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왕위 계승 서열과 별개로 영국의 [[의전서열]]이다. 영국은 [[입헌군주제]] 국가로 정치적 실권과 관계 없이 상징적으로 '''영국 왕실이 가장 높은 서열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정부의 주요 관료들이 차지한다. 이는 같은 입헌군주제 국가인 [[의전서열(일본)|일본의 의전 서열]]과 비슷하며 대부분의 군주국 의전 서열을 보면 군주와 왕족들이 서열이 가장 높고 정부의 주요 관료들이 그 다음으로 높은 서열이다. 다만 일본보다는 왕족 의전서열이 빽빽하지는 않다.[* 일본도 영국처럼 [[천황]]이 1위고 천황의 배우자가 2위인 것은 같지만 3위, 4위가 상황, 상황후고, 5위, 6위는 황사(황태자), 황사비(황태자비), 7위가 친왕(황자), 친왕비(황자비), 내친왕(공주), 왕(그 외 황족), 왕비(황족 부인), 여왕(황족)이다. 다만 상황은 일본 역사에서도 예외적으로 나타난 사례라 현 [[아키히토]] 상황과 [[미치코 상황후]]가 사망하면 다시 영국과 거의 똑같아진다.] == 서열 == || 순위 || 직함 || 현임 || || 1위 || [[영국 국왕|국왕]] || [[찰스 3세]] || || 2위 || 국왕의 배우자 || [[카밀라 파커 보울스]] || || 3위 || 왕자 ||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 [[헨리 찰스 앨버트 데이비드]] 등 || || 4위 || 공주 || [[프린세스 로열 앤]] 등 || || 5위 || [[캔터베리 대주교]][* 잉글랜드 국교인 [[성공회 캔터베리교구|잉글랜드 성공회]]의 수장이자, 160여개 국가에 퍼져있는 세계 성공회의 대표이다.] || [[저스틴 웰비]] || || 6위 || 대법관[* Lord Chancellor. 역사적으로 대법원장+상원의장 쯤 되었던 연유로 대법관으로 번역되지만 여러 차례의 개혁으로 현재는 해당 기능은 없고, 현재는 법무장관의 겸임직이다. 따라서 지금은 법무장관이 자신의 상관인 총리보다 의전서열이 높게 되었다. 영국인들은 이를 전통에서 기인한 상황으로 생각하고 바꿀 의향은 없는 듯하다.] || [[도미닉 랍]] || || 7위 || [[성공회 요크교구|요크 대주교]] || 스티븐 제프리 코트렐 || || 8위 || [[영국 총리|총리]] || [[리시 수낙]] || || 9위 || [[영국 추밀원|추밀원]] 의장 || [[페니 모돈트]] || || 10위 || [[영국 서민원|서민원]] 의장 || [[린지 호일]] || || 11위 || 서민원 의원 || || || 12위 || 국새상서[* 영국 국왕 국새를 받드는 관리직. [[영국 귀족원|귀족원]] 원내대표직을 겸임한다.] || 나탈리 에반스 여남작 || || 13위 || 영국 주재 외국 대사 || [* 주영 한국 특명전권대사는 아직 임명되지 않아 공석.] || || 14위 || 공작 || || || 15위 || 전권공사 및 특사 || || || 16위 || 후작 || || || 17위 || 백작 || || || 18위 || 자작 || || ||<|3> 19위 || [[성공회 런던교구|런던교구장]] 주교 || 사라 엘리자베스 멀러리 || || [[성공회 더럼교구|더럼교구장]] 주교 || 폴 로저 버틀러 || || [[성공회 윈체스터교구|윈체스터교구장]] 주교 || 공석 || || 20위 || [[틀:잉글랜드의 성공회 교구장 주교|기타 교구장 주교와 보좌주교들]] || || || 21위 || 자작급 각료 || || || 22위 || 남작급 각료 || || || 23위 || 왕실 재무관 || || || 24위 || 왕실 감사관 || || || 25위 || 왕실 부시종장 || || || 26위 || 남작급 이하 각료 || || || 27위 || 가터 나이트작 || || || 28위 || 추밀원 위원 || || || 29위 || 재무장관 || 제러미 헌트 || || 30위 || 랭커스터 공작령 재상[* 현재는 명칭만 이렇고 기능은 정무장관, 특임장관쯤 된다.] || 올리버 다우든 || || 31위 || 잉글랜드 대법관 || || || 32위 || 항소법원 판사 || || [[분류:의전 서열]][[분류:영국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