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정부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평안177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전기.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의정부시 일반시내버스 2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의정부 23 노선도 (새).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민락동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부대앞) [* 하지만 실질적인 종점은 전 정류소인 윗가마골이다.] || ||<|2> 종점행 || 첫차 || 05:20 ||<|2> 기점행 || 첫차 || 06:20 || || 막차 || 22:5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10~25분 ||<-2> 주말배차 || 30~40분 || ||<-2> 운수사명 || [[평안운수]] ||<-2> 인가대수 || 8대 || ||<-2> 노선 ||<-4> [[민락동영업소|민락동차고지]] - 용암마을16단지.민락라디언트캐슬 - 송양고등학교, 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앞 - 민락푸르지오아파트 - 푸른마당근린공원 - 송산사지, 송민학교입구 - [[이마트 의정부점]] - 청구아파트 - [[탑석역]] - 구30보충대, [[탑석센트럴자이]]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영석고등학교|영석고]] - e편한세상신곡파크비스타 - 제일시장입구 - [[의정부역]].동부광장 - 경기도립의정부병원 - [[흥선역|흥선광장]] - 안골 - (→ [[경민대학교]] →) - 동명빌라 - 울대고개 - [[송추역]] - 느티나무 - 우남아파트 - 부곡1리마을회관 - 송추반석전원교회 - 부대앞(회차) || == 개요 == [[평안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민락동영업소|민락동차고지]]([[의정부 민락2지구|민락2지구]])와 [[가능동]], [[송추]]([[송추역]], 부곡리)을 잇는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2.4km. [[http://map.naver.com/?busId=9019&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본래 중앙로를 경유했으나 행복로로 바뀐 이후 한화생명입구, 구터미널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동사 1, 1-5, 11번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당시 민락2지구가 개발되는 중이라 민락1지구까지만 운행했었으며 대원여객 궁촌마을 차고지를 이용했었다. 수요가 여러모로 늘면서 3-1번을 흡수하고 2번에서 차를 빼와 6대가 증차되어 17대로 다녔다. * 2013년 6월, 민락2지구로 연장되었다. * 2015년 9월 21일에 [[의정부 버스 10|10번]]의 민락동 구간이 단축되어 의정부세관에서 바로 북부청사로 가던 것이 효자중.고교와 [[홈플러스 의정부점]]을 거쳐 가도록 변경되었다. [[http://bobaere4842.blog.me/220472803903|관련 게시물]] *2018년 3월 1일 ~ 6월 30일 동안은 경기도청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로 인하여 '''홈플러스 - 북부청사 - 드림벨리(과학도서관)''' 구간이 '''홈플러스 - 드림벨리 정문 - 드림벨리(과학도서관)''' 구간으로 우회해 운행했었다. 위의 드림벨리 정문은 206번이 정차하는 마을버스 정류장이다. * '''경기도청 북부청사 앞 경관광장 지하주차장 조성 공사'''로 인해 2020년 7월 1일부터 12월 13일까지 ‘경기도청 북부청사 앞~부용천 구간’ 도로가 통제 됨에 따라 우회운행했다.[* 이 공사로 인해 우회운행을 하는 노선은 이 노선 말고도 [[포천 버스 72|72번]], [[의정부 버스 72-1|72-1번]], [[포천 버스 72-3|72-3번]], [[의정부 버스 203|203번]], [[포천 버스 3100|3100번]]이 있었다.] 본 노선은 경기도청북부청사(08-215, 08-219, 08-220) 정류소 대신 드림밸리아파트(08-589, 정류소ID 없음) 정류소에 정차했다.[* 여담으로, 정류소마다 이와 관련된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미 폐선된 [[의정부 버스 10|10번]]도 우회운행을 한다고 안내되어 있다. 하나 폐선되어 운행하지 않으므로, 괜한 혼란이 없기를 바란다.] * 2020년 12월 14일부터 [[의정부 버스 11|11]]번이 본 노선의 [[의정부역]] - 신곡동 - 홈플러스 - 산들마을 구간을 대체운행하게 됨에 따라, 1번, 3번처럼 용현동 구간을 통해 의정부역 쪽으로 운행하도록 변경되었다. 추가로 1번, 3번과 다르게 송산농협과 [[탑석역]]을 경유한다. 동시에 민락2지구 구간이 6자 선형으로 약간 변경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87698&_rk=urT&page=1|관련 게시글]] * 2021년 4월 1일부터 용암마을입구 / 양지마을후문입구 구간을 미정차하고 양지마을8단지와 [[송양고등학교]]를 경유시켜 ㄷ자 노선으로 개편하였다. * 2023년 11월 13일 부근 KD가 23번,35번,21번등 시내버스에 전기저상 아폴로를 투입시켰다. == 특징 == === 신곡동 운행 시절 === * [[의정부역]]이 정확히 노선의 중간 지점인데, 이 곳을 기준으로 민락동 방향은 굴곡이 많지만, 부곡리 방향은 거의 곧은 선형을 보인다. * 구간 수요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신곡동~의정부역 구간 수요가 가장 많았다. 다만, [[굴곡 노선/버스/경기도|효자초등학교에서 홈플러스를 거치고, 신곡2동주민센터에서 터미널을 거치며 시장을 들리는 등 신곡동 구간에서 일부 우회하여]]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었다.[* 다만 금오동의 경우 [[포천 버스 72|72번]], [[포천 버스 72-3|72-3번]] 등으로 의정부역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지만, 그 노선들의 긴 배차간격을 생각해보면 그게 그거다.] 그러나 경민대 이후~부곡리 수요는 그다지 없다. 차라리 경민대까지만 운행하는게 배차간격 줄이고 연비도 줄이고 회사측에서 좋은 일이지만 단독수요가 있기에 함부로 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상기 기술대로 신곡동에서의 일부 구간 우회로 인해 민락2지구에서도 타노선([[의정부 버스 35|35번]], [[의정부 버스 206|206번]])을 이용하는 편이었다. * 일부 차량의 상태가 매우 좋지 못하다. 아무래도 고개를 넘고, 좁은 길을 저상버스로 운행하고 대부분 10년이상 된 차량이다보니 그런 듯 하다. 같은 차량성격을 가진 [[대원운수|타사]] [[남양주 버스 1|1번]], [[남양주 버스 1-4|1-4번]], [[평안운수|동사]] [[의정부 버스 3|3번]], [[의정부 버스 35|35번]] 역시 차량상태가 좋지 못하다. * 2017년 12월, 모든 차량 LED 전광판이 새 전광판으로 교체되었다. 이로 인해 전광판의 자막 폰트와 크기가 수정되었다. * [[의정부 버스 1-8|1-8번]] 개통의 여파로 16대에서 11대로 5대가 감차되었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기존 10~20분 간격에서 30~45분으로 많이 늘었다.[* 물론 1-8번 개통의 여파 이외에도 코로나19로 인한 승객감소도 이유가 될 수 있다. 같은 회사의 다른 노선 차량들 내부에는 코로나19로 승객이 줄어 일부 감차운행을 한다는 안내문이 붙여져 있다.] === 용현동 변경 이후 ===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종점은 [[서울 버스 704|704번]]이 소속된 송추차고지에서 좀 더 북쪽에 있다. 그 곳에서 계속 북쪽으로 가면 [[양주 버스 19|19번]] 종점이 나오지만, 배차간격이 매우 길고 고갯길이라 시간이 잘 맞아야 연계가 가능하다. * 종점인 "부대앞" 정류소는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이 정류소 부근에 있는 어느 회사가 이 곳에서 승하차를 하지 말라고 해서 그렇게 되었다. 즉 이 정류소는 가상 정류소의 역할에 가깝다. 회사직원들이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 정차를 했다가 단속에 걸리거나 민원이 나오게 되면 운전기사에게 벌금이 부과된다고 한다.] 때문에 혹시 이 부근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려면 아래에 있는 윗가마골 정류소로 가서 이용해야 한다. * "송추반석전원교회" 정류소는 민락동 방향으로 갈 때 무정차로 되어있으나 실제로는 승하차가 가능하다. * 노선 변경 전에는 제일시장앞 정류장에 하차하면 곧장 갈 수 있었지만, 변경 후에는 제일시장에 가려면 한화생명입구 또는 제일시장입구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약간 걸어가야 된다. * 신곡동 경유에서 용현동 경유로 바뀌게 되면서 송양초,중,고등학교, 양지마을아파트 단지, 코스트코 일대에선 시내버스로 신곡동과 금오동(홈플러스 일대 일부지역)을 갈수없게 되었다.[* 대체노선인 [[의정부 버스 11|11번]]도 민락2지구를 극히 일부만 스쳐갈뿐, 단지 깊숙히 들어가지는 않는다.][* 물론, 마을버스로는 이동가능하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정부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교외선]]: [[송추역]], [[의정부역]](2024년 개통 예정)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 경전철]]: [[송산역(의정부)|송산역]], [[탑석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민락2지구 경유 버스노선)] [[분류:의정부시의 시내버스]][[분류:양주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