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서명에 의사가 들어가는 문서 == *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 [[의사 지바고]] - 소설 * [[의사과학]] - [[유사과학]] 항목으로 리다이렉트 * [[의사기만]] * [[의사난수]] * [[의사당대로]] * [[의사도]] * [[의사소통]] * [[의사양반]] - 드라마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 [[意]][[思]] == 무엇을 하고자 하는 생각. == [[議]][[事]] == * 회의에서 어떤 일을 의논함. 또는 그 회의 * 회의에서 의논할 사항. * 주로 [[국회]]가 나올때 많이 등장하는 [[명사(품사)|명사]] == [[義]][[士]] == 정의로운 일을 한 사람. 고전문학에서는 한자어 그대로 정의로운 선비라는 용례로도 쓰인다. 현대에는 주로 [[안중근]] 의사나 [[이봉창]], [[백정기]], [[윤봉길]] 3의사와 같이 무력으로 항거한 사람을 높여 부르는 경칭으로 쓰이며, 이들이 행한 일을 특별히 의거(義擧; 의로운 일을 도모함) 라 하여 기리기도 한다. 혹시라도 이들이 사람을 치료하는 의사였다고 착각하지는 말자. 고전 꽁트에서 동음이의어의 차이를 모르던 '''[[국민학생]]''' 주인공이 졸다가 안중근 의사의 업적을 물어본 선생님에게 "그는 한국의 [[슈바이처]]였습니다."라고 하는 식의 개그도 있다. [[웃긴대학]]의 지식KIN에서는 안중근 의사가 왜 의사냐는 질문에 우리의 병든 역사를 치료하셨다는 훈훈한 답변을 하기도 했다. 왜곡된게 많지만 [[LG 트윈스]]의 투수 [[봉중근]]도 2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그간 한국인의 기분을 상하게 한 발언으로 국내에서 평판이 좋지 않던 [[이치로]]를 농락하며 일본전에 대활약을 펼친 계기로 봉의사라는 별명이 생겼다. 안중근 의사와 이름이 같다는 점이 크게 작용, 본인도 이 별명을 좋아한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의사와 [[열사]]의 차이를 쉽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단 국어사전적인 의미로는 두 단어는 차이가 없는 수준이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명확한 차이를 두고 쓰는 편이다. 국가보훈처에서는 의사는 주로 무기를 사용하여 항거한 인물(예. [[안중근]] 의사, [[이봉창]] 의사, [[윤봉길]] 의사, [[백정기]] 의사, [[강우규]] 의사, [[이재명(독립운동가)]] 의사), [[열사]]는 맨몸으로 저항하여 자신의 신념을 승화시킨 인물(예. [[민영환]] 열사, [[이준(열사)|이준]] 열사, [[유관순]] 열사)에 대한 존칭이라고 밝히고 있다. 의사의 경우는 해방 후의 인물에게는 거의 쓰인 바가 없지만, 열사는 해방 후에도 [[김주열]] 열사, [[전태일]] 열사, [[박종철]] 열사, [[이한열]] 열사처럼 불의나 부조리에 저항한 인물들에게도 사용한다. [[10.26 사태]]의 주역인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에게 의사 존칭이 쓰이기도 한다. 평가가 많이 갈리는 인물이라 공식적으로는 쓰지 않지만, 그를 지지하는 측에서 김재규 의사, 10.26 의거라는 표현을 쓴다. == [[擬]][[似]] == '의사하다'의 어근으로, '실제와 비슷함' 내지는 '가짜'를 의미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알려진 단어인데, '의사환자'의 '의사'나 [[유사과학|의사과학]], [[의사도]]가 이 한자를 쓴다. == [[擬]][[死]] == 쉽게 말해 가짜 죽음 = [[죽은 척]]. 외부로부터 갑작스러운 자극을 받은 동물이 움직이지 않고 죽은 체하는 일을 말한다. 곤충, 뱀, 조류, 포유류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縊]][[死]]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질식사)] == [[닌텐도 DS]] 용어 == [[NDS]] 불법 롬파일 기동 팩인 [[닥터]]를 달리 이르는 말. 검색어 등의 이점을 위해 의사라는 말을 자주 쓰기도 한다.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