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응우옌씨 정권 왕)] || '''[[묘호]]''' ||[[선조#s-3|선조]](宣祖) → '''[[희종]](熙宗)''' || || '''[[시호]]''' ||현모광열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황제[br](顯謨光烈溫恭明睿翼善綏猷孝文皇帝) || || '''[[작위]]''' ||서국공(瑞國公) || || '''[[성씨|성]]''' ||응우옌(Nguyen, 阮/완) || || '''[[휘]]''' ||푹 응우옌(Phuc Nguyen, 福源/복원) || || '''생몰기간''' ||1563년 8월 16일 ~ 1635년 11월 9일 || || '''재위기간''' ||1613년 ~ 1635년 11월 9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트남]] [[대월]] 남북국시대 [[응우옌씨 정권|완주]](阮主)의 제2대 군주. 묘호는 선조(宣祖)이었으나, 후에 희종(熙宗)으로 바뀌었으며, 시호는 현모광열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왕(顯謨光烈溫恭明睿翼善綏猷孝文王). 휘는 완복원(阮福源, 응우옌푹응우옌) 혹은 완원(阮源, 응우옌응우옌). [[완황]]의 아들. [[찐씨 정권]]이 그에게 조세를 바칠 것을 요구하여 전쟁에 접어들게 되었다. == 생애 == 1563년 8월 16일, 완복원은 아버지 완황의 6남으로 태어났다. 1585년, 서양의 해도(海盜)가 난리를 일으키자, 완복원은 군사를 이끌고 그 해적들을 격퇴하여 아버지에게 칭찬을 받기도 하였다. 1602년에는 광남성(廣南省)을 지키면서 그곳을 개척하였다. 1613년, 아버지 완황의 병이 악화되자 완황은 6남 원을 후에(順化/순화)로 불러들였고, 완황은 그를 믿고 남방을 지키게 하였으며 정씨에게 맞서라고 한 후 사망하였다. 아버지가 죽자 뒤를 이어서 완복원은 왕위를 계승하여 완주의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1623년, 북방의 [[찐씨 정권]](정주)에 정변이 일어난 가운데 정왕(鄭王) [[정송]](鄭松)이 죽자, 그의 아들인 [[찐짱|정장]]과 정두(鄭杜)가 왕위를 두고서 다투었다. 이 소식은 남방의 완복원에게 알려졌고, 완복원은 이것을 정송의 보응(報應)이라 하였다. 그리고 무장 완유일(阮有鎰)이 북벌을 건의하였으나 거절하였고, 완복교(阮福喬)를 조문보냈다. 1626년, 정주의 왕 정장이 [[후여조]]의 이름을 빌려 완유목(阮有本)을 후에로 보낸 후 완주의 완원에게 공물을 재촉하였다. 완원은 군대를 주둔시키고 공물 요구를 거절하였으며 완계(阮啓), 완명세(阮名世)에게 군사를 이끌게 하고 남하하였다. 이때부터 정주와 완주 두 정권은 사이가 나빠졌으며 정완분쟁(鄭阮紛爭)이 시작되었다. 1635년 11월 9일, 완복원은 7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그 뒤를 이어서 차남 완복란이 완왕(阮王)으로 즉위하였다. == 사후 == 완복원의 초기 시호는 완복란이 대도통진남방총국정익선수유단양왕(大都統鎭南方總國政翼善綏猷瑞陽王)으로 추존하였으나, 뒤에 완복활(阮福濶)이 묘호를 선조(宣祖)로 추존하고, 시호를 현모광열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왕(顯謨光烈溫恭明睿翼善綏猷孝文王)으로 개칭하였다. 1806년 7월 23일, [[응우옌 왕조]]를 건국한 [[완복영]]에 의해서 묘호가 선조(宣祖)에서 [[희종]](熙宗)으로 변경되었고, 시호를 현모광열온공명예익선수유효문황제(顯謨光烈溫恭明睿翼善綏猷孝文皇帝)로 추존하였다. [[분류:베트남의 군주]][[분류:1563년 출생]][[분류:163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