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음성 기반 소셜 미디어)] ||<-2> {{{#FFFFFF {{{+2 '''음(mm)'''}}}[br]mm}}} || ||<-2> [[파일:음(mm) 아이콘.svg|width=200px]] || || '''개발 및 운영''' ||[[카카오(기업)|카카오]] || || '''유형''' ||[[소셜 미디어]]|| || '''출시''' ||[[2021년]] [[6월 7일]]|| || '''서비스 종료''' ||[[2022년]] [[4월 29일]]|| || '''플랫폼''' ||[[https://apps.apple.com/kr/app/id1567177871| [[파일:iOS 로고.svg|width=35]]]]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akao.mmoa|[[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width=100]]{{{#000,#fff }}}]] || || '''링크''' ||[[https://www.mm.xyz/| [[파일:음(mm) 아이콘.svg|width=24]]]] [[https://brunch.co.kr/@mm-team| [[파일:브런치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음성]] 기반의 [[소셜 미디어]]. 현재 [[iOS]]와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같은 음성 기반 소셜미디어인 [[Clubhouse]]를 벤치마킹하여 다소 폐쇄적인 클럽하우스보다 높은 접근성을 가지고 있지만 클럽하우스의 카피캣이라는 비판 또한 받았다. 현재는 서비스 종료 되었다. == 기능 == 클럽하우스가 국내에서 유행하자 빠른 국내 시장 선점을 위해 카카오가 내놓은 음성기반의 소셜미디어 어플이다. 6월 초 출시 이래로 기존 유사한 서비스인 클럽하우스에서 유입 되었으며 카카오의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새로운 유입 유저들도 점차 늘어가는 추세이다. 기존 클럽하우스와의 차이점으로는 초대장이 필요없이 가입 할 수 있어 기존에 초대장이 없어 사용할 수 없었던 유저들과 안드로이드 유저층을 흡수하였다. 그리고, 가려지는 방이 없이 모든 방을 전부 볼 수 있게 하여 높은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클럽하우스와 다르게 마이크 권한이 없는 리스너도 이모지를 활용해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유저풀은 대부분 국내 유저 중심이며 간혹가다 외국인 유저들이나 외국어 회화방 또한 자주 목격할수있다. 별도의 채팅 기능은 없으나 오픈채팅 링크를 연결해 채팅을 나눌 수 있다. 카카오페이를 통한 송금하기를 지원해 대화방을 운영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수수료 없이 후원이 가능하다. 카카오에서 마케팅의 일환으로 [[브레이브걸스]], [[이영지]] 등의 유명인물이 참여했으며, 그 외에도 각종 국내 성우들이 계정을 만들어 활동했다. 싱어송라이터들이 대화방을 열어 직접 연주와 노래를 불러주거나 영어 스피킹이나 보이스 코칭 대화방과 같은 교육적인 콘텐츠도 운영했다. == 서비스 종료 == 2022년 3월 24일에 2022년 4월 29일자로 서비스 종료를 예고하는 공지가 발송되었다. 출시한 지 1년도 안 되어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이다. 망한 원인에 대해서는 초기 이용자를 확보하지 못했고, 앞서 시작한 Clubhouse조차 고전을 면치 못할 정도로 음성 기반 소셜 미디어가 [[유튜브]]나 [[TikTok]] 같은 영상 기반 SNS에 비해 수요층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음의 기능은 2022년 4월 카카오톡 오픈채팅의 보이스룸 기능으로 부활하였다. [[분류:카카오(기업)]][[분류:2021년 출시]][[분류:2022년 폐지]][[분류: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분류:컴퓨터]][[분류:폐쇄된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