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창원지방검찰청 검사장)]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건리.jpg|width=100%]]}}} || ||<#911B2B> {{{#fff '''이름'''}}} ||이건리(李建莅) || ||<#911B2B> {{{#fff '''본관'''}}} ||[[함평 이씨]][* 효우공파(孝友公派) 31세 건(建) 항렬.] || ||<#911B2B><|2> {{{#fff '''출생'''}}} ||[[1963년]] [[6월 11일]] ([age(1963-06-11)]세) || ||[[전라남도]] [[함평군]] || ||<#911B2B> {{{#fff '''학력'''}}} ||[[전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사법학]] / [[학사]])}}}[br][[연세대학교 대학원|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 ([[법학]][* 경영법무 전공]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999983|채권자취소권에 관한 연구]](2005. 6).])}}}[br][[한양대학교 대학원|한양대학교 법과대학원]] {{{-2 (법학 / [[박사]] 과정 수료)}}} || ||<#911B2B> {{{#fff '''현직'''}}} ||[[변호사]] || ||<#911B2B> {{{#fff '''경력'''}}} ||제26회 [[사법시험]] 합격[br]제16기 [[사법연수원]] 수료[br][[춘천지방검찰청]] 차장검사[br][[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차장검사[br][[전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br][[서울고등검찰청]] 송무부장[br][[광주고등검찰청]] 차장검사[br][[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br][[창원지방검찰청]] 검사장[br][[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br]법무법인 동인 구성원변호사[br]국방부 5·18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검사(법조인)|검사]] 출신 [[법조인]]. == 생애 == 1963년 6월 11일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아버지 서산(瑞山) 이단행(李丹行, 1934. 11. 15 ~ )[* 자는 은행(銀行). 35년간 [[공무원]]으로 봉직했고, 나산면장을 지냈다.]과 어머니 [[선산 김씨]] 김기임(金奇任, 1936. 4. 10 ~ )[* 김종석(金宗錫)의 딸이다.] 사이에서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81년 [[전주고등학교]], 1985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사법학과]]를 졸업하고 2005년 6월 [[연세대학교 대학원|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에서 경영법무 전공으로 [[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7년 [[한양대학교 대학원|한양대학교 법과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이던 1984년 제26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6기. 1987년 연수원 수료 후 [[군법무관]]으로 병역을 마쳤다. 이후 1990년 3월 검찰에 입직하여 2013년 12월까지 24년간 검사로 봉직하였다. 검찰에서 퇴직 후에는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2012년 9월 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으로 재직 중 [[양승태]] [[대법원장]]으로부터 대법관 최종후보 4명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었다.[* 원래는 김병화 전 인천지검장이 내정되어 있었으나 여러 의혹으로 낙마하였다. 다시 열린 대법원 대법관후보추천위에서 이건리 후보와 같이 최종후보로 이름을 올린 [[김소영(법조인)|김소영]] 대전고등법원 부장판사가 대법관으로 영전하였다.] 2012년 8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법원 [[양형위원회]] 제3·4기 위원, 2012년 8월부터 2013년 4월까지 대법원 국민사법참여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2013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감찰위원회]] 위원, 한국비교형사법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2013년 3월에는 배우자에 대해서도 [[강간죄]]가 성립한다는 [[대법원/전원합의체|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을 이끌어내는 데 관여했다. 2013년 7월 16일부터 2018년 4월 25일까지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윤리]]자문단 자문위원, 2014년 1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위생심의위원,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서울지방국세청]] 조세·법률고문, 2015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서울특별시의회]] 입법·법률고문, 2016년 1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서울특별시청]]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2017년 9월부터 2018년까지 국방부 [[5.18 민주화운동]]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법제처]] 법령해석심의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2018년 4월 26일부터 2021년 4월 25일까지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담당 부위원장(차관급) 겸 사무처장을 지냈다. 또한 2018년 5월부터 2021년 4월까지 [[대한민국 정부|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2020년 12월 28일,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판사 출신의 김진욱 헌법연구관과 함께 초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최종후보로 추천되었으나 [[문재인]] 대통령은 김진욱 변호사를 선택했다. 현재는 법무법인(유한) 동인에서 국민권익 및 중대재해 수사·송무 대응 전문 구성원변호사로 [[http://www.donginlaw.co.kr/page/31_view?idx=953|재직 중에 있다]].[* 2014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근무하다가 [[국민권익위원회]] 부패방지담당 부위원장 겸 사무처장에 임명되면서 로펌을 떠났다. 2021년 4월 25일 임기 종료 후 다시 돌아온 듯하다.] == 검사 경력 == * 1990년 ~ 1992년 [[서울북부지방검찰청|서울지방검찰청 북부지청]] 검사 * 1992년 ~ 1994년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검사 * 1994년 ~ 1996년 [[서울남부지방검찰청|서울지방검찰청 남부지청]] 검사 * 1996년 ~ 1998년 [[부산지방검찰청]] 검사 * 1998년 ~ 2000년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 2000년 2월 21일 ~ 2001년 6월 13일 [[https://www.spo.go.kr/site/miryang/ex/general/General_List.do|제41대]] [[창원지방검찰청 밀양지청]]장 * 2001년 ~ 2002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 2002년 ~ 2004년 [[사법연수원]] 기획교수 - 검찰실무, 수사절차론, 형사정책론, 통일법연구 등 과목 * 2004년 ~ 2005년 대검찰청 정보통신과장 * 2005년 ~ 2006년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6부장검사 * 2006년 ~ 2007년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차장검사 * 2007년 ~ 2008년 [[춘천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2008년 [[전주지방검찰청]] 차장검사 * 2009년 1월 ~ 2009년 8월 [[서울고등검찰청]] 송무부장 * 2009년 8월 ~ 2010년 7월 [[광주고등검찰청]] 차장검사 * 2010년 7월 15일 ~ 2011년 8월 21일 [[https://www.spo.go.kr/site/jeju/ex/general/General_List.do|제57대]] [[제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2011년 8월 22일 ~ 2012년 7월 17일 [[https://www.spo.go.kr/site/changwon/ex/general/General_List.do|제28대]] [[창원지방검찰청]] 검사장 * 2012년 7월 ~ 2013년 12월 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 [[분류:1963년 출생]][[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함평 이씨]][[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단기 군법무관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검사]][[분류:검사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