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include(틀:미개통)] [목차] == 개요 == [[중앙선]] [[의성역]]과 [[동해선]] [[영덕역]]을 잇는 총 길이 71.9km의 단선철도이다. 이전 계획에서 전부 낙방하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처음으로 추가검토사업으로 반영되었다. == 상세 == [[경상북도]] [[의성군]]과 [[경상북도]] [[영덕군]]을 연결하는 철도이다. 이 노선의 시초는 일제강점기 당시, [[경북선]] 김천~상주~점촌~예천~안동 구간을 안동~진보~강구항으로 연장하는 구상으로 출발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노선이 건설되지는 않았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6062600209104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6-06-26&officeId=00020&pageNo=4&printNo=5597&publishType=00010]]] 그러나 제 1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는 김천~의성~청송~영덕 간을 잇는 [[경북내륙선]][* [[https://cafe.daum.net/kicha/ANj/41534]]] 계획으로 의성~영덕선에 대한 계획이 나왔고, 또 새만금~익산~전주~김천~의성 간으로 연장하여 새만금에서 영덕을 잇는 동서 축 철도망에 대한 구상으로 제시되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전라선]], [[김천전주선]], [[경부선]], [[구미산단선]]과 더불어 전라도와 경상도를 잇는 횡축 철도망이 될 수 있으나, 제 2차, 3차 철도망 구축계획에는 반영되지 못했다. 그러다 [[대구경북신공항]]계획이 확정되면서 경상북도는 신공항 연계 철도로 의성영덕선을 추진키로 하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사업'''으로 반영해 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추가검토 사업으로 반영되어서 추진까지 갈 길이 멀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연선 인구 또한 청송, 영양, 영덕 등 인구가 많지 않은 지역을 지나기도 하며, [[청송군]]으로 들어가는 길에는 가랫재가, [[영덕군]]으로 들어가는 길에는 황장재가 버티고 있어서 공사비용이 과다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중앙선과 동해선을 잇는 철도노선으로 철도가 이미 운영 중에 있는 [[영동선]] 영주~봉화~법전~춘양~분천 구간의 개량과 더불어 [[울진분천선]] 신설과의 편익 비교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의성~영덕 간 아예 없던 걸 만들어 내야 하는 철도사업의 편익이 있을 지도 비교 대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 역 목록 == ※ 여객/화물취급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 ||<-2>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환승노선 || 소재지 || || 0.0|| [[의성역|의 성]] || 義 城 || M || ─ || ○ || [[중앙선]][br]--[[대구경북선]]-- || --[[대구경북선 광역철도]]-- || [[경상북도]] [[의성군]] || || ? || 청 송 || 靑 松 || M || ─ || ○ || || || [[경상북도]] [[청송군]] || || 71.9 || [[영덕역|영 덕]] || 盈 德 || M || ─ || ○ || [[동해선]] || || [[경상북도]] [[영덕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