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46년 영화, rd1=의사 안중근(1946))] ||<-5><#EDD200> {{{+1 '''{{{#000000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EDD200><-5> {{{#000000 '''최우수작품상'''}}} || || 제7회[br]([[1968년]])[* 제8, 9회는 중단, 제10회는 수상작 없음.] || {{{+1 →}}} || '''제11회[br]([[1972년]])''' || {{{+1 →}}} || 제12회[br]([[1973년]]) || || [[대원군(영화)|대원군]] || {{{+1 →}}} || '''의사 안중근''' || {{{+1 →}}} || [[홍의장군(영화)|홍의장군]] || ||<#EDD200><-5> || [include(틀:안중근 시리즈)] ||<-2> {{{+1 '''의사 안중근'''}}} (1972)[br]義士 安重根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의사 안중근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주동진 || || '''각본''' || 최금동, 이정선 || || '''기획''' || 최춘지, 반중석 || || '''제작''' || 주동진 || || '''주연''' || [[김진규(배우)|김진규]], [[박노식(1930)|박노식]], [[문정숙]] || || '''촬영''' || 전조명 || || '''조명''' || 최원근 || || '''편집''' || 김창순 || || '''음악''' || [[김희조]] || || '''미술''' || 박석인 || || '''제작사''' || 연방영화주식회사 || || '''개봉일''' || [[1972년]] [[2월 16일]] || || '''개봉관''' || [[국도극장]] || || '''관람인원''' || 30,07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주동진 감독의 1972년 개봉 영화. 영화는 [[을사조약]]이 체결되는 과정부터 시작하여 [[안중근]]의 항일 투쟁을 그린다. == 출연진 == * [[김진규(배우)|김진규]] – [[안중근]] 역 * [[박노식(1930)|박노식]] – [[이토 히로부미|이또 히로부미]] 역 * [[문정숙]] – 김아려(안중근의 처) 역 * [[최남현]] – [[한규설]] 역 * [[최불암]] – [[고종(대한제국)|고종]] 역 * 이대엽 – [[김기룡]] 역 * [[하명중]] – [[유동하]] 역 * 최성호 – [[우덕순]] 역 * [[박암]] – [[조도선]] 역 * 장훈 – [[이하영(1858)|이하영]] 역 * [[이향(1914)|이향]] – [[이완용]] 역 * [[김동원(1916)|김동원]] – [[의친왕|이강]] 역 * [[김신재]] – 안중근의 모 역 * [[손창민]] – 안중근의 아들 역(아역) * [[강계식]] – [[안창호]] 역 * 김웅 – [[이근택]] 역 * [[고설봉]] – [[박제순]] 역 * 성소민 – [[민영환]] 역 * 박경주 – [[민영기(조선)|민영기]] 역 * 양일민 – [[엄인섭]] 역 * 조덕성 – [[이지용]] 역 * 손전 – [[권중현]] 역 * 임성포 – [[이재극]] 역 == 줄거리 == [[안창호]]([[강계식]]) 선생의 연설회장에서 그를 온몸으로 사수하던 [[안중근]]([[김진규(배우)|김진규]])은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 [[우덕순]](최성호) 등과 함께 대한의군을 조직하여 북만주 일대에서 맹렬한 저항을 하게 되지만 동지 수 십명이 죽고 포로가 되는 어려운 투쟁을 전개한다. 안중근 역시 [[일진회]] 도당들에게 피납되어 구타당하고 입원한다. 이때 [[이토 히로부미]]([[박노식(1930)|박노식]])가 [[하얼빈시|하얼빈]]에 온다는 소식을 듣고 침략의 원흉을 제거할 것을 결심한다. 1909년 10월 하얼빈에 도착한 이토를 사살한 안중근은 체포되어 우국지심을 굴하지 않고 초연히 순국한다. == 수상 == * 1972년 * 제11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 미술상(박석인) * 제9회 [[청룡영화상]] 음악상([[김희조]]) · 기획상 * 1973년 제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미술상(박석인) == 여담 == [[이완용]] 역을 맡은 배우 [[이향(1914)|이향]]은 가수 [[문희준]]의 외조부이기도 한데, 이 영화를 포함해 1959년 전창근 감독의 《[[고종황제와 의사 안중근]]》, [[신상옥]] 감독의 《[[독립협회와 청년 리승만]]》, 1966년 이규웅 감독의 《마지막 황후 윤비》 등 총 6편의 영화에서 이완용을 연기했다. [[안창호]] 역을 맡은 [[강계식]]은 이전에 《[[고종황제와 의사 안중근]]》(1959)와 《상해 임시정부》(1968)에서도 안창호 역을 연기했었다. [[분류:1972년 영화]][[분류:한국의 전기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전체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