사이 || || 제8화 || 収容所惑星[br]수용소 행성 || || 제9화 || 捕虜と人質[br]포로와 인질 || || 제10화 || 顕微鏡サイズの反乱[br]현미경 사이즈의 반란 || || 제11화 || エコニアの英雄[br]에코니아의 영웅 || || 제12화 || 過去からの糸[br]과거에서 드리워진 실 || || 제13화 || ひとつの旅の終わり[br]한 여행의 끝 || || 제14화 || 出口をさがす旅[br]출구를 찾는 여행 || ||<-3> '''반란자''' || || 제1화 ||<|4> - ||<|4> OVA 오리지널 외전 || || 제2화 || || 제3화 || || 제4화 || ||<-3> '''결투자''' || || 제1화 ||<|4> - ||<|4> OVA 오리지널 외전 || || 제2화 || || 제3화 || || 제4화 || ||<-3> '''탈환자''' || || 제1화 ||<|4> - ||<|4> OVA 오리지널 외전 || || 제2화 || || 제3화 || || 제4화 || ||<-3> '''제3차 티아마트 회전''' || || 전편 ||<|2> - ||<|2> 외전 2권 『별을 부수는 자』 || || 후편 || === 극장판 === ||
'''제목'''[* 국내에서는 정식 개봉이 이뤄지지 않은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이타카 정발본을 기준으로 임의로 서술되었다.] || '''원작 권수''' || '''개봉일''' || '''러닝타임''' || || わが征くは星の大海[br]내가 나아갈 별들의 대양[* 국내에는 『우리가 정벌하는 것은 별의 대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 외전 2권 『별을 부수는 자』 || 1988. 02. 06. || 60분 || || 黄金の翼[br]황금의 날개 || 외전 1권 『황금의 날개』 || 1992. 12. 12. || 60분 || || 新たなる戦いの序曲[br]새로운 싸움의 서곡 || 1권 『여명편』 || 1993. 12. 18. || 90분 || == 성우진 == === [[은하제국(은하영웅전설)|은하제국]] === * [[게르하르트 폰 슈테거]]/[[후지모토 유즈루]] * [[겔라흐]]/[[야나미 죠지]] * [[골트슈미트]]/[[오카노 코스케]] * 구스타프 이자크 켐프/마츠이 마미 * [[귄터 키슬링]]/[[하시모토 코이치]] * [[그레고르 폰 크룸바흐]]/[[이시이 코우지]] * [[글룩(은하영웅전설)|글룩]]/고토 아츠시 * [[그뤼네만]]/[[타하라 아루노]] * [[그레고르 폰 뮈켄베르거]]/[[시바타 히데카츠]] * [[글래저]]/[[카메이 사부로]] * [[나이트하르트 뮐러]]/[[미즈시마 유우]]/[[이윤선]] * [[놀덴]]/오오하라 야스히로 * [[돌프 자이데룬]]/이노우에 토모유키 * [[드로이젠]]/사이토 모이치 * [[디트리히 자우켄]]/[[쵸 카츠미]] * [[라우디츠]]/도쿠히로 나츠오 * [[라첼]]/[[아이자와 마사키]] *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호리카와 료]](정전), [[미도리카와 히카루]](황금의 날개), [[나라하시 미키]](OVA 85화)/[[장세준]] * [[레오폴트 슈마허]]/ [[나카타 죠지]] * [[레믈러]]/[[아키모토 요스케]] * [[루돌프 폰 골덴바움]]/[[오오츠카 치카오]] * [[롤프 오토 브라우히치]]/ 마츠다 쥬지 * [[리하르트 폰 그림멜스하우젠]]/[[사이카치 류지]] * [[마리카 폰 포이어바흐]]/[[히사카와 아야]] * [[마르가레테 폰 헤르크스하이머]]/[[오오타니 이쿠에]] * [[마르티알]]/[[카나오 테츠오]] * [[마인호프(은하영웅전설)|마인호프]] 병장/[[니카타 켄]] * [[마인호프(은하영웅전설)|마인호프]] 내각서기관장/[[아소 토모히사]] * [[마크달레나 폰 베스트팔레]]/[[요코오 마리]]/[[임은정(성우)|임은정]] * [[막시밀리안 폰 카스트로프]]/[[호리 히데유키]]/[[이정구]] * [[모리츠 폰 하제]]/[[이시다 아키라]] * [[미하엘 지기스문트 폰 카이저링]]/[[카와쿠보 키요시]] * [[바겐자일]]/[[야마구치 켄]] * 바그너/[[카토 오사무]] * [[바르텐베르크]]/네모토 요시야 * [[베르너 알트링겐]]/이이다 미치로 * [[베른하르트 폰 슈나이더]]/[[메구로 코스케]] * [[벤드링]]/[[모리카와 토시유키]] * [[벤첼 폰 하셀바흐]]/[[카와이 요시오]] * [[브루노 폰 질버베르히]]/[[야마데라 코이치]] * [[브루노 폰 크납슈타인]]/[[히야마 노부유키]] * [[브룩도르프]]/[[나카에 신지]] * [[볼프강 미터마이어]]/[[모리 카츠지]]/[[설영범]] * 볼프강 미터마이어의 아버지/마츠오카 미치오 * 볼프강 미터마이어의 어머니/하나가타 케이코 * [[빌리바르트 요아힘 폰 메르카츠]]/[[나야 고로]]/[[설영범]] * [[빌헬름 폰 리텐하임]]/[[테라시마 미키오]]/[[이정구]] * [[빌헬름 폰 뮈켄베르거]]/카와하라 카즈히사 * [[빌헬름 폰 클롭슈톡]]/[[아즈사 킨페이]] * [[세바스티안 폰 뮈젤]]/[[야다 코지]](정전), [[호시노 미츠아키]](황금의 날개) * [[슈타덴]]/무라코지 이치로/[[이정구]] * [[슈타인호프(은하영웅전설)|슈타인호프]]/카즈다 히사시 * [[아달베르트 폰 파렌하이트]]/[[하야미 쇼]]/[[이정구]] * [[아르투르 폰 슈트라이트]]/[[토타니 코지]] * [[아벤트로트]]/이토 마사카즈 * [[아우구스트 자무엘 바렌]]/오카베 마사아키 * [[아이헨도르프]]/쿠바와라 타케시 * [[안네로제 폰 그뤼네발트]]/[[한 케이코]](정전), [[무라타 히로미]](황금의 날개)/[[문지현]] * [[안스바흐(은하영웅전설)|안스바흐]]/[[이노우에 마키오]] * [[안톤 페르너]]/[[호리우치 켄유]] * [[안톤 힐머 폰 샤프트]]/[[아리모토 킨류]] * [[자이데룬|알라누스 자이데룬]]/사토 유우시 * [[알프레트 그릴파르처]]/시마자키 노부오(정전 2기), [[사쿠야 슌스케]](정전 3~4기) * [[암살자(은하영웅전설)|암살자]]/[[우치다 나오야]] * [[알프레트 폰 란즈베르크]]/[[시오야 요쿠]] * 암스도르프/키요카와 모토무(정전 1기), 미즈우치 키유히츠(정전 2기~) * [[야콥 하우프트만]]/[[카케가와 히로히코]]/[[백순철]] * [[에렌베르크(은하영웅전설)|에렌베르크]]/[[사토 마사하루]] * [[에르네스트 메크링거]]/[[하시 타카야]] * [[에르빈 요제프 2세]]/[[에모리 히로코]] * [[에른스트 폰 아이제나흐]]/[[츠카야마 마사네]][* 아이제나흐가 침묵 제독인지라 대사는 110편에 달하는 은영전 애니속에서 '''단 1마디다.'''("체크메이트")] * [[에리히 폰 바르부르크]]/[[오오타 신이치로(성우)|오오타 신이치로]] * [[에리히 폰 하르텐베르크]]/[[사사키 이사오]] * [[에밀 폰 레켄도르프]]/아타카 마타코 * [[에밀 폰 젤레]]/[[오키아유 료타로]] * [[에반젤린 미터마이어]]/[[야마모토 유리코]] * [[엘라흐]]/[[사토 마사하루]] * [[엘리자베트 폰 뤼네부르크]]/[[아사가미 요코]] * [[엘프리데 폰 콜라우슈]]/[[토미자와 미치에]] * [[울리히 케슬러]]/[[이케다 슈이치]]/[[이정구]] * [[율리우스 엘스하이머]]/[[스즈키 키요노부]] * [[오스카 폰 로이엔탈]]/[[와카모토 노리오]]/[[오세홍]] * [[오이겐(은하영웅전설)|오이겐]]/키타지마 쥰지 * [[오이겐 리히터]]/[[츠지 신파치]] * [[오프레서]]/[[고리 다이스케]] * [[오펜하이머(은하영웅전설)|오펜하이머]]/시로야마 켄 * [[오토 뵐러(은하영웅전설)|오토 뵐러]]/[[우에다 토시야]] * [[오토 폰 브라운슈바이크]]/[[코바야시 오사무(성우)|코바야시 오사무]]/[[이정구]] * [[올라우]]/카지 테츠야 * [[요펜 폰 렘샤이트]]/코바야시 코지 * [[요한 고트호르프 폰 베르츠]]/[[토치카 코이치]] * [[요한나 폰 바젤]]/[[이케다 마사코]] * [[이자크 페르난트 폰 투르나이젠]]/[[오오타키 신야]] * [[지크베르트 자이틀리츠]]/무라타 노리오 * [[존넨펠스]]/우치다 쇼메이 * [[좀바르트]]/카몬 료우 * [[주산나 폰 베네뮌데]]/[[후지타 토시코]] *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히로나카 마사시]](정전), [[코야스 타케히토]](황금의 날개)/[[김환진]] *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의 아버지/야라 유사쿠/[[이봉준]] * 치텐/[[아오모리 신]] * [[칼 구스타프 켐프]]/[[겐다 텟쇼]] * 칼 구스타프 켐프 부인/[[요시다 리호코]] * [[카르나프]]/야마모토 류지 * [[칼 로베르트 슈타인메츠]]/[[이시마루 히로야]] * [[칼 브라케]]/후지시로 류우지 * [[칼 에두아르트 바이어라인]]/오오야마 히사오(정전 1기), [[하야시 노부토시]](정전 2기~) * [[칼 폰 라이파이젠]]/[[우에다 유우지]] * [[코르넬리우스 루츠]]/[[호리 카츠노스케]]/[[이봉준]] * [[코젤]]/사카구치 요시사다 * [[콘라트 린저]]/이나가키 사토루(정전 2기), 이나가키 마사유키(정전 3기) * [[콘라트 폰 모델]]/[[키쿠치 마사미]] * [[콜비츠]]/야라 유사쿠 * [[쿠르트 징후버]]/[[사쿠라이 토시하루]] * [[크루젠슈테른]]/나카기 류지 * [[크리스토프 폰 바젤]]/나카타 코지 * [[크리스토프 폰 쾨펜힐러]]/[[야지마 마사아키]] * [[클라라(은하영웅전설)|클라라]]/[[이케모토 사유리]] * [[클라리벨 폰 뮈젤]]/[[야스나가 사토코]] * [[클라우스 폰 리히텐라데]]/[[미야우치 코헤이]](정전), 이토 히로시(외전) * [[클라이스트(은하영웅전설)|클라이스트]]/[[후지모토 유즈루]] * [[토마 폰 슈톡하우젠]]/[[나가이 이치로]] * 테레제 바그너/[[히다카 노리코]] * [[테오도르 폰 뤼케]]/[[마츠모토 야스노리]] * [[파울 폰 오베르슈타인]]/[[시오자와 카네토]]/[[오세홍]] * [[펠릭스 미터마이어]]/[[한바 토모에]] * [[폰 로이엔탈]]/하즈미 준 * [[폴커 악셀 폰 부로]]/무라야마 아키라 * [[프란츠 폰 마린도르프]]/나카무라 타다시 * [[플레겔]]/[[후타마타 잇세이]] * [[푸세네거]]/[[요다 에이스케]]/[[김환진]] * [[프리드리히 4세]]/[[사카 오사무]]/[[설영범]] * [[하우저 폰 슈타이어마르크]]/카와하라 카즈히사 * [[하르스터]]/[[야나다 키요유키]] * [[하르트만 베르트람]]/카노우 아키라 * [[하이드리히 랑]]/타카기 히토시(정전2기), 이시다 타로(정전 3~4기) * 하이드리히 랑 부인/세바타 나츠코 * [[하인리히 람베르츠]]/[[야마구치 캇페이]] * [[하인리히 폰 큄멜]]/[[미츠야 유지]] * [[한스 디트리히 폰 젝트]]/[[이이즈카 쇼조]] * [[한스 에두아르트 베르겐그륀]]/[[타나카 료이치]] * [[헤르만 폰 뤼네부르크]]/[[노자와 나치]] * [[헤르크스하이머]]/[[노지마 아키오]] * [[헬더]]/[[미야타 히카루]](백은계곡), [[카메이 사부로]](황금의 날개) * [[헬무트 렌넨캄프]]/[[와타베 타케시]] * [[호르스트 진처]]/[[하야시 카즈오]] * [[호프마이스터]]/야마노 후비토 * [[호프만(은하영웅전설)|호프만]]/[[카미야마 타쿠조]] * [[후겐베르크]]/[[세키 토시히코]] * [[히르데스하임]]/[[아키모토 요스케]] * [[힐데가르트 폰 마린도르프]]/[[카츠키 마사코]]/[[임은정(성우)|임은정]] === [[자유행성동맹]] === * [[부시아스 아둘라&클로드 몽테이유&그레이엄 에버드 노엘베이커|그레이엄 에버드 노엘베이커]]/고바야시 타카시 * [[네그로폰테]]/[[호즈미 타카노부]] * [[닐슨(은하영웅전설)|닐슨]]/[[오오바야시 류스케]]/[[장세준]] * [[도슨(은하영웅전설)|도슨]]/시마다 아키라 * [[더스티 아텐보로]]/[[이노우에 카즈히코]](정전), 요코보리 에츠오(황금의 날개)/[[이윤선]], [[설영범]](16화) * [[드와이트 그린힐]]/[[마사무네 잇세이]] * [[D. 싱클레어]]/이토 카츠시 * [[라오(은하영웅전설)|라오]]/카에야마 스케키요 * [[라이너 블룸하르트]]/[[난바 케이이치]] * [[라이오넬 모튼]]/[[오오키 쇼지]] * [[라자르 로보스]]/[[오오키 타미오]] * [[랄프 칼센]]/아라이 카즈오 * [[루글랑주]]/시마 슌스케/[[박상일]] * [[루이 마솅고]]/[[나카오 류세이]] * [[로열 샌포드]]/[[사카 오사무]] * [[록웰]]/[[에바라 마사시]] * [[마리네티&저니얼|마리네티]]/[[오카 카즈오]] * [[마리노(은하영웅전설)|마리노]]/아라카와 타로 * [[마스카니]]/[[타치키 후미히코]] * [[말콤 와이드본]]/[[세키 토모카즈]] * [[메이어&윌|메이어]]/[[스즈키 레이코]] * [[무라이(은하영웅전설)|무라이]]/[[아오노 타케시]]/[[이윤선]] * [[무어(은하영웅전설)|무어]]/[[히라노 마사토]]/[[장세준]] * [[미리암 로자스]]/[[카카즈 유미]] * [[바그다슈]]/[[카미야 아키라]]/[[이윤선]] * [[버나비 코스테아]]/사카시타 코이치로 * [[베이(은하영웅전설)|베이]]/[[이케다 마사루]]/[[이정구]] * [[발레리 린 피츠시먼즈]]/[[도이 미카]] * [[발터 폰 쇤코프]]/[[하자마 미치오]]/[[이정구]] * [[보로딘(은하영웅전설)|보로딘]]/[[이케다 마사루]]/[[이정구]] * [[볼리]]/엔도 타츠지 * [[부시아스 아둘라&클로드 몽테이유&그레이엄 에버드 노엘베이커|부시아스 아둘라]]/가지와라 젠 * [[브루스 애쉬비]]/카자마 모리오 * [[비올라(은하영웅전설)|비올라]]/[[니시오 토쿠]] * [[비토리오 디 베르티니]]/[[노무라 켄지]] * [[산도르 알라르콘]]/[[오오토모 류자부로]] * [[살레 아지즈 셰이클리]]/요시카즈 히라노 * 샌버그/이나다 테츠 * [[샤논]]/[[마스타니 야스노리]] * [[샤를로트 필리스 카젤느]]/[[아마노 유리]] * [[순 수울]]/[[오노 켄이치]] * [[스톡스]]/[[키시노 유키마사]] * [[시드니 시톨레]]/[[우츠미 켄지]](정전), [[사토 마사하루]](황금의 날개)/[[이봉준]] * [[싱클레어 셀레브레제]]/아사토 테츠야 * [[아사도라 샤르티앙]]/코지마 토시히코 * [[아서 린치]]/[[히로세 마사시]]/[[이봉준]] * [[알렉산드르 뷰코크]]/[[토미타 코세이]](정전), [[마도노 미츠아키]](외전) * 알렉산드르 뷰코크 부인/누미나미 테루에 * [[알렉스 카젤느]]/[[키튼 야마다]]/[[오세홍]], [[이윤선]] * [[알 살렘]]/기타카와 요네히코/[[이봉준]] * [[알프레드 로자스]]/사가와 테츠로(노년), [[이노우에 노리히로]](청년) * [[양 웬리]]/[[토미야마 케이]](정전), [[고다 호즈미]](외전), 하라 야스요시(황금의 날개)/[[백순철]] * [[애플턴]]/[[이시모리 탓코우]] * [[앤드류 포크]]/[[후루야 토오루]]/[[김환진]] * [[에드윈 피셔]]/[[스즈키 타이메이]]/[[설영범]] * [[에머슨]]/[[단 토모유키]] * [[에반스(은하영웅전설)|에반스]]/[[이케미즈 미치히로]]/[[김환진]] * [[엔리케 마르티노 보르헤스 데 아란테스 에 올리베이라]]/[[야마노우치 마사토]] * [[오르탕스 밀베르 카젤느]]/[[마츠오 요시코]] * [[오브리 코클랭]]/[[무기히토]] * [[오토 프랑크 폰 반샤페]]/[[나카노 유타카]] * [[올리비에 포플랭]]/[[후루카와 토시오]]/[[이윤선]] * [[욥 트뤼니히트]]/[[이시즈카 운쇼]]/[[설영범]] * [[우란푸]]/[[오오바야시 류스케]]/[[장세준]] * [[워렌 휴즈]]/[[야오 카즈키]] * [[월리스 워릭]]/[[코야마 리키야]] * [[월터 아일랜즈]]/[[타나카 야스오]] * [[율리안 민츠]]/[[사사키 노조무]]/[[문지현]] * [[윌리엄 오데츠]]/[[타니구치 타카시]] * [[응웬 반 티우]]/[[오모로 마사유키]] * [[이반 코네프(은하영웅전설)|이반 코네프]]/[[스즈오키 히로타카]]/[[김환진]] * [[자우프]]/[[나카노 유타카]] * [[장 로베르 랍]]/[[타나카 히데유키]] * [[마리네티&저니얼|저니얼]]/[[스가와라 마사시]] * [[제시카 에드워즈]]/[[코야마 마미]]/[[임은정(성우)|임은정]] * [[제임스 쏜다이크]]/[[마루야마 에이지]] * [[조안 레벨로]]/[[카유미 이에마사]]/[[이정구]] * [[존 드링커 코프]]/[[사코 마사토]] * [[춘우 지엔]]/[[오오츠카 아키오]] * [[카스퍼 린츠]]/[[코스기 쥬로타]] * [[카테로제 폰 크로이처]]/[[미츠이시 코토노]] * [[칼 폰 데어 데켄]]/[[니시 린타로]] * 코널리/[[사사오카 시게조]]/[[오세홍]] * [[코넬리아 윈저]]/[[마츠시마 미노리]] * [[콜드웰]]/[[히로모리 신고]] * [[부시아스 아둘라&클로드 몽테이유&그레이엄 에버드 노엘베이커|클로드 몽테이유]]/아난 켄지 * [[크리스티앙(은하영웅전설)|크리스티앙]]/[[소가베 카즈유키]] * [[쿠브르슬리]]/[[타나카 노부오]] * [[파스톨레]]/[[사토 마사하루]] * [[파에타]]/[[토쿠마루 칸]] * [[파이펠]]/[[우메즈 히데유키]] * [[팡 추링]]/[[스고 타카유키]] * [[표도르 파트리체프]]/[[시오야 코조]]/[[이봉준]] * [[프레데리카 그린힐]]/[[사카키바라 요시코]](정전), [[쿠와시마 호우코]](외전)/[[박은숙]] * [[프레드릭 재스퍼]]/[[후지와라 케이지]] * [[프란체스크 롬스키]]/[[나카무라 슈세이]] * [[필즈]]/[[시마다 빈]] * [[패트릭 아텐보로]]/[[이노우에 카즈히코]] * [[하무디 아슈르]]/[[나카 히로시]] * [[헨슬로]]/[[마스오카 히로시]] * [[호우드]]/[[오가와 신지]] * [[황 루이]]/[[키모츠키 카네타]] === [[페잔 자치령]] === * [[나폴레옹 앙트완느 드 오트테르]]/[[미야타 히로노리]] * [[니콜라스 볼텍]]/[[진나이 타츠유키]] * [[루퍼트 케셀링크]]/[[스즈오키 히로타카]] * [[마리네스크]]/[[오가타 켄이치]]/[[이윤선]] * [[보리스 코네프]]/[[야스하라 요시토]]/[[김환진]] * [[보멜]]/[[시마카 유타카]] * 브레첼리/[[타츠타 나오키]] * [[아드리안 루빈스키]]/[[코바야시 키요시]]/[[박상일]] * [[칼레 윌록]]/[[오오츠카 호츄]] === 기타 === * [[가짜 총대주교]]/사사하라 오 * 나레이션/[[야라 유사쿠]], [[쿠메 아키라]](정전 40화), 쿠사타 타케시(정전 56화)/[[이봉준]] * [[데그스비]]/[[나야 로쿠로]] * [[드 빌리에]]/[[긴가 반조]] * [[지구교 총대주교]]/오오미야 테이지 그외 OVA 3기에서는 [[아오야마 유타카]]가 무명으로서 단역출연하기도 했다. == 기타 == * 독일어를 상당히 비중 있게 사용한다. 시작 할 때 나오는 제목도 [[일본어]]나 [[영어]]가 아니라 독일어 제목이고 글씨체도 독일에서 쓰인 [[블랙레터|프락투어]]이다. 또한 끝날 때도 [[독일어]]로 끝을 뜻하는 Ende를 쓴다. * 공식적인 독일어 제목은 Heldensagen vom Kosmosinsel이지만 극장판 황금의 날개에서는 미치하라 카츠미 코믹스를 따라 Die Legende der Sternhelden라고 썼다. * 원작 내용 대부분을 다룬 작품이지만 빠진 부분이 있다. 바로 외전 3권 '율리안의 이제르론 일기'와 외전 1권 중 '다곤 성역 회전기'인데, 이들은 2010년대에 [[은하영웅전설/오디오북|오디오북]]으로 발매되었다. 오디오북 제작에는 OVA 제작에 참가했던 성우들이 재집결하여 낭독하였다. * 극장판 '황금의 날개'는 다른 OVA에 비해 이질적인 작품이다. 그 이유는 [[은하영웅전설/코믹스/미치하라 카츠미|미치하라 카츠미 코믹스]] 중 '황금의 날개'를 기초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새, 함정, 전투기, 인물 디자인과 성우, 독일어 제목, BGM까지 완전히 다르다. 그냥 다른 작품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 미치하라 카츠미 코믹스는 OVA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작 설정을 충실하게 반영했기 때문에 이 극장판에 등장하는 이제르론 요새나 스파르타니안, 발퀴레 등 메카 디자인은 원작에 가까운 형태로 등장한다. * [[은하영웅전설 Die Neue These]] 발매 이후 팬들이 [[라프텔]] 스트리밍을 문의해본 결과 요청이 적어 수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하면서 동시에 OVA의 현재 저작권도 DNT의 제작진인 [[Production I.G]]에서 가지고 있다는 답을 받아냈다. 정황상 DNT 제작과 함께 OVA의 판권도 사들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