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www.ichinatown.or.kr/%ED%81%AC%EA%B8%B0%EB%B3%80%ED%99%98_IMG_3352.jpg]] 의선당 전경. 사진 오른쪽은 기념품점, 왼쪽의 반쯤 잘려 나온 문이 본당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인천광역시|인천]]에 있는[[ 중국]]식 종교시설. 주소는 인천광역시 [[중구(인천광역시)|중구]] [[차이나타운로]] 34(북성동2가). 한자로는 義善堂. == 기본정보 == 의선당을 일단은 [[절(불교)]]이라고 하지만, 절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애매하다. 일단 건축부터가 [[불교]] 절 양식이 아니라 [[도교]] 사당 양식이고, 봉안한 신격들도 도교의 신들이 더 많다. 그러나 현재는 앞마당에 석탑도 한 기 있고, 의선당을 지은 사람도 황합경이라는 [[승려]]인지라 나무위키에서는 편의상 절로 분류한다. [[한국]]으로 치자면 공간문제상 [[대웅전]]에 토착신과 부처를 같이 모신 암자 같은 곳. 학술적으로 따져보면 이러한 건축물은 배신선당(拜神善堂)이라고 하여, 신에게 제사지내는 사당과 선당[* 중국인 거주지역의 신상(紳商 성품이 좋은 대상인) 중심으로 조직된 자선단체. 중국의 화남지역과 [[동남아시아]]에 많은데, 각 지역의 유력 자선단체로 성장한 사례들도 있다.]이 결합된 형태다. 성격이 유사한 건물로는 [[https://icmuse.blog.me/50045417325|중화기독교회]]가 있는데, 이 교회 역시 인천에 있다.[[http://www.bzer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4793|#]] [[인천항]] 개항 후, [[인천]]에 거주하는 [[화교]]들이 늘어남에 따라 화교들의 정신적 단합과 교류를 위한 시설이 필요해진 때에 황합경 스님이 1893년 지었다고 전해진다. 처음에는 사당 1채와 부속채 1채를 세웠지만 지금은 많이 개축하였다. 한때는 한국의 인천-[[서울]]지역에 거주하는 화교들의 비밀결사인 재가리(在家裡[* 중국 남부지역에선 청방(淸幇)이라고 불렀다.])의 본부이기도 했으나, 1934년 내부고발자 때문에 [[일본 경찰]]이 해체하였다. 이후 비밀결사 자체는 '달마불교회'로 바뀌고 서울의 거선당[* 현 [[서울시 중구]] [[명동]]2가 89 한국화교달마불교회]이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의선당은 [[광복|해방]] 이후 [[1970년대]] [[화교]]사회의 위축과 더불어 종교시설로의 기능을 잃고, 한동안 무당파 [[팔괘장]]을 전수하고 연습하는 수련장으로 쓰였다. 이후 화교들의 모금과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2006년 5월에 대대적으로 개보수한 이후 현재의 모습이 되었고, [[인천 차이나타운]]의 대표적인 중국식 종교건축물로 남았다. 의선당에 모신 토상(土像)들은 [[청나라]] 말기 중국 종교미술 양식을 잘 보여준다. 달마불교회 역시 현재는 비밀결사보다는 한국 내 화교들의 친목 겸 상부상조단체로 자리잡았다. 현재는 의선당/거선당 관련 역사 연구도 하는 중.([[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71204010000821|관련]] [[http://m.kyeongin.com/view.php?key=20171204010000821|기사]] [[http://www.ajunews.com/view/20171129095142171|링크]])--네이버에 치면 주소가 다 나오는데 비밀결사는 무슨(...)-- 2017년 6월에 [[인천]]에서 도로공사 중 의선당의 표지석이 발견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341877|#]] 의선당에 주신으로 모셔진 신격은 5위로, 다음과 같다. * 호삼태신-호삼할아버지라는 산신으로 나온 인천 차이나타운 홈페이지 설명과는 달리 위패에 호삼태야지신(胡三太爺之神)이라 되어 [[http://www.yakchobat.com/bbs/zboard.php?id=uas&page=16&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reg_date&desc=asc&no=373|있고]] 산신도 아니다. 중국 동북지방에서 모시는 신. 재물을 가져다 준다고 한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3620&cid=40942&categoryId=32174|*]] * [[용왕]]-바다의 신. 항목 참조. * [[관세음보살]]-항목 참조. * 관성제군-신격화된 [[관우]]. 항목 참조. 의선당에는 협천대제(協天大帝)라는 이름으로 모셨다. * 낭랑-인천 차이나타운 홈페이지에는 [[삼신할머니]]상으로 나오나 삼신할머니는 중국 신이 아니다.(...)--일해라 인천-- 낭랑이란 [[도교]]에서 [[여신]]을 부르는 호칭으로, [[관세음보살]]도 관음낭랑이라 부르기도 한다. 낭랑은 대부분 아이를 점지해주고 아이와 여성, 특히 산모를 보호해주는 권능이 있다. 의선당의 낭랑상은 세 여신이 한데 모셔진 것으로 보아 삼고랑(三姑娘)일 가능성이 높지만, 신상 중 하나가 아이를 안은 형상이므로 해당 신상은 송자낭랑(送子娘娘)일 가능성도 있다. 인천화교협회 홈페이지([[http://www.craik.co.kr/justi_temple.php|링크]])에는 바다와 항해의 여신 [[마조]]를 모셨다고 나온다. 그렇다면 여러 낭랑을 한 데 모셔놓았을 가능성도 있다. == 상세위치 == [[파일:external/www.ichinatown.or.kr/%EC%9D%98%EC%84%A0%EB%8B%B9_3.jpg|width=700]] 사진 출처 : 인천 차이나타운 [[http://www.ichinatown.or.kr/sight/china.asp|홈페이지]] [[분류:한국의 절]][[분류:사당]][[분류:인천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