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옹주]] [[분류:서출]] [[분류:1466년 사망]] [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 [include(틀:대한제국의 황녀/태조 ~ 고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d43, #29176e 20%, #29176e 80%, #190d43); color: #FFD400" '''대한제국 태조의 황녀[br]{{{+1 의령옹주 | 義寧翁主}}}'''}}}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태조의 왕녀[br]{{{+1 의령옹주 | 義寧翁主}}}'''}}}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호안공_이등과_의령옹주_묘역.jpg|width=100%]]}}} || ||<-2> {{{#ffd400 {{{-2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전경}}} }}} || || '''출생''' ||생년 미상 || || '''사망''' ||[[1466년]]^^([[세조(조선)|세조]] 11년)^^ [[2월 24일]]^^([[음력]] [[2월 1일]])^^ || ||<|2> '''능묘'''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4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 85번지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주 이씨]] || || '''부왕''' ||[[태조(조선)|태조]] || || '''생모''' ||[[찬덕 주씨]] || || '''부군''' ||계천군 이등(啓川君 李登) || || '''자녀''' ||'''슬하 4남 3녀''' 장남 - 이황(李宺) 차남 - 이선(李宣) 3남 - 이림(李穼) 4남 - 이효(李孝) 장녀 - [[진주 정씨|정소]](鄭韶)의 처 차녀 - [[청도 김씨|김맹형]](金孟衡)의 처 3녀 - [[신평 이씨|이만생]](李晩生)의 처 || || '''봉호''' ||'''의령옹주'''(義寧翁主[* 《조선왕조실록》, 《묘비》], 宜寧翁主[* 《선원록》])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태조(조선)|태조]]와 [[후궁]] 찬덕 주씨 사이에서 태어난 딸. 딸이 적었던 태조의 서장녀이다.[* 태조의 다섯딸 중 경순공주에 이어 둘째 딸로 추정된다.] 옹주의 어머니 찬덕[* 잠깐 사용하다 사라진 봉작으로 정3품 혹은 종2품의 품계로 태조 시절에 사용했던 품계이다. 그 이외에 현의(賢儀), 숙의(淑儀), 찬덕(贊德), 순성(順成)의 순으로 [[후궁]]의 품계가 있었으며 그 아래로 [[상궁]] 및 [[궁녀]]가 있었다 ] 주씨는 신분이 낮았던 듯하다.[* 《[[세종실록]]》 기록에 따르면 의령옹주가 천생이라고 하니, 그 어머니인 주씨는 종이나 [[노비]] 출신으로 신분이 낮았던 모양이다.] == 생애 == 생년을 짐작할 수는 없으나 남편 계천위 이등이 1379년생이므로 비슷한 연령대가 아닐까 추측한다.[* 1379년 부근 출생이 맞다면 어림잡아도 90대까지 살았다는 의미니 태조의 자식들 중 가장 오래 장수했다고 할 수 있다.] [[조선]] 개국 이전에 하가한 듯한데, 남편과 사이에서 자녀 4남 3녀를 낳았다. [[1466년]]([[세조(조선)|세조]] 12년)에 사망했다. 1423년, 태종의 국상기간에 이복동생인 숙신옹주와 함께 신을 섬기는 모임이라 핑계대며 거문고를 타고 술을 마시자 사헌부에서 탄핵하였으나 세종이 허락하지 않았다.[* 세종 5년 5월 11일 경인 4번째기사] 어찌 본다면 조선의 건국부터 [[계유정난]] 이후까지 모두 목격한 인물이라고 볼 수도 있기에 의령옹주를 주인공으로 한 관찰자 시점의 사극도 나올 법하나 잘 알려진 인물이 아니라 그런지 언급이나 등장은 없다. == 가족 관계 == * 부 : [[태조(조선)|태조]](太祖, 1335~1408) * 모 : [[찬덕 주씨]](贊德[* 조선 초기에 일시적으로 쓰였던 내명부 작위로 정3품이다. 태종시대에 최초로 사용되었고 세종시대엔 내명부가 새로이 정리되어 사라졌다.] 周氏) * 시부 : 판사수감사 이개(判司水監事 李開) * 남편 : 계천군 호안공 [[개성 이씨|이등]](啓川君 胡安公 李登, 1379~1457) * 장남 : 이황(李宺) * 차남 : 문량공 이선(文良公 李宣) * 삼남 : 이림(李穼) * 사남 : 이효(李孝) * 장녀 : [[진주 정씨|정소]](鄭韶)에게 출가 * 차녀 : [[청도 김씨|김맹형]](金孟衡)에게 출가 * 삼녀 : [[신평 이씨|이만생]](李晩生)에게 출가 == 묘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기념물|{{{#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33호 ||<|2> ← || '''34호''' ||<|2> → || 35호 || || [[방학동 은행나무]] ||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 [[경천군 이해룡 사패지 송금비]]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34호}}}''' || ||<-2> {{{#fff {{{+1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br]{{{-1 胡安公 李登과 義寧翁主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아차산 봉수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 85번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2基, 석물 9基, 토지 46.77㎡ || || '''{{{#fff 지정연도}}}''' || [[2013년]] [[7월 18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호안공_이등과_의령옹주_묘역.jpg|width=100%]]}}} || || '''{{{#ffd400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5103058&ccbaKdcd=23&ccbaAsno=0034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clearfix]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의령옹주와 남편 호안공 계천위 이등의 묘가 있다. 2013년 7월 18일에 [[서울특별시의 기념물|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받았다. 이등은 사후 시호를 받아 호안공으로도 불리며, 이에 [[서울특별시]]에서 기념물로 지정할 때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이라 명칭을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